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전고체 배터리 국가별 개발 현황

BMW 로고 이미지
탈퇴자Lv 87
조회 수1,505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 (1편에 이어) 도요타가 1990년대부터 개발해 오다가 테슬라가 쏘아 올린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다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 이미 도요타는 2019년에 파나소닉과 손잡고 전고체 배터리를 단 전기차 개발을 해 어고 있었죠. 코로나19 아니었다면 올림픽에서 전기자율주행버스 e palette 운행을 목격했을 수도... 그러나 충방전시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현재 기술로는 에너지 밀도가 리튬배터리에 미치지 못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그럼에도 배터리 시장 주도권을 다시 움켜 쥐고 싶은 일본은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도요타 외에도 많은 업체가 나서고 있어서 예의조차 해야 합니다. 2017년부터 현대차도 관련 개발팀을 자체 운영 중이고 작년에 삼성 SDI와 만나서 논의 중인걸로 압니다. 삼성전자는 전고체 배터리 충방전시 발생하는 덴트라이트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기술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LG화학도 전고체 배터리 쓰이는 신소재 사업본부를 별도로 설립 관련 원천 기술 특허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힘을 내요 엘쥐?) 미국은 Solid Power라는 스타트업이 대표적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 중인데 자체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 양산이 목표라고 합니다(도요타의 일치하네요) 중국이 사실 태풍의 핵인 듯 싶은데 “칭다오에너지”가 개발 중이고 이미 생산공장까지 갖춘 상태랍니다. 대만도 ProLogium사가 중국전기차 Enovate 그리고 지난 번 소개한 NiO와 공동 개발 중이며 아이폰 만드는 폭스콘도 독자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고체 배터리가 양산이라는 장벽을 당장 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청소기로 유명한 다이슨이 뛰어들었다 쓴 맛을 봤고요(물론 현실화 됐으면 완충시 960km 주파 가능했다고 ...) 세계 1위 자동차 부품사 보쉬 Bosch도 도전했다가 지금은 철수한 상태라네요. 출처: KDB 미래전략연구소,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개발 동향 및 전망, 2020년 11월호

댓글 2

BMW 로고 이미지MINI 로고 이미지TESLA 로고 이미지
초크미Lv 110

바램으론 울나라 기업이 가장 먼저 성과를 내줬으면 싶네요~ ㅎㅎ

BMW 로고 이미지
탈퇴자Lv 87작성자

LG화학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