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Touareg V6 3.0 TDI 등 684 차종 - NOx센서관련리콜

리콜 알리미
20.07.03

1,044
댓글
0
한불모터스(주) DS3 Crossback 1.5 BlueHDi 등 56 차종 - 와이어링하니스관련리콜
한불모터스(주) DS3 Crossback 1.5 BlueHDi 운전석쪽 하단 대쉬보드 안쪽에 장착된 메인 ECU(BSI ECU) 와이어링 하니스의 고정 부품(클립)이 내구성이 부족하여 메인 ECU(BSI ECU) 와이어링 하니스 지지대에서 이탈되고 주변 장치와 마찰에 의해 와이어링 하니스 배선 피복이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배선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되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Bentayga V8 (벤테이가 8기통 차량) 등 137 차종 - 원터치커넥터관련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Bentayga V8 (벤테이가 8기통 차량) 특정 기간내에 생산된 일부 차량의 연료 공급 호스에 장착된 연결 커넥터가 엔진 시동을 끈 후 잠열에 의해 견딜 수 있는 온도를 초과게 되는 경우 커넥터 재질 변성(연화/커넥터 물러짐)으로 체결력이 약회되어 연료가 누출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쌍용자동차(주) 티볼리 등 88664 차종 - 연료공급호스관련리콜
쌍용자동차(주) 티볼리, 티볼리에어(디젤), 코란도(디젤) 연료 필터와 고압펌프 사이에 장착된 연료 공급호스 재질 내구성이 부족하여, 장기간 사용 시 일부 차량에서 연료 공급호스 손상으로 인해 미세하게 연료가 누유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대상차량별 생산일자>티볼리/티볼리에어: 2015.07.01~2020.06.




한불모터스(주) DS3 Crossback E-tense 등 8 차종 - tense
한불모터스(주) DS3 Crossback E-tense 드라이브 샤프트(구동축)의 열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드라이브 샤프트(구동축) 내구성이 저하되어 주행 중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변속기의 토크가 바퀴에 전달되지 않아 주행이 불가능해질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드라이브 샤프트(구동축)의 제조년월을 확인 후 필요 시 교환




르노삼성자동차(주) QM3 K9K (1.5디젤) 등 12395 차종 - 산소감지기(센서)관련리콜
르노삼성자동차(주) QM3 K9K (1.5디젤) 산소감지기(센서)의 결함으로 인하여 계기판에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산소감지기(센서) 교환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6 40 TDI Premium 등 6509 차종 - 발전기관련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6 40 TDI Premium, A6 40 TDI, A6 40 TDI qu. Premium, A4 35 TDI Premium 특정 기간 내에 생산된 스타터 발전기의 하우징에서 사용 기간 중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경우 발생된 균열의 틈으로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어 특정 조건에서 내부 회로의 단락을 유발하여, 부분적으로




한국토요타자동차(주)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AWD 등 261 차종 - 프런트로어암관련리콜
한국토요타자동차(주)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AWD,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2WD 프런트 로어 암의 재료(강철판)를 생산하는 공급처의 재료 제조 공정이 부적절하여 로어 암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대상차량별 생산일자>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AWD: 2019.09.25~2019.10.25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2WD:




(주) 한국모터트레이딩 GPD125-A(N-MAX125) 등 2640 차종 - A
(주) 한국모터트레이딩 GPD125-A(N-MAX125) 내부의 스프링 강도가 부족하여 주행 진동으로 스프링이 피로 파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상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캠체인 텐셔너가 정상 작동하지 못하여 실린더 헤드 밸브 타이밍에 영향을 주어 엔진 부조가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 시동 꺼짐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개선된 캠체




유한회사 모토로싸 Superleggera 등 3 차종 - 앞브레이크패드관련리콜
유한회사 모토로싸 Superleggera 앞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 성분에 니켈 함유량이 많아 브레이크 패드 고정 판에서 마찰재가 떨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차량의 제동력에 손실이 생겨 제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앞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 고정 판의 품번 확인 후 필요 시 개선된 브레이크 패드로 교체 (*개선 내용: 마찰재 성분의 니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8 4.2 TDI qu. 등 704 차종 - 기어컨트롤유닛관련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8 4.2 TDI qu. 특정 조건에서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ECU, TCU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