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1억 넘는 비싼 전기차 누가사?' 했지만..매달 수백대씩 팔렸다

vi

Lv 103

21.12.15

view_cnt

1,231

구매 보조금을 전혀받지 못하는 데도 '억'소리 나는 전기차들의 판매가 순항 중이다. 보조금 지급 여부에 따라 판매량이 극단적으로 갈리는 중저가형 전기차와는 다른 양상이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도 가세하면서 '전기차의 양극화' 추세는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14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초고가' 전기차 판매 흥행에 힘입어 올 연말 출고가 1억원을 가볍게 넘기는 신차들이 연이어 출시되고 있다. 전날 아우디코리아는 고성능 전기차 모델인 RS e-트론 GT를 출시했다. 출고가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2억632만원이다. 같은날 e-트론 GT 콰트로도 1억4332만원에 내놨다. e-트론 GT 콰트로는 지난 2월 해외서 먼저 출시됐다. 전기 모터 두 개를 차량에 탑재된 게 특징이다. 최고 출력은 530마력, 최고 속도는 시속 245㎞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은 93.4㎾h다. 1회 배터리 완충시 최대 362㎞를 주행할 수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달 25일부터 더 뉴 EQS의 판매를 시작했다. 전기차계의 S클래스를 표방하는 만큼 출고가도 비싸다. 국내에서 판매 예정인 더뉴EQS 450+ AMG의 출고가는 1억7700만원이다. 이 모델은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12개를 탑재했다. 배터리 관리 소프트웨어는 무선 통신을 이용해 업데이트를 한다. 더 뉴 EQS 450+ AMG의 배터리 용량은 107.8㎾h다. 1회 완충시 최대 478㎞를 주행할 수 있다. 특정 조건이 맞을 경우 최대 200kW 급속 충전을 지원해 배터리 잔량이 10%만 남은 상태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3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BMW코리아는 iX xDrive(드라이브)40 모델을 1억2260만원, iX xDrive50 모델은 1억4630만원에 출시했다.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iX xDrive50이 복합 447㎞, iX xDrive40이 복합 313㎞다. 중저가 전기차들이 전기차 보조금 여유가 많이 남아있는 연초에 출시하는데 반해, 초고가 전기차들은 보조금 수령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출시 시점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정된 보조금을 두고 타 브랜드와 경쟁할 필요도 없다. 아직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충분한 상황이 아닌데도, 가격은 고급 내연기관차 수준이라 '초고가' 전기차들은 시기상조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예상을 깨고 아우디 e-트론, 포르쉐 타이칸 등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앞세운 전기차들이 올해 국내 시장에 자리잡기 시작했다. 모두 보조금 지급 상한선인 9000만원을 뛰어넘는다. 차량 모델도 다양해졌다. 아우디 e-트론은 기존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모델에 CUV(쿠페형 SUV) 모델인 스포트백 라인업이 추가됐다. 포르쉐 타이칸은 4S·터보·터보S 등 세단만 나오다가 지난 10월 왜건 모델인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가 출시됐다. 판매량도 꾸준하다. 아우디 e-트론은 출시 초반 1회 완충시 주행가능 거리가 지나치게 짧다는 비판에도 올해 11월까지 1098대가 판매됐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도 지난달에만 408대가 팔렸다. 포르쉐 타이칸은 1243대가 팔렸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내연기관차에서는 브랜드들의 특성이 확실하게 있었지만, 전기차는 디자인과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 있다"며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전기차 시장에서 어떻게 살아남을지 브랜드들의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다.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1억 넘는 비싼 전기차 누가사?' 했지만..매달 수백대씩 팔렸다

'1억 넘는 비싼 전기차 누가사?' 했지만..매달 수백대씩 팔렸다

사이트 방문

댓글

4

소니7

Lv 90
21.12.15

나빼고 다들 부자 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대유안대유

Lv 95
21.12.15

제네시스 G80전기차도 종종보이더라구요 ㅎ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ㅋ!ㅋ!ㅋ!

Lv 26
21.12.15

저 빼고도 다 부자세요 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1.12.16

돈들이 엄청많구나 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올해도 가장 많이 팔렸다 국산차는 그랜저, 수입차는 벤츠 E클래스

올 한 해 베스트셀링카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지난 1~11월 국내 승용차 판매에서 국산차는 그랜저(8만1344대), 수입차는 메르세데스 벤츠 E클래스(2만3333대)가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이미 최다 판매 모델을 기록했던 두 차는 올해도 왕좌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산 차 2위는 기아 카니발(6만7884대)이 차지했다. 지난해 7위 모델이었

thumbnail
vi|21.12.15
like-count2
commnet-count3
view-count1,079
21.12.15
자유주제

G70 3.3 vs 420i vs cla250 vs A6

안녕하세요 이번에 차를 바꿀까하는데요 저는 30중반이고요 용도는 출퇴근에 주말에 가끔 드라이브정도하고 거의 혼자나 둘이 탈겁니다 G70은 V6엔진에 출력도 압도적이고 가성비가 너무좋은데 단점은 좀 안예쁘다는거? 420i그란쿱은 그릴간지가 너~무 좋은데 옵션이 계속 빠진다하더라고요ㅠ 출력도 너무낮은거같고.. CLA는 차가그냥너무예뻐요 벤츠한번 타보고싶기도하

코뚱|21.12.15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852
21.12.15
자유주제

아우디 Q3는 이제 안나오는 건가요?

단종 전 완판이라고 뜨는데 내년 연식으로 새로 나오는 건지 이제 앞으로 아예 안나오는건지…?

와웅와웅|21.12.14
like-count0
commnet-count3
view-count1,066
21.12.14
자유주제

아우디a3 신형!!

진짜 이것만 기다리고 있는데 사전 계약은 운제쯤 할까요

qkqkdl|21.12.14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452
21.12.14
자유주제

日 토요타의 반격…2030년까지 전기차에 83조 원 투자

전기차 R&D와 설비투자에 83조 원 투자 2030년까지 글로벌 EV 판매 350만 대 추진 렉서스는 2035년까지 전 차종 전동화 전환 탄소중립 목표 위해 전기차 '풀 라인업' 구축 ▲상대적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일본 토요타가 대대적인 투자를 앞세운 중장기 전략을 공언했다. 도요타 아키오 사장은 "전기차 연구개발과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vi|21.12.14
like-count4
commnet-count6
view-count1,085
21.12.14
자유주제

x6 프로모션 없나요?

현재 x6 프로모션 없을까요??

코지킴|21.12.14
like-count0
commnet-count7
view-count1,516
21.12.14
자유주제

광택잘하는곳 추천좀여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에 거주하고 있는데 일산쪽 광택잘하시는곳 알고 계시는분 추천좀요~~~

닐리1|21.12.14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1,000
21.12.14
HOT
자유주제

[겟팁] 겨울철 자동차 관리 어떻게 하나요?

-

thumbnail
겟차운영팀|21.12.14
like-count10
commnet-count13
view-count7,327
21.12.14
자유주제

"람보르기니 엔진 차 사라지지 않아..합성연료 등 방법 찾겠다"

“람보르기니는 미래에도 운전의 재미에 초점을 맞추겠다.”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은 14일 국내 언론과 온라인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 세계 주요 완성차업체가 미래 차 전략으로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지만, 스포츠카 브랜드 람보르기니는 폭발적인 주행 성능과 같은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뜻으로 풀이

thumbnail
vi|21.12.14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1,345
21.12.14
자유주제

현대 신형 그랜저 포착, '각그랜저' 닮은 옆모습!

현대 신형 그랜저(GN7)를 포착했다. 2016년 출시한 IG에 이은 7세대 모델이다. 내년 연말 출시 예정이며, 3세대 플랫폼을 바탕으로 몸집을 키울 전망이다. 주간 주행등(DRL)과 헤드램프를 위아래로 분리한 모습이 눈에 띈다. 정확한 실루엣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스타리아처럼 그릴 윗부분에 길쭉한 램프를 두를 가능성도 있다. 앞 범퍼에는 세로형 LED

thumbnail
vi|21.12.14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2,052
21.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