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전기차에 대한 솔직한 제 생각

BMW 로고 이미지CADILLAC 로고 이미지
에릭킴Lv 43
조회 수1,458

애초에.. 자동차 회사들의 전 지구적 과제가 ​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넘어간다!.. 가 아니고 ​ "탄소절감" 이 글로벌 목표였습니다만,.. ​ 그 탄소절감때문에 유로식스 유로파이브니 미국의 탄소규제니.. ​ 그러다가 2000년대에 폭스바겐을 필두로.. "디젤이야말로 클린하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며 출력도 연비도 잘 나온다!" 해서.. ​ 미국 빼고 전 세계가 디젤차만 주구좡창..(우리나라만 해도 520d.. a6 2.0tdi..등등 어마어마하게 팔렸쥬) ​ 그러다 디젤게이트라는 뒷통수 퍽! 맞고.. ​ 사실 디젤게이트를 시작으로 그 전부터 논의되던 탄소절감의 대안 중 하나인 전기차 개발이 더 가속화 된 거일 뿐.. 전기차가 탄소절감에 대한 완벽한 솔루션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미 수입차들 가솔린 모델만 해도.. 저공해 3종을 받을 정도로 탄소절감 기술이 대단하구요 전기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기가 공짜도 아니고(최소 화석 연료를 태우던가 원자력 발전을 하던가..) 배터리에 들어가는 화학물, 중금속, 희토류 등이 또다른 지구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는거고.. 폭바 디젤게이트처럼 뒷통수를 칠 여지는 얼마든지 있거든요 . 그리고.. 사고친 전력이 있는 애들이.. 또 전량 전기차를 한다고 하네요? ㅋㅎㅎ;; 게다가 그냥 킹리적 갓심이긴 합니다만, 폭바는 중국시장이 아직 블루오션이고.. 중국은 배터리화학이나 전기차 개발이 엄청 큰 나라중 하납니다.(국내 우편배달용 전기차 전부 중국산이죠) 이미 미국이나 유럽 등 몇몇 경제전문가들은.. 현재 전기차 시대따위의 용어나 열풍을 자동차 제조의 후발주자들이 시장교란을 하려는 언플이나 움직임으로 보고 있기도 한답니다.(전기차시대가 진짜 되면 가장 이익보는 게 중국이랑 현대차..) ​ 그리고 자동차 회사들도 바보가 아닌지라.. 백년 넘게 쌓아올린 기술력+ 내연기관의 신뢰성(이게 가장 중요) 등을 마냥 포기할 수 있는 노릇도 아니고.. ​ 내연기관 기술연구 중 친환경,탄소절감,효율 쪽 연구가 아직도 큰 비중으로 연구 중인 마당에.. ​ 전기차가 내연기관 4기통 8기통 터보 자연흡기 처럼 취향과 선택의 영역으로 확장 될 여지는 있어도 내연기관이 모두 사라지고 all 전기차시대 는 좀 아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최신 전기차들이 혁신보단 신 모델이 나올때마다 옆그레이드 혹은 결함이나 이슈를 안고 나오는 데다가 ​ 전기차 만들기 시작한 독일브랜드들..역시 차도 만들어본 애들이 잘 한다고 엄청 잘 나오고 있고 ​ 포르쉐는 고급 전기차 기준에 깃발을 꼽아버리고 내 아래 미만 잡 선을 그어버렸죠.. ​ 어지간한 혁신 아니고선 전기차가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아참! 그리고 전기차는 탄소총배출량 기준에 따라 어떤나라는 친환경일수도 있고 또 어떤나라는 친환경이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유럽 내 탄소총배출량 기준(전기발전에 들어가는 연료 포함)이 빡세지는 거를 자꾸 내연기관의 삭제로 언론도 그렇고 잘못 이해하시는 분들 많아서 그 부분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아직은 탄소 총배출량에 따르면 전기차가 친환경이지만, 앞으로 화력발전하고 태양광 폐기패널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 국가 탄소총배출량이 그만큼 늘어나게 될 것이고 전기차가 친환경이 아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댓글 9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전기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며 발생하는 공해보다 각각의 내연기관차가 발생시키는 공해가 더 크다고는 하시더라고요.. 근데 폐배터리 처리가 더 어렵다고 전에 그쪽전공자분이 알려주시긴했어요.. 말그대로 '덜'오염시키는거지, 친환경은 아닌게 맞죠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auto2063Lv 91

에릭킴 님 오랜만에 좋은 글 올려 주셨네요 제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잘 정리해 주셨어요? 전기차는 친환경 발전의 증가와 함께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배터리 만드는 재료와 공정도 친환경이 되야 하고요 폐배터리 폐기 및 재활용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 혹은 공론화도 필요하다 사료됩니다

TESLA 로고 이미지
김쓰랄Lv 13

차 자체로 덜 오염시키는 것도 맞고, 자동차 부품, 관리 용품, 소모품이 전기차는 극히 적어서 이런 부분 생산 줄이는 것도 환경에 큰 도움이죠. 전기차가 미래는 맞다고 봅니다.

BMW 로고 이미지MINI 로고 이미지TESLA 로고 이미지
초크미Lv 110

에릭킴님 따봉~? 테슬라 일론머스크도 이 부분때문에 재생에너지 사용에 더 열을 올리고 있지 않나 싶네요. 물론 다른 it기업들도 서버돌리는 것 같은 방대한 전력이 필요한 사업엔 재생에너지를 미리 어마어마한 양을 사놓는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환경규제 때문에 패널티 먹는게 싫어서겠지만^^; 어쨌거나,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쪽으로 다들 노력하고 있으니, 결국엔 에릭킴님 글처럼 전기차던 내연기관이던 대체방안들이 나와서 다양한 방식이 공존하는 세상이 한동안은 유지되지않을까 싶네요.

KIA 로고 이미지HYUNDAI 로고 이미지
소니7Lv 90

좋은글 좋네요!

CHEVROLET 로고 이미지VOLVO 로고 이미지
MedispelLv 50

잘 읽었습니다. 30년 이내에는 내연기관의 몰락은 오지 않을 겁니다. 트랜드가 돌고 도는 것일 뿐 가솔린의 몰락은 없었고 디젤의 몰락도 없었으며 나아가 내연기관의 몰락 또한 오지 않을 겁니다. 100년 전까지만 해도 전기차 천하였지만 이후 100년간은 내연기관 천하였습니다. 내연기관은 계속 발전하고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도 같이 발전하면서 내연기관과 전기차는 공존할겁니다.

CHEVROLET 로고 이미지VOLVO 로고 이미지
MedispelLv 50

전기차와 내연기관의 역사를 다룬 기사입니다.

백 투 더 퓨처, 100년 전 전기차백 투 더 퓨처, 100년 전 전기차
BMW 로고 이미지
네두Lv 29

개별 엔진이 가솔린을 때서 그걸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것과 화력발전을 통해 대량 전력을 발전시키는 것과 그 효율이 달라서요 물론 그렇게 따지면 전기차도 분명 환경오염에 일정부분 기여하는 바는 있으나 내연기관보단 덜 오염시키는 것은 확실합니다. 또 그리고 휘발유를 사용하기 위해선 정유공장에서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 과정에서 나오는 환경오염도 만만치 않아요~ 내연기관이 줄어들면 화석연료 사용이 줄기에 정유공장도 덜 가동되고 여러 차원에서 확실히 친환경적인 것은 맞습니다.

BENZ 로고 이미지
아엠게쥐티Lv 82

전기가 내연기관보단 친환경적인건 맞는거같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