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HOT
구매고민
VS

전기차 타는분들 안 무서우신가요?

새우깡카드깡Lv 80
조회 수3,686
예산

7000

비교 아이콘

VS 차량 비교

41명 참여중
BMW eDrive 40 그란쿠페 M 스포츠 프로 P0-1 [Z86] i4 차량 이미지
BMWeDrive 40 그란쿠페 M 스포츠 프로 P0-1 [Z86]i4
7,730만원
0% 할인

22% (9명)

BMW 330e M 스포츠 P0-1 3시리즈 차량 이미지
BMW330e M 스포츠 P0-13시리즈
6,960만원
0% 할인

78% (32명)

어제 아이오닉 5 급발진 + 화재 사망사건이 떴더라고요 영상 보니까 충돌 하자마자 바로 5초만에 불이 붙어서 사람이 빠져나올 시간 자체도 없더군요.. 이런거 보면 아직 시기상조가 맞는거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 조금 무섭더라고요 i4 대기 걸어놓은 상황인데 화재 뉴스 보니까 그냥 취소를 해야할지 고민됩니다. ㅠㅠ 그냥 전기차 취소하고 하브 사야할까요

댓글 47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갠옴스키Lv 78

한번도 걱정해본적 없는1인…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갠옴스키Lv 78

전 전기차사고가나서 불날정도면… 어차피 전손처리할만큼 파손된게아닐까..라고샌각하기때문에 전손처리 걱정없이…하하

hhwwjhhLv 10

내연기관도 불나서 난리인게 bmw인데 전기차라고 갑자기 괜찮아지나요ㅋㅋ배터리 때문에 답없는건 어느 전기차나 마찬가지인데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KIA 로고 이미지
마갈량이스Lv 64

그런부분이 걱정되시는분들은 안가는게 맞는거 같애요

장꼬르Lv 13

재규어 수리비가 더 무서울듯

BMW 로고 이미지
아하냥Lv 24

아,, 끝없이 고통받는 재규어,, 너무 신경쓰지마세요 글쓴이분..

BMW 로고 이미지MINI 로고 이미지
양센Lv 21

개인적으로 전기차는 시기상조라고 봅니다

VOLKSWAGEN 로고 이미지AUDI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요단강Lv 61

내연기관대비 화재발생비율보다는 회재발생시 운전자 및 동승자가 탈출이 용이한가 이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량 대비 사람들이 탈출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적은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겁나서 저도 오늘 전기차 사전예약은 취소하고 내연기관차량으로 변경했어요.

BMW 로고 이미지
널쓰리Lv 76

저도 그래서 i4 7월에 1번이었는데 취소하고 4시리즈 왔어요

BMW 로고 이미지
아하냥Lv 24

화재는 어느차나 발생할수 있는데 문제는 탈출할 최소의 상황이 되느냐의 문제 아닐까요? 이번과 얼마전 톨게이트 전기차 화재의 문제는 문이 안열리고 탈출할 시간적 여유없이 전소되어 문제가 아닐지요,,

chgLv 31

전기차라도 배터리종류, 전자장비가 앞에 배치되었는지, 뒤에 배치되었는지 다 틀려요, 아이오닉5 불났다고 다 저렇게 불나는거 아니에요...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솔직히 전기차도 충돌실험 다 하는데 스몰오버랩 측면충돌로 차를 때려부셔도 그 와중에 배터리가 발화하는 경우는 없거든요. 그정도로 튼튼하게 설계하는 배터리에 화재가 날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면 어차피 안에 탄 사람도 살아남기 힘들다고 생각해서...

BMW 로고 이미지MINI 로고 이미지
sikkyLv 20

현재 전기차 배터리화재의 불끄는방법은 수조로 침수시키는방법밖에없습니다.. 사실상 불이날 경우 일반인들이 끌수있는 방법은 없다는거죠

HYUNDAI 로고 이미지GENESIS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악동반디Lv 18

점점 전기차 무서워지네요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auto2063Lv 91

배터리 매니지먼트 설계와 냉각 시스템을 어떻게 했는지 좀 뜯어 봐야 할 것 같아요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auto2063Lv 91

테슬라 접근법을 여러 제조사가 따라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테슬라보다 더 좋은 플랫폼 더 나오기릉 바라는데 일단 원통형이 화재에서 덜 취약한 것 같아요

롯데마트Lv 1

휘발유나 배터리나 불 잘붙는건 매한가지라

skidamarLv 21

재수없어서 배터리 열폭주 터지면 빨리죽는거죠ㅠㅠ 내영도 마찬가지지만 둘다 불나기 시작하면 내연기관은 시도라도 해볼텐데 전기차는 걍 천국가길 기도하는수밖엔…

BMW 로고 이미지CHEVROLET 로고 이미지
아타스Lv 34

괜찮겟지 싶었는데 불 붙는 속도보고 ㅓㅜㅑ 싶었습니다

BMW 로고 이미지
찬사7Lv 18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현기의 전기차랑 테슬라 독삼사의 전기차는 안전면에서 하체가 완전 다릅니다. 전 충전인프라나 정말 친환경인지에 대한 의구심으로 내연기관타는 사람인데. 전기차는 이미 한계에 와서 안전한 충전시스템과 전기공급량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더 이상의 수요는 사회문제만 될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기가 그냥 만들어 지는것도 아니고 34평 아파트에 공급되는 전기총량이 7키로도 안되는데 150이나 200키로나 되는 급속 충전기인프라를 확장하는것은 화석연료를 직접태우는 내연기관보다 절대 친환경적일수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각종 발전소가 지금의 두배이상 생기지 않는다면 그 한계는 생각보다 일찍 오리라 봅니다. 정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말도 안되는 세금으로 전기차보조금 주는것도 전 사실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집밥없으면 전기차는 아니라고 봅니다.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주행조건, 평균 주행거리,, 해당 지역의 발전원(화력vs신재생) 등에 따라 엄청나게 다르지만 일단은 전기차가 내연기관 대비 well to wheel 탄소 배출은 더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배터리, 자동차 생산 공정이 점차 넷제로로 이행하고 코발트프리 케미스트리 상용화, 모터 효율 개선, 배터리 에너지밀도 개선 등 전기차의 설계도 아직 추가로 개선될 여지가 많고 발전원도 화력에서 친환경으로 전환되면 그 갭은 점점 더 벌어질 거구요

BMW 로고 이미지
찬사7Lv 18

제가 아는것이랑 조금 견해차가 있어보이네요. 전기 만드는 발전소의 탄소배출량 및 그렇게 생성된 전기를 충전소에 공급하는 시설물을 건설하는데 발생되는 탄소배출량. 발전소에서 충전소로 이동되면서 손실되는 전력에 대한 탄소배출량 등 언론에서 얘기하는 부분외에도 단순히 차량 머플러에서 탄소가 배출되는냐 안되느냐는 실질적인 탄소배출량의 극히 일부로 보여집니다. 전기차로 어떻게든 가겠지만 지금 예견되는 시기보다 훨씬 더 오래걸릴것이고 병용해서 갈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BEV가 ICE나 HEV보다 WTW 배출량이 낮다는 연구 결과는 많습니다. 위 그래프 참고 부탁드립니다. 출처: 물론 지역별 발전원에 따라 WTW 분석값에는 어느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석탄발전이 주력인 국가라면 상대적으로 번기차의 WTW 배출량이 높게 나오겠죠.

Well-to-Wheel – How to better understand it — gmobilityWell-to-Wheel – How to better understand it — gmobility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를 감안해도 여전히 ICE보다는 탄소배출이 적습니다. (출처: Tesla)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심지어 발전원의 대부분이 여전히 석탄인 중국 기준으로도 ice보다는 lifetime 배출량이 적습니다 .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게다가 이런 분석들은 전기차 배터리를 한 번 쓰고 버린다는 가정으로 분석한건데 앞으로 전기차를 폐차한 후 나온 폐 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같은 메탈을 회수하는 리사이클링이나 셀을 뽑아서 ESS로 재사용하는 리유즈 경제가 활성화되면 Lifetime 배출량은 더더욱 감소할 거구요.

BMW 로고 이미지
찬사7Lv 18

테슬라는 전기차 전문업체이니 당연히 전기가 더 친환경적이라고 강조하는 것이겠죠. 제가 말씀드린 탄소배출량 관련 부분이 전부 염두에 둔것이라 보기 힘들고. 저 또한 어떻게든 전기차로 간다고 생각하지만 그 방향성과 생애주기 탄소배출량 측정에 대한 견해차이라 말씀드린것입니다. 누구의 말이 맞냐를 따지 자는게 아니라 현시점에서 어떤 방향성으로 가는게 거 합리적이냐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 것이니 바쁘신 시간에 견해의 다름이 있고. 초기 전기차사장에서 섣부른 확언은 아니라는 얘기일뿐입니다. 20년전 디젤차도 친환경차 였습니다. 좋은 의견제시 감사합니다.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LCA분석시 차량 바디 및 부품,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모든 탄소배출 및 해당 차량을 주행하면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종합하여 분석하므로, 정확히 어떤 배출량이 누락되었다고 짐작하시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테슬라 자체 분석은 중립적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하셔서 다른 제3자 외부기관의 분석자료를 기사로 전달드립니다. 동급의 내연기관차(토요타 코롤라) 대비 모델3을 약 21000km 이상 운행하면 Lifetime 탄소배출량에서 break even이 된다는 분석입니다.

Factbox: Lifetime carbon emissions of electric vehicles vs gasoline carsFactbox: Lifetime carbon emissions of electric vehicles vs gasoline cars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WolfAmongUsLv 50

참고로, 해당 분석은 화력발전 비중이 높은 미국 기준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유럽이라면 breakeven point는 더욱 당겨질 것입니다. 물론 전기차 완전전환, 내연기관 금지 같은 중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려면 정책입안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것은 맞습니다만, 어찌됐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앞으로 화석연료 사용을 절대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인류차원의 과제가 주어진 이상 여타의 근거제시 없이 단순히 내연기관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는 취지의 의견표명은 다분히 변화를 저해하는 기계적 중립으로 보여질 여지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daily203Lv 1

저도 그런부분 때문에, 패밀리카로 쓸 Q4 이트론 배정 받은거 취소하고, 5시리즈로 넘어갔어요 ㅠ

AUDI 로고 이미지AUD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한시적백수Lv 22

남편차 전기차로 대기걸었다 하이브리드로 일찌감치 돌린 1인입니다. 아직 이르다 싶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