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디젤차 인기 급락…"소음·진동·잔고장에 요소수 사태까지"

Lv 1

21.11.15

view_cnt

703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디젤차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국산차 시장에서는 중대형 SUV 및 RV와 상용차를 제외하면 전멸에 가깝다. 한때 디젤차 점유율이 80%를 달했던 수입차 시장에서도 그 비중이 20%대까지 쪼그라들었다. 디젤차는 뛰어난 연료 효율성과 풍부한 토크를 바탕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런 디젤차가 어쩌다 이런 취급을 받게 됐을까. 디젤차의 인기가 시들해진 이유를 모터그래프 독자들에게 물어봤다. 이번 설문은 모터그래프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커뮤니티 등 1만5109명이 참여해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 논란의 이미지 "디젤게이트에 불까지 나던데…" 5위는 디젤차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187명, 1.22%)가 차지했다. 2015년 촉발된 폭스바겐그룹의 디젤게이트를 필두로, BMW에서 발생한 연쇄 화재 결함, 그리고 여러 수입사의 차량 인증 조작 혐의에 따른 출고 중단 사태와 연이은 리콜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일련의 해당 사건들은 전동화 시대를 한층 더 앞당기고 있다는 평가다. 포르쉐와 볼보는 디젤 라인업을 모두 단종시켰고, 제너럴모터스(GM)와 혼다 등도 더이상 새로운 디젤 엔진을 개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향후 '탈(脫)디젤'을 넘어 '탈(脫)내연기관'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 건강과 환경에 대한 걱정 "미세먼지와 발암물질 괜찮아?" 4위는 건강과 환경에 대한 걱정(986명, 6.53%)이다. 디젤엔진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Nox)은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배출가스 후처리 장치로 걸러지지 않은 미세 입자들은 인체에 유해하다는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자동차환경협회에 따르면, 디젤차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은 공기 중 유기화합물과 2차 결합해 초미세먼지를 생성한다. 이는 호흡기로 침투해 심각한 질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모터그래프 독자들은 "화물차처럼 당장의 대안이 없다면 모를까, 승용 디젤은 점진적으로 사라지는게 맞다"(ID: Js*****) 등 의견을 남겼다.  # 정부 정책 "오래된 차는 도심 진입 못해요" 정부의 정책 등 각종 규제(2238명, 14.81%)가 3위에 올랐다. 우선 정부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을 통해 봄·겨울철 노후경유차 도심 진입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 보조금과 함께 LPG 및 전기 상용차 구매 지원책 등을 통해 차량 교체를 유도하고 있다. 서울시와 제주도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디젤차 퇴출을 넘어, 오는 2030년부터 신규 등록을 제한할 방침이다.  독자들은 "디젤 효율 자체는 좋은데 각종 규제 때문에 메리트가 떨어지고 있다" (ID: 노***), "정부 정책이 발목을 크게 잡는다, 아껴 타도 어느 순간 놔줄 수밖에 없는 구조" (ID: O**), "결국 피부에 와닿는 게 가장 큰 이유 아니겠나" (ID: fe*****) 등 댓글을 남겼다.  # 대체 차종의 등장 "요즘 하이브리드 연비가 대박!" 하이브리드카를 중심으로 한 대체 차종의 등장(5601명, 37.07%)이 두 번째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국산차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카의 효율이 디젤차를 앞서기 시작했다. 현대차 투싼 1.6 하이브리드(16.2km/L)는 2.0 디젤(14.8km/L)보다 연비가 높고, 기아 쏘렌토도 1.6 하이브리드(15.3km/L)가 2.2 디젤(14.3km/L)을 넘어섰다. 독자들 사이에서도 전동화 모델의 효율성을 칭찬하는 댓글들이 주를 이뤘다. 이들은 "전기차가 발전하면서 디젤의 메리트가 거의 없어졌다" (ID: 밤*), "하이브리드로 하루 왕복 30km 타고 있는데 한달 주유비 5만원 정도 들더라" (ID: 하*), "요즘 경유차보다 하이브리드 연비가 더 좋다" (ID: hi******)라고 말했다. # 불편한 유지관리 "귀찮은 요소수 충전에 소음·진동까지" 대망의 1위는 유지관리의 어려움(6100명, 40.37%)이다. 주기적인 DPF 점검을 비롯해 요소수 충전에 대한 불편함, 주행거리 및 연식이 늘어날수록 심해지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탓했다. 특히 최근 요소수 대란이 발생하며, 탈(脫)디젤에 대한 분위기는 더욱 높아졌다. 요소수가 부족할 경우 차량 출력이 제한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아 운행이 불가능한 현상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댓글창엔 불편을 호소하는 독자들의 의견이 많았다. 독자들은 "10년째 디젤 타고 있는데 처음엔 괜찮았지만 나중 되니 소음과 진동이 심해졌다" (ID: 고****), "연비로 아낀 돈 수리비에 다 쓴다" (ID: ac*****), "10만km 넘기면 고장도 잘나고 진동이랑 소음도 심해진다" (ID: 둠**), "요소수 넣는 것도 귀찮은데 구하기도 어려워졌다" (ID: 근멸*******), "DPF 관리부터 흡기 클리닝까지 이래저래 신경 쓸게 많다" (ID: M*) 등의 의견을 남겼다. 
디젤차 인기 급락…"소음·진동·잔고장에 요소수 사태까지"

디젤차 인기 급락…"소음·진동·잔고장에 요소수 사태까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타타대우, "중·대형트럭 라인업 다 바꾼다"…프리마·노부스 풀체인지 예고

타타대우상용차가 오는 2022년 1월 새로운 중·대형트럭 라인업을 선보인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04년 공개된 노부스와 2009년 출시된 프리마가 드디어 풀체인지를 거치며 새로운 라인업으로 교체된다. 카고부터 트랙터, 덤프, 믹서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갖출 예정이며, 강인한 느낌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함께 새로운 네이밍이 적용될 예정이다. 파워트레인

|21.11.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0
21.11.16
자유주제

한국앤컴퍼니, 3Q 매출·영업이익 두 자릿수 성장…순이익은 감소

한국타이어 지주회사인 한국앤컴퍼니가 2021년 3분기 글로벌 경영실적(연결 기준)을 16일 발표했다. 올해 3분기 경영실적은 매출 2439억원, 영업이익 664억원, 순이익 619억원 등을 각각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달성했다. 다만, 환율에 따른 금융 비용 증가로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감소했다.

|21.11.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4
21.11.16
자유주제

치솟는 유가, 연비 좋은 수입차를 찾아보자!②

연이은 기름값 상승에 주유소에 방문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졌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8일 기준 전국 평균 휘발유가는 1804.06원이며, 서울 평균은 1880원을 훌쩍 넘겼다. 경유는 이보다 조금 저렴한 1599.73원이지만, 최근 요소수 대란까지 겹치며 SCR이 장착된 디젤차 운전자들은 이중고를 겪게 됐다.  이에 정부와 여당이 이달 12

|21.11.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1.11.03
자유주제

발빠른 정부, 베트남서 요소수 '60만 리터' 수입…급한불 꺼지나?

요소수 품절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베트남에서 차량용 요소수의 원료인 요소 200톤을 수입한다. 또한, 어제 발표된 호주로부터의 요소수 수입 물량도 2만리터에서 2만7000리터로 35% 늘어났다. 기획재정부 이억원 제1차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요소수 수급 관련 범부처 합동 대응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의 대책회의와 어제(7일) 열린 대외경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5
21.11.08
자유주제

경기도 "도내 경유차 55만대…필수 외 이용 자제 요청"

요소수 품귀 현상과 관련해 경기도가 긴급 대응책을 시행한다. 오병권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은 8일 도내 31개 시·군 부단체장이 참여한 가운데 요소수 관련 긴급 상황점검 영상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경유차는 자가용 41만5654대, 버스 7273대, 택시·렌터카 245대, 화물차 12만8890대 등 55만2000여대에 달한다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35
21.11.08
자유주제

기아, EV9 콘셉트 예고…이제 대형SUV도 전기로 간다!

기아가 오는 11일 대형 전기 SUV 'EV9' 콘셉트카를 선보인다. 기아는 8일(미국 현지시간) SNS를 통해 EV9 콘셉트카를 공개한다고 전했다. EV9은 모하비 크기의 대형 SUV로, 국산 전기차 중 가장 큰 실내 공간을 자랑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 E-GMP 플랫폼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항속거리와 배터리 용량 등 세부 사양은 공개되지

|21.11.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90
21.11.09
자유주제

콘티넨탈, 그때그때 필요한 정보만 띄우는 '샤이테크 디스플레이' 공개

콘티넨탈이 자율주행 시대에 맞춘 첨단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9일 소개했다. 자율주행 기술의 성장과 함께 점점 더 많은 양의 정보가 처리되고 표시된다.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 차량에는 대화면 스크린이 내장되고 있지만, 지나치게 많은 정보로 인해 운전자 집중력이 저해되고 있다. 콘티넨탈은 대형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대안으로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보여지는 '샤

|21.11.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1.11.09
자유주제

람보르기니, 가축 배설물·음식물 쓰레기로 공장 가동…탄소배출 80% 감축

람보르기니가 가축 배설물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공장을 운영할 예정이다. 람보르기니는 오는 2023년부터 이탈리아 산타가타 볼로냐 공장의 전력을 바이오메탄 시스템으로 교체하고 탄소배출 저감을 실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바이오메탄을 활용한 전력 시스템은 400만㎥ 부지에 전력을 공급한다. 람보르기니는 바이오메탄 시스템을 완

|21.11.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6
21.11.09
자유주제

얌체 운전 멈춰!'…경찰, 과속카메라 탑재 순찰차 도입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얌체 캥거루 운전'이 근절될 전망이다. 경찰청은 11월부터 달리면서 과속 단속을 할 수 있는 '탑재형 교통단속장비'를 순찰차에 탑재 운영한다고 밝혔다. 순찰차 탑재형 교통단속장비는 전방 차량의 속도를 측정해 과속을 자동 추출한다. 레이더를 활용해 속도측정 정확도(오차 2% 내외)를 높이고, 고성능 카

|21.11.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07
21.11.09
자유주제

[시승기] '컨버터블의 계절이 돌아왔다!' 제철에 만난 매력덩어리 4대

단풍이 곱게 물드는 선선한 날씨, 바야흐로 '컨버터블의 계절'이 돌아왔다. 컨버터블은 뜨거운 여름과 혹한의 겨울에도 그 매력을 발휘하지만, 쾌적한 날씨가 더해진다면 재미와 만족은 훨씬 더 커진다. 모터그래프가 구동 방식부터 엔진 출력까지 각기 다른 4종의 컨버터블을 모아봤다. 다양한 매력을 지닌 100~400마력대 컨버터블 4종을 타고 늦가을 강원도 배후

|21.10.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55
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