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주) G4 렉스턴 등 34533 차종 - 요소수제어기,요소수분사기관련리콜

리콜 알리미
21.12.29

687
댓글
0
쌍용자동차(주) 티볼리 등 3776 차종 - 엔진제어장치,산소센서,요소수제어기,요소수분사기관련리콜
쌍용자동차(주) 티볼리 ① 엔진제어장치(ECU) 소프트웨어 튜닝 미흡에 의한 산소센서 카본 과퇴적 / ② 요소수 분사량 제어기(DCU) 소프트웨어 튜닝 미흡 및 요소수 분사기 품질 산포로 인해, 차량 운행 시 계기판에 ① 엔진 경고등 또는 ②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는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서 일부 차량의 경우 배출가스에 영향을 미칠




쌍용자동차(주) 코란도 등 419 차종 - 요소수제어기관련리콜
쌍용자동차(주) 코란도 요소수 분사량 제어기(DCU) 소프트웨어 튜닝 미흡으로 차량 운행 시 계기판에 요수수 시스템 경고등이 점등 될 수 있으며, 이는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서 일부 차량의 경우 배출가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에 따른 리콜 요소수 제어기(DCU)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쌍용자동차(주) 코란도 등 13558 차종 - 엔진제어장치,산소센서,요소수제어기,요소수분사기관련리콜
쌍용자동차(주) 코란도 ① 엔진제어장치(ECU) 소프트웨어 튜닝 미흡에 의한 산소센서 카본 과퇴적 / ② 요소수 분사량 제어기(DCU) 소프트웨어 튜닝 미흡 및 요소수 분사기 품질 산포로 인해, 차량 운행 시 계기판에 ① 엔진 경고등 또는 ②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는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서 일부 차량의 경우 배출가스에 영향을 미칠




혼다코리아(주) CBR1000RR-R 등 13 차종 - R
혼다코리아(주) CBR1000RR-R 제작 공정 중 라디에이터 캡의 제조 불량으로 라디에이터 캡과 필러넥이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라디데이터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라디에이터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냉각수 저장 탱크의 오버플로튜브에서 고온의 냉각수가 분출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운전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라




볼보트럭코리아(주) 볼보 트랙터 등 2730 차종 - 요소수펌프관련리콜
볼보트럭코리아(주) 볼보 트랙터, 볼보 카고 요소수 펌프 내부 구성부품의 내구성 저하로 결함 발생 시 경고등 점등 및 10시간 경과 후 25% 토크 저하 및 추가 10시간 경과 후 20km/h 차량 속도 제한 발생 가능성에 따른 리콜 <*대상차량별 생산일자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제작사 고객센터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요소수 펌프 개선품 신품




현대자동차(주) 쏘나타 하이브리드 (LF HEV) 등 14616 차종 - 엔진관련리콜
현대자동차(주) 쏘나타 하이브리드 (LF HEV) 확인 불가한 여러 사유로 발생하여 원인을 알 수 없으나, 시동 꺼짐 및 화재 발생 예방 차원에 따른 리콜 KSDS 로직 ECU 업그레이드 (* 이후 경고등 점등 입고 시 엔진 쿼터시스(진동)을 점검하여 불량 판정 시 엔진 교환)




기아주식회사 카렌스 (RP) 등 18944 차종 - LPG연료펌프내부연료공급차단밸브관련리콜
기아주식회사 카렌스 (RP) 제조공정에서 연료공급 차단 밸브의 코일에 발생한 스크래치로 밸브의 작동이 불가능하여 연료공급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주행 중 시동꺼짐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른 리콜 점검 후 연료공급 차단 밸브 교환




포르쉐코리아 주식회사 파나메라 등 10 차종 - 휠관련리콜
포르쉐코리아 주식회사 파나메라 휠 내측에 제작자명, 휠의 윤곽에 대한 호칭, 휠인셋 또는 아웃셋, 제조일 또는 제조 연월, 부품번호 정보가 미표기 되어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위반임이 확인됨에 따른 리콜 대상 차량의 휠 내측 정보 확인 후 정보 표기가 없는 휠을 교환하는 작업을 진행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6 45 TFSI 등 11929 차종 - 엔진컨트롤유닛관련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A6 45 TFSI, A6 45 TFSI Premium, A6 45 TFSI qu., A6 45 TFSI qu. Premium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된 일부 차량이 공회전 속도 근방에서 작동될 떄 엔진제어유닛 소프트웨어에 의한 캠축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특정 작동 상황에서 캠축이 최적의 위치에 도달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The Beetle 2.0 TDI 등 2102 차종 - 운전석에어백인플레이터관련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The Beetle 2.0 TDI 특정 기간 내에 생산된 구 다카타社의 전방 에어백(SDI-D, PSAN: 위상안정화 질산 암모늄)의 추진제는 높은 습도와 심한 온도 변화에 따라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추진제 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전방 에어백이 전개되는 사고 발생 시, 날카로운 금속 조각이 떨어져 나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