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2021년 10월 국산차 판매…돌아온 그랜저와 위기의 XM3·트레일블레이저

Lv 1

21.11.01

view_cnt

1,383

10월 국내 완성차 업계는 전년(13만5495대) 대비 21.5% 감소한 10만6424대를 판매했다. 한 달여만에 월 10만대를 다시 기록했지만,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이어지며 완전한 회복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차종별로 그랜저가 10월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탈환했다. 이어 한때 소형 SUV 시장의 1위 자리를 두고 다투던 르노삼성 XM3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극심한 부진에 빠졌다.  현대차는 10월 내수 시장에서 4만6285대를 판매했다. 반도체 부족과 추석 연휴로 인한 영업일 감소 등을 겪은 올해 9월(3만6224대)보다 27.8% 반등했지만,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자릿수 마이너스 성장세다(전년比 -18.1%).  지난달 국산차 판매 1위 자리는 그랜저(9448대)가 탈환했다. 그랜저는 최근 전기차 생산을 위한 아산공장의 생산 라인 조정과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인해 10위권까지 밀려났으나, 공장 가동이 정상화되자 단숨에 선두로 치고 나섰다. 실제로 아산공장은 9월 27일 가동을 재개한 이후로 한 달 넘게 멈추지 않고 있다.  앞서 9월 깜짝 3위를 기록했던 쏘나타는 넉넉한 재고에 힘입어 6136대로 2위를 지켰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8.2% 성장세다. 현대차는 11월 그랜저와 쏘나타에 대해 각각 최대 10%와 7%의 공격적인 재고 할인 프로모션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두 차종의 이번 달 판매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9월 1위를 차지했던 아반떼는 10월 3368대(전년比 -59.5%)로 폭락했다. 아반떼는 N과 N라인, 하이브리드 등을 포함해 계약 후 미출고 물량이 2만5000대 이상 밀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반도체 대란으로 생산이 원활하지 않다. 이외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된 캐스퍼는 2506대로 판매량을 늘렸다. 다만, 이를 제외한 코나(975대, 전년比 -45.6%), 투싼(2911대, 전년比 -5.0%), 싼타페(3494대, 전년比 -12.7%), 팰리세이드(2582대, 전년比 -60.4%) 등 SUV 라인업은 큰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기아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3만7837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1.2% 감소세다.  10월 기아 실적은 쏘렌토·스포티지·K8 등 신차 3인방이 함께 힘을 내며 이끌었다. 쏘렌토는 전년대비 26.1% 감소한 5363대에 그쳤지만, 스포티지(4258대, 전년比 +198.8%)와 K8(4181대, 전년比 +126.7%)이 신차 효과를 제대로 발휘한 모양새다. 특히, 세 차종 모두 하이브리드 모델이 실적을 이끌었다. 쏘렌토(HV 2913대)와 K8(HV 2183대)은 내연기관 모델보다 하이브리드 모델이 더 많이 판매됐고, 스포티지(HV 1563대) 역시 하이브리드 비중이 29.1%에 달한다. 이와 함께 역주행 중인 레이(3399대, 전년比 +35.9%)가 새로운 경쟁자 캐스퍼보다 더 많이 판매되며, 경차 선두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어 카니발(3515대, 전년比 -70.9%)과 셀토스(2429대, 전년比 -27.4%)도 부진했고 EV6(2762대)는 나름 꾸준함을 유지했다.  제네시스는 10월 한 달간 1만1528대를 기록하며, 7월 이후 3개월 만에 월 1만대를 넘겼다.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판매량은 25.9% 늘어나며 국내 완성차 브랜드 중 유일하게 성장세를 달성했다. 지난달 제네시스 실적은 G80(6119대, 전년比 +16.2%)이 이끌었다. G80은 지난 4월 이후 6개월 만에 월 6000대를 넘기며 국산차 판매 3위 자리를 꿰찼다. 특히, 판매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던 G80 전동화 모델(536대)이 계속해서 힘을 보탰다. 지난달 G80 전동화 모델의 비중은 8.8%에 달한다. 이외 GV70도 2892대로 반등에 성공했다. GV80(1828대, 전년比 -33.4%)은 신차 효과가 떨어졌지만, 나름 꾸준함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지난 9월 말 공개된 GV60(47대)은 아직까지 본격적인 출고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르노삼성은 총 5002대를 판매했다. 전년대비 30.0% 감소했지만, 지난 6월 이후 4개월 만에 월 5000대를 넘기는 데 성공했다. 한동안 부진을 겪던 QM6가 2022년형 모델을 선보이며, 오랜만에 3487대로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전히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9.3%가 부족하다. 국내 유일 LPG SUV로 그 명성을 떨쳤던 QM6는 이달 중 누적 판매 2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마냥 기뻐할 수는 없다.  가장 큰 문제는 출시 2년 만에 월 1000대선이 무너져버린 XM3다. 지난달 XM3는 792대(전년比 -61.1%) 판매되며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차량 공개 후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된 2019년 3월 이후 역대 최저치다. XM3는 지난달 쌍용차 티볼리(804대)보다도 덜 팔렸다.  국내 시장에서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르노삼성은 수출에 사활을 걸고 있다. XM3 10월 수출 물량은 4819대로, 전체 내수 판매에 육박했다. 여기에 QM6도 1726대나 수출길에 오르며 힘을 보탰다. 쌍용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년대비 56.9% 감소한 3279대를 판매하며 극심한 부진을 기록했다. 이는 협력사의 납품 거부로 인해 14일이나 공장 가동이 중단됐던 올해 2월(2673대) 이후 최악의 성적표다. 다만, 한국GM의 부진 덕분에 꼴찌는 면했다. 지난달 부진에 대해 쌍용차는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에 따른 생산 차질로 인한 것"이라고 전했다. 구제척으로 티볼리(804대, 에어 포함), 코란도(477대), 렉스턴(328대), 렉스턴 스포츠(1670대, 칸 포함) 등 전체 라인업이 지난해의 반토막에 가까운 부진을 겪고 있다. 다만, 7000여대에 달하는 계약 후 미출고 물량이 남아있는 만큼 공급량만 받쳐준다면 반등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당초 쌍용차는 10월 5500대 판매를 목표로 삼았으나 공급 물량의 한계로 59.6% 밖에 팔지 못했다. 이와 더불어 수출 역시 5000대가 넘게 적체되어 있는 만큼 부품 수급이 관건이다.  한편, 지난달 20일 쌍용차와 매각 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인수 우선 협상대상자로 에디슨모터스를 선정했다. 당초 인수 금액으로 5000억원대를 제시한 이엘비엔티(EL B&T) 컨소시엄이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지만, 자금 조달 능력에 의문이 제기되며 평가 대상에서 제외됐다. 문제는 에디슨모터스 역시 자금 조달 및 차량 개발 능력 등과 관련해 계속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GM은 10월 한 달간 249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대비 64.7%나 감소한 성적이다. 지난해 10월보다 판매량이 늘어난 차종은 트래버스(310대, 전년比 +3.0%)뿐이다. 그러나 한국GM 내 판매 비중이 작기 때문에 실적 개선 효과는 거의 없다. 회사의 밥줄인 트레일블레이저는 전년대비 60.7% 폭락한 697대로 주저앉았다. 트레일블레이저 판매량이 600대 수준에 머무른 것은 출시 첫 달인 2020년 2월(608대) 이후 사상 처음이다. 올해 1~10월 트레일블레이저의 누적 판매량은 1만6992대로,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지난해 누적 판매량(2만887대)을 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외 스파크는 1074대 판매되며 차박 열풍으로 인해 역주행 중인 레이나 새롭게 등장한 경쟁자 캐스퍼에게 완전히 밀린 모양새다. 말리부(256대, 전년比 -52.6%)는 지난 9월과 비교해 두 배나 많이 판매됐지만, 티가 나지 않을 수준까지 쪼그라들었다.
2021년 10월 국산차 판매…돌아온 그랜저와 위기의 XM3·트레일블레이저

2021년 10월 국산차 판매…돌아온 그랜저와 위기의 XM3·트레일블레이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폭스바겐, 연비·스타일 더하고 가격 뺀 2022년형 티록 출시

폭스바겐코리아가 스타일과 성능, 연비를 높이고 가격은 낮춘 2022년형 티록을 출시했다. 올해 국내 첫선을 보인 티록은 다양한 안전 및 편의사양과 개성 있는 외관으로 MZ세대를 겨냥한 어반 콤팩트 SUV다. 2022년형 신차는 최고출력 150마력, 최대토크 36.7kg·m의 2.0 TDi 엔진과 7단 DSG 변속기가 조합됐다. 앞서 7월 출시된 신형 티

|21.11.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8
21.11.02
자유주제

블루샤크, 서울모빌리티쇼 참가…"전기 이륜차 브랜드 유일"

블루샤크코리아가 오는 11월 25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막을 올리는 서울모빌리티쇼(舊 서울모터쇼)에 참가한다. 블루샤크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서울모빌리티쇼에 참여하는 전기 이륜차 전문 브랜드는 블루샤크가 유일하다. 블루샤크코리아는 단독 전시 부스를 마련하고, 자사 전기스쿠터인 R시리즈와 더불어 제품 상담, 시승 행사, 고객 참여 이벤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1.10.25
자유주제

지프, '밀덕 취향 저격' 50대 한정 글래디에이터 사지 에디션 출시

지프 브랜드가 '글래디에이터 사지 에디션'을 국내 선보인다. 사지(Sarge)는 미군 부사관을 뜻하는 서전트(Sergeant)의 줄임말로, 중후한 녹색의 스페셜 바디 컬러가 특징인 지프 대표 컬러 에디션 중 하나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6월 랭글러 사지가 100대 한정 판매된 바 있다. 글래디에이터 사지 에디션 역시 50대만 한정 판매할 계획이다. 글래디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81
21.10.25
자유주제

현대차, 어린이 통학차량 무상 점검·후원 캠페인 실시

현대차가 전국 초등 및 특수학교의 통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H-스쿨케어'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어린이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통학하는 것을 목표로, '통학 차량 케어 서비스'와 'H-스페셜 무브먼트 프로젝트' 등 2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통학 차량 케어 서비스는 학교에서 어린이 통학 차량으로 사용 중인 스타리아,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3
21.10.25
자유주제

모하비 ATV부터 구급 장갑차까지 "차세대 군용차 다 모였다"

이달 18일부터 23일까지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전시회 2021(이하 서울 ADEX 2021)에서는 항공기를 비롯한 다양한 첨단 장비들이 일반인들에게 공개됐다.  전 세계 28개국, 440개 업체가 참가한 이번 전시회는 6일 동안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에어쇼와 항공기 기동이 주된 볼거리라 생각하지만, 현대로템과 기아가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1.10.25
자유주제

[이완 칼럼] 기름값 대란, 4~5년 간다? 폭스바겐 "전기차 사"

요즘 세계가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유럽도 예외는 아니죠. 오히려 다른 곳보다 더 힘든 상황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높은 가스료와 전기료의 유럽인데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것은 물론, 석탄 사용 증가에 따른 환경 문제까지 겹치며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프랑스 정부는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1.10.25
자유주제

할리데이비슨, '새로운 역사의 시작' 스포스터S 국내 첫 선

할리데이비슨코리아가 25일 서울 성수동 톤업에서 스포스터S(Sportster™ S)를 선보였다. 스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은 브랜드 스테디셀러로, 아이언 883·포티에잇·로드스터 등 할리데이비슨 입문자와 클래식 감성을 선호하는 라이더에게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올해 7월 글로벌 론칭을 통해 새롭게 공개된 스포스터S는 이번 국내 쇼케이스에 이어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1.10.25
자유주제

한국GM, 신형 타호·트래버스 투입!…대형 SUV 공세 선포

한국GM이 쉐보레 대형 SUV 라인업을 한층 더 강화할 방침이다. 한국GM은 최근 대형 SUV 트래버스의 부분변경 모델과 풀사이즈 SUV인 타호 일부 물량을 들여온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차량은 환경부 소음 및 배출가스를 비롯해 각종 인증과 자체 테스트를 위한 용도다. 한국GM 관계자는 "GM의 다양한 글로벌 라인업을 국내 시장에 선보이겠다는 내부 방침

|21.10.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4
21.10.25
자유주제

[시승기] 아우디 e-트론 GT, '유유자적'한 운전의 즐거움

전동화 시대, 배터리 및 전기모터 기술과 플랫폼의 공유를 한층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폭스바겐그룹에서는 대표적으로 포르쉐 타이칸과 아우디 e-트론 GT가 기술 공유 사례로 꼽힌다. 혹자는 동일한 뼈대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껍데기만 다른 차가 아니냐?"고 묻는다. e-트론 GT와 타이칸을 모두 경험해보기 전까지 누구나 그런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1.10.22
자유주제

유류세 20% 한시 인하…휘발유 164원·경유 116원·LPG 40원↓

연이은 유가 상승에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정부와 여당은 26일 국회에서 물가 대책 관련 당정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당정은 유가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11월 1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6개월간 휘발유·경유·LPG(뷰테인)에 대한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20%씩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액화천연가스(LN

|21.10.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