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OT
자유주제

D세그먼트 S60에 대해서.(장문 주의요망)

탈퇴자

Lv 83

20.10.26

view_cnt

3,365

이차량는 아시다시피 D세그먼트입니다. 볼보에서 만들었고 인스기준 차량가격은 5400입니다. 가격이 5400이다보니 아우디 A6, 비엠 520i와 가격차이가 얼마 안나죠. 그래서인지 D세그먼트와 E세그먼트 인데 이상하게 비교대상이 되고 실제로 비교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저는 S60 대기중입니다. 처음에는 아테온이나 티구안을 사려고 생각했다가 S60의 존재를 알게되고나서 이 차량의 매력에 빠졌습니다. 정확히는 볼보의 기업 마인드로인해 차량의 매력에 빠졌다고 볼수 있겠네요. "Cars are driven by people. The guiding principle behind everything we make at Volvo, therefore, is and must remain, safety." 자동차는 사람에 의해 운전됩니다. 그러므로 볼보에서 제작되는 모든 자동차는 안전이라는 지상과제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는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 ​ -1927년, 볼보 창립자 구스타프 라르곤. 약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볼보는 창립자의 지상과제를 실천하고있는 기업입니다. 볼보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언급한 내용입니다. -안전은 옵션이 될수없다- 안전은 옵션이 될수없다는 볼보의 마인드  볼보는 국내에서 판매중인 최저가 차량인 XC40에서부터 1억원 가량하는 XC90까지 모든차량에 안전옵션이 동일합니다. 볼보라는 기업에 대해서 알아볼수록 이 제조사가 지금까지 추구했던 가치관이 저에게는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대표적인 예- 1. 안전밸트: 3점식 안전밸트를 개발하고 특허를 내서 많은 돈을 벌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탑승객의 안전과 생명을 위해 모든 제조사에게 기술을 무료로 공개한 기업 2. 람다센서: 지금은 모든 가솔린 차량에 들어가는 이 작은 센서는 배출가스를 90% 감소 시키는 환경을 생각하는 기술 큰 충격을 주었던 볼보의 마인드... 그렇다면 볼보에서 제작한 S60이란 차는 어떤차일까~? S60에 대해서 하루에도 몇시간씩 알아보면서 타 제조사 차량들과 나름에 기준을 가지고 비교해 봤고 지금도 비교중이며 차량 나오기 전까지 비교해볼 생각입니다. 이차량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D세그먼트입니다. 경쟁차종으로는 3시리즈, C클래스, A4, CT4, G70등이 있습니다.  차량의 성능: 250마력으로 C200, A4 40tfsi보다 우위에 있으며 G70 2.0, CT4, 지금은 단종된330i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차량은 전륜구동이지만 후륜구동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S60이 처음나왔을때 모터그래프의 한 칼럼에서는 D세그먼트의 학살자라는 제목을 썼을 정도로 이 차량의 완성도는 높습니다. 정확히 차량의 가격대비 완성도가 높다는 의미겠죠. 차량의 실내공간: D세그먼트 차량중에서 가장넓은편 입니다. A6, 5시리즈와 비교해도 될정도입니다. 신형 3시리즈 실내공간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열 중간자리는 PHEV차량과 플랫폼을 동일하게 쓰기때문에  중간에 턱이 많이 올라와 있어서 가운데 사람이 앉으면 불편한 구조입니다. 차량의 실내공간 크기는 A6와 비교한 실측치수를 첨부했습니다. 차량의 옵션: 인스트립기준 수입차량 D세그먼트중에서 최고수준입니다. 타 제조사 E세그먼트 풀옵션과 비교 가능한 수준이죠. 그리고 B필러에 송풍구가 달려있는데 D세그먼트에서는 흔하지 않은 구조에요. 차량의 안전성: 안전성에 대한 자료는 얼마전에 브랜드별 차체강성이라는 게시글을 올린적이 있습니다. S60은 UHSS(초고장력 강판)의 사용비율은 타브랜드에 비해 상당히 높은편입니다.  이는 볼보라는 브랜드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인데 이정도 UHSS의 사용비율이 높은 제조사는 제가 알기로 볼보와 포드(링컨) 뿐입니다. 승차감: S60의 가장큰 장점중 하나는 시트와 스피커 그리고 실내의 고급감 입니다.  오토기어 S60 주행리뷰에서 S60의 시트를 그대로 대형세단에 적용시켜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할정도로 시트는 사기수준이고 스피커도 사기수준이죠...그리고 실내의 마감은 데쉬보드가 고급가죽이고 나무 무늬 처럼 보이는곳은 진짜 리얼 원목입니다. 이 차량의 가격은 인스트립 기준 5400입니다. 이 차량이 볼보가 아니라 독삼사의 마크를 달고 출시했다면 5800만원 정도의 시장가격대가 형성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S60은 수많은 리뷰어들이 딱히 단점을 지적하지 않은 차량입니다. 그럼에도 단점으로 지적된 것을 꼽아본다면.. 1. 하부소음 2. 넓은 실내공간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트렁크공간 3. 터보랙 이정도가 있겠네요. 차량을 구매할때 가장 중요한건 구매용도(사용목적)라고 생각합니다.  패밀리카, 펀카등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것인가~?  그리고 운전대를 주로 잡는사람은 누구인가? 제 경우에는 평일에는 와이프가 마트및 어린이집 등원용 주말에는 패밀리카용도 입니다. 와이프는 초보운전이라 운전이 서툴러서 E세그먼트 보다는 D세그먼트중에 실내공간이 넓은차량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글을 쓴 목적은 사용용도에 따라서 5시리즈나 A6같은 E세그먼트보다 S60같은 D세그먼트 차량이 나을수도 있다는 부분을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겟차회원님들 항상 좋은일 가득하세요~^^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댓글

61

탈퇴자

Lv 87
20.10.26

지금도 다시 차 뽑으라면 S60고민할 듯 싶어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장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요요기

Lv 120
20.10.26

오늘s60 보고 왔습니다

댓글 이미지
댓글 좋아요

5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오~~드디어!! 후기 기대해봅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밥먼저먹자

Lv 20
20.10.26

요즘 같이 할인으로 싱숭생숭한 시기에 s60을 기다리시는 분들에게 진정을 줄수 있는 좋은 글이네요 ㅎ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감사합니다. 글을쓰는 재주가없어서 그정도 가치가있나 싶긴 하지만... 칭찬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DDdad

Lv 49
20.10.26

앉아본 사람은 절대 깔 수 없는 좋은 차입니다 응구님 기다림이 오래되가긴 해요ㅜ 언능 받으시길요ㅎ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2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그렇죠. 앉아본사람은 못까죠..저는 아직도 반년가까이 남았어요..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DDdad

Lv 49
20.10.26

아..아직도 반년이라니ㅠ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에프딘

Lv 82
20.10.26

ZzzzZzzzzzz (대략 s60 대기 하다 졸린 이모티콘)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아 뼈맞았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머라카노

Lv 36
20.10.26

이 글은 따봉을 드리지 않을 수가 없네요. 따봉 첨 날려본 1인..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첫따봉이라니...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티유브이

Lv 22
20.10.26

따봉~!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장문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0.10.26

맞습니다~~^^ 체급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차는 아니죠~~ 물론 저는 개인적으로 가성비라는 최우선 순위에서 밀려서 S60에 큰 구매욕이 생기지는 않지만요~~^^;;; 아마도 4천대이기만 해도 심각하게 고려했을 차량일듯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3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6

흑... 또 뼈맞았다.. 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0.10.27

그치만 요즘의 중고감가 상황을 보면.. 얘가 진정한 가성비 차량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뼈 때리고 빨간약 발라주시는 선생님...ㅋㅋㅋ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초크미

Lv 110
20.10.26

ㅎㅎㅎㅎ 프레젠테이션 전문가포스!! 볼보직원보다 잘 소개하신듯!!^^ 잘봤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전문가 아닙니다...초크미님이 전문가시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건강하자

Lv 19
20.10.26

와... 차를 구매할때 저는 왜 이런 생각을 안해 봤을까요.. 반성합니다ㅜㅜ 좋은글 많은 도움받고 갑니다~~ 좋은차 인도 받으세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도움이되었다니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그냥 비싼 d세그먼트 그이상 그 이하도 아님 공간으로 전륜 d세그가 후륜e세그급과 비교하는건 말도 안되고 이가격에 볼보샀다는걸 그냥 장문의 글로 설명한것뿐이지요. 겟차는 가만보면 이상하리만치 볼보에 환상가지신분들이 많음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21

DDdad

Lv 49
20.10.27

그걸 모르고 작성자님이 글을 쓴것도 아니고 단점들도 충분히 언급했습니다. 볼보에 환상이 아니라 집 다음으로 큰돈 나가는거니까 신중하게 여건에 맞는 차를 구입하는거라고도 충분히 언급했답니다. 많이 피곤하시겠어요 아침부터 꼬운 시선 유지하며 글 쓰시느라. 님 차량은 무엇이고 어떻게 선택했는지 매우 궁금하네요^^

댓글 좋아요

5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단점 충분히 언급요? 어휴 ㅎㅎ 글쎄요 지금 누가 더 꼬운 시선 유지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님이야말로 뭐타고다니시길래 그러는지 궁금하구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DDdad

Lv 49
20.10.27

작성자님의 와이프님이 운전이 서툴러서 d세그 골랐고 상대적으로 2열은 넓지만 대신 트렁크는 작다고도 언급했고 차 자체에 대한 단점도 3가지 언급했네요. 제말은 차 선택에 대한 이유를 쓴 글이지 볼보에 대한 환상이 아니고, 그 가격에 s60 산걸 장황하게 쓴 글이 아니란 얘기를 하고싶은겁니다. 글을 읽고 리플을 다셔야지요

댓글 좋아요

4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논지를 못잡으시네 제목부터 d세그먼트입니다. d세그먼트는 d세그먼트와 비교하는게 맞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게 그렇게 아니꼽게 볼일인가요? 한번 말씀해보시죠 안전철학? 좋죠 볼보 안전해요 하지만 다른차도 다 안전해요. 초고장력강판이니뭐니 하지말고 iihs비교자료 가져와볼까요?? 여기가 무슨 볼보 카페도 아니고 적어도 겟차에서만큼은 차량 급에맞게 비교해야지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밥먼저먹자

Lv 20
20.10.27

블유님께서 언급하신 내용들은 작성자님께서 충분히 그리고 조심히 설명을 하셨어요. 블유님 스스로는 나름 저 글의 핵심을 집고 짧게 의견을 남기신거겠지만 ‘그이상 그이하’’설명한것뿐’ 라는 단어 사용엔 충분히 작성자 글을 각하시키거나 비꼬는 의미가 전해집니다. 조금 더 편하게 읽어주세요:)

댓글 좋아요

6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작성자님 예전글 iihs를 100%신뢰하느냐는 글을 본 기억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묻고싶네요 차량의 안전도를 초고장력강판의 사용 비율로 따지는게 맞는것인지 아님 전세계가 인정하는 안전도평가로 따지는게 맞는것인지를요 차량선택에 있어서 "안전"을 따지는건 중요합니다 다른 제조사는 모두 그 안전을 최우선으로 차량을 개발하죠. 당연한것이기때문에 광고를 안하는것 뿐입니다 볼보만 무슨 특별히 안전한것인것 마냥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한마디 하게 됐습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0.10.27

말씀 하신 분들의 모든 내용이 다들 일리 있으십니다~~~^^ 다만 다들 조금만 둥글게 둥글게 표현해주시면 더 좋지 않을까요?? 날이 서있는 표현 때문에 주옥같은 내용들이 묻히는게 안타깝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laptonplus&logNo=221978145732&navType=tl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DDdad

Lv 49
20.10.27

제목이 d세그먼트지 d세그먼트인 이차가 e세그보다 좋다는 글이 위에 있나요? 논지를 못잡으신건 블유님이십니다. 먼저 날이 선 표현을 한것도 블유님이시구요. 거기에 같이 맞대응으로 날선 표현을 한건 제 불찰 맞네요 세진님 말씀데로 순화되도록 저도 노력할테니 비꼬는듯한 얘기는 같이 자제합시다 블유님~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이 게시글은 타 제조사를 까려고 쓴 게시글이 아닙니다. 본문에서 차량의 사용용도와 단점에 대한부분도 충분히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실내공간 크기에 대해서 E세그먼트 차량과 비교한 실측 치수도 첨부했구요. 그리고 저는 본문어디에도 이 차량이 E세그먼트보다 좋다는 내용을 쓴적이 없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세그먼트의 급이 높은차량이 무조건 좋다라는 식의 투표결과를 여러번보고 사용목적에 따라서 그렇지 않다는 설명을 위해 작성한 게시글 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블유님께서 제가 볼보의 환상에 사로잡혔다고 보이신다면 차량 판매가 5500이하 차량을 제가 본문에 쓴 내용에 맞게 추천해주시면 충분히 검토할수있는 부분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논지를 잘못짚으신분들이 많으시네요 볼보 안좋다 한적 없습니다 환상을 가지신분들이 많다고 했을 뿐이지요. 왜 저만 날이 서있다고 생각하는지 의아하네요. dddad님, 제가 언제 볼보 d세그가 타브랜드 e세그보다 좋다고한것에 대한 반박을 했나요? 논지를 자꾸 못잡으시네요. 먼저 날이 선표현을 했다구요? 제가 무슨차 타는지 물어보신 님은 아주 점잖은 표현을하신거군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응구님, 차체강성과 iihs에 대한이야기는 위에서 했으니 넘어가고, 볼보 무릎에어백 일부모델에서 빼신건 알고계시죠? 안전옵션에서 모든차종이 동일하다 라는 말에 정면으로 대비대는 상황인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최근 IIHS 연구결과에서는 무릎 에어백이 오히려 무릎에 더 치명적인 상해를 준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오히려 안 달려 있어 다행인 상황이 되었다.#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볼보코리아 입장에선 전화위복인 셈. 사실, 무릎 에어백에 제조사들이 집착하게 된데는 미국시장의 특이한 환경 때문인데, 자유의지주의자들은 '음주운전은 다른사람에게 위험을 가하니 그렇다 치더라도 안전벨트는 다른사람에게 위해를 가히지는 않지 않냐'며 강력하게 지금까지도 주장 중이고 연방정부 또한 법으로 안전벨트를 강제화 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국민들이 죽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국민들이 죽는 것을 내버려둘 순 없으니 안전벨트 의무화 대신 미국정부는 법규로 4세대 에어백으로 강제하고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 무릎 등 온갖 곳을 에어백으로 도배해버리도록 강제화 하고 있다. 당장 측면 에어백을 못 달아서 단종된 슈퍼카를 봐라.(...) 무릎 에어백의 목적은 본래 저러한 특수한 환경에서 죽을 확률을 조금이나마 감소시키기 위함이지 무릎을 덜 다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출처: 나무위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저는 s60을 선택하신것 대해 뭐 태클을 걸고 싶은게 아닙니다 어차피 본문 내용응 응구님이 s60을 선택한 이유를 길게 적으신 것이잖아요? 요새들어 볼보가 인기많아지고 많은사람들이 눈여겨 보고계신건 알겠는데, 미국 차량안전평가를 봐도 그렇고 안전 옵션도 그렇고 안전에 있어서 과대평가 받고있는게 사실이고 볼보에대한 환상이 많은것 또한 사실이죠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하지만, 2019년도 xc90에는 무릎에어백을 넣었죠. 볼보도 차종에 차등을 줬단 이야기죠. 지금 xc90에는 무릎에어백이 있는진 모르겠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DDdad

Lv 49
20.10.27

블유님 기분 나쁘신 것에 대한 것은 사죄드립니다. 허나 님의 d세그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다, 장문의 글로 설명한거 뿐이다. 환상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 내용은 본문을 쓴 작성자님의 의도가 아니라구요ㅡㅡ 그래서 더욱 비꼽게 들렸습니다. 저한테는. 자꾸 논점 논점 얘기하시는데 왜 못알아들으시는건지... 암튼 기분 나쁘셨던 점은 정중히 사과드립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사죄하실 필요까진 없습니다. 저도 볼보 오랫동안 봐왔고 시승하고 딜러랑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면서 무릎에어백 물어봤더니 빠졌대요. 왜 빠졌냐니까 차체강성이 너무 좋아서 무릎까지 데미지가 올 일이 없다네요. 물어보면 맨날 안전이 어쩌고 오디오가 어쩌고 이런말만 되풀이해요. 찾아보니 xc90에는 무릎에어백이 왜 있냐니까 아무말도 못해요 곧 빠질꺼라나? 오래되서 기억도 잘 안나네요. 있던게 빠진다는게 당시로선 이해가 많이 안갔거든요. 그것도 볼보가. 제가 키가 크고 다리가 길어서 무릎에어백에 좀 민감했던것도 있지만 뭔가 볼보가 안전이미지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블유

Lv 24
20.10.27

가 과대평가 받고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볼보 좋아요. 좋은차 하루빨리 받으셔서 안전운전 하시길 바랄께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도와줘요겟챠

Lv 13
20.10.27

S60 6월에 대기 걸고 기다리는 중인데 기대감을 더 키워주는 글이네요 ㅋㅋㅋ 기대감이 더 커집니다. 비례해서 기다림의 고통도 커지네요 ㅠㅠ

댓글 좋아요

3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오~~동지네요.. 저보다는 빨리 받으시겠군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칼리토

Lv 24
20.10.27

비엠은 운전재미, 벤츠는 편안한 승차감(AMG제외), 볼보는 안전..대기기간이 길지않다면 저도 S60 을 구매 고려대상에 넣었을거같습니다. 잘봤어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공감합니다. 각 제조사마다 특성이 있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Fixed

Lv 25
20.10.27

볼보도 독일차도 다 좋은차입니다. 개개인의 성향과 목적에 맞게 구매하시면 됩니다. 차는 차일뿐..어차피 다 지나가는 차 아니겠어요? 만족하시며 타시길 바랍니다. 아 양품뽑기도 하시길!!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그렇죠. 개개인 성향과 사용목적이 제일중요하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겟차172960

Lv 7
20.10.27

하부소음의 경우 방법이 있나요? 구매고려중인데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7

하부 방음을하면 되긴하는데 돈이들어가니까 소음에 민감하시면 타 제조사 차량들도 한번씩 시승해보면서 여유있게 선택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새우덧

Lv 8
20.10.28

그냥 본인이 느끼는 가치에대해 얘기한걸 그건아니지라고 반문아닌 반문과 결론지어 본인의견만 내까리는건 무슨 심산인지 기분은 딴데가서 풀길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0.28

다음부터 게시글쓸때 더 주의해서 쓰려구요..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광파리

Lv 20
20.11.03

와 진짜 볼보 짱이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1.03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가 참 매력적이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콩코드

Lv 3
20.11.06

하브나 나왔으면 좋겠음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탈퇴자

Lv 83
작성자
20.11.06

외국에서는 S60 T8 PHEV판매중으로 알고있는데 가격이 높아서...한국서는 안팔듯해요.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HOT
자유주제

bmw 계기판 표시질문입니다

차선이있고 차가 틀어져있는 초록색 표시는 뭘의미하는건가요??

thumbnail
악세|20.10.26
like-count0
commnet-count20
view-count1,937
20.10.26
자유주제

“차는 옐로우” 노랑이분들께

노란색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배척받았습니다. 왜냐면 친척 색깔 중에 황금색이 있었기 때문에요. 골드는 왜 있어가지고....(찰스 바클리에게 MJ같은..) 중세유럽에서는 가롯유다(예수를 배신한)를 노랑머리로 묘사했다고 하죠. 십자군 원정에 실패한 가톨릭계는 그 비난의 화살을 여성과 유대인에게 돌려야 했죠 마녀 사냥이 시작된 거죠 ? 변화는 르네상스

thumbnail
탈퇴자|20.10.26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1,546
20.10.26
HOT
자유주제

신형 BMW 디지털 카드키 사용방법

무거운 키 안들고 다녀서 좋네요^^ 버스 카드 처럼 테그 하면 문 열리네요 ㅋ 시동걸때는 무선 충전 하는 곳에 카드를 올리고 시동걸면 되시구요~ 카드키는 간단한 설정으로 등록이 가능 하네요^^

thumbnail
요요기|20.10.26
like-count4
commnet-count20
view-count4,868
20.10.26
자유주제

피아트 500, 도어가 하나 더 추가되다.

어떻게 보면 흥미로운 소식인데, 피아트 500에 도어가 하나 더 추가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사진은 넷카쇼에서 퍼왔습니다.

thumbnail
슈프림|20.10.26
like-count2
commnet-count5
view-count1,365
20.10.26
자유주제

한 번 쯤은 아우토반

1933년 히틀러는 총리에 오르고 사실 독재 체제 구축합니다. 당시 독일은 실업자가 전인구 절반에 이를 정도로 위기였다고 합니다. 타개책으로서 대규모 국책 사업을 벌이게 되는데 비틀의 탄생을 알리는 “국민차 사업”과 “아우토반” 건설입니다. 비틀은 나중에 다루기로 하고, 히틀러는 고속도로 건설에 관한 전권을 “프리츠 토트”에게 위임합니다. 토트는 이

thumbnail
탈퇴자|20.10.26
like-count5
commnet-count14
view-count1,771
20.10.26
자유주제

☆아우디 a6 질문 급해요 ㅠㅠ☆

할인가가 좀 떨어지네요 a6가솔린프리미엄이 그냥 할인만보면 850~900이 더라고요 다른 분들은 더 많이 받는거 같은데 혹시 더받으신분들 어디서 받았는지 궁금해요 ㅠㅠ 다들 큰거1장은 받으신거같은데 ㅠㅠ

huynyg|20.10.26
like-count0
commnet-count12
view-count1,859
20.10.26
자유주제

bmw 카플레이 질문

비엠 네비가 자꾸 절 실망시켜서(보기엔 좋아보이는데) 카플레이 쓸까 하는데 카플레이는 하고 전화는 블투 연결 안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검은비|20.10.26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1,379
20.10.26
자유주제

신용카드 추천...!!

신용카드 추천부탁드립니당..!! 한달에 기름값 14-15만원 나머지 생활하는 돈 60-65만원정도에용 가온올림카드 국민은행꺼쓰고있는데 크게 혜택이읎네용 다른것 추천해주실카드 있으실까요..??

갠옴스키|20.10.26
like-count0
commnet-count14
view-count1,389
20.10.26
HOT
자유주제

BMW신형 4시리즈 키드니 그릴 크기

실제 보면 헉 놀라겠지만 .... 적응 될듯요

thumbnail
요요기|20.10.26
like-count4
commnet-count16
view-count2,331
20.10.26
HOT
자유주제

세계에서 가장 빠른차 베스트 11

1. 2020 테슬라 모델 X - 0-96km/h 2.6 초 2. 2021 닷지 듀랑고 SRT 헬캣 - 0-96km/h 3.5초  3.2021 포드 머스탱 마하-E GT - 0-96km/h 3.5초  4.2021 지프 그랜드 체로키 토마호크 - 0-96km/h 3.5초 5.2020 람보르기니 우루스 - 0-96km/h 3.5초 . . . . 11.2

thumbnail
요요기|20.10.26
like-count3
commnet-count16
view-count2,153
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