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알쏭달쏭 엔진오일, 궁금했던 8가지…교환 주기? 연비 개선? 순정 오일?

Lv 1

21.11.15

view_cnt

914

엔진오일은 '엔진이 제대로 움직일 수 있게 도와주는 기름'이다. 1분에 수천 번 회전하는 쇳덩어리가 서로 긁히지 않고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며(윤활), 열을 식히고(냉각),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방청), 연료나 가스가 밖으로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밀봉)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활약하기 때문일까. 엔진오일의 중요성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는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사실도 모르는 경우가 있다. 과연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환한다면 언제, 어떤 제품으로 교환하는 것이 좋을까. SK지크 강병희 연구원에게 직접 물어봤다. 엔진오일의 기능은 오일로써 엔진 부품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그 부품 간의 마찰에서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여기에 엔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또, 연소 과정에서 미연소 된 불순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불순물들이 엔진 부품에 달라붙지 않도록 청소해 주고 제거해 주는 기능도 한다. 이밖에 녹을 방지한다던가 부식을 방지한다던가, 연소실 밀봉이 잘 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역할 등이 있다.  연소과정에서는 많은 이물질이 발생한다. 엔진오일이 이를 세척하는데, 그러는 동안 이물질이 엔진오일에 쌓이게 된다. 그러면 엔진오일이 더 이상 청소를 못 하게 되고, 이물질들이 뭉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 상태가 되면 엔진오일의 점도가 변하는 등 결과적으로 엔진을 충분히 보호해 주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엔진오일은 정기적으로 교환을 해줘야 한다. 자동차 제조사가 매뉴얼에 교환 주기를 명시하고 있다. 매뉴얼을 보면 '몇 km마다 교체해야 한다', '가혹 환경일 경우 그보다 빠르게 교체해야 한다'와 같은 부분이 언급된다. 기본적으로는 자신이 소유한 차량의 매뉴얼에 나온 기준을 따라주면 된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운행되는 차량들의 환경을 보면 시내에서 가다 서기를 반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매뉴얼에 명시된 정상 주기가 아닌 가혹 주행을 기준으로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잡으면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 한 가지 제품으로 1년~1년 반을 사용하는 것보다 차라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저렴한 제품으로 6개월에 한 번씩 교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단, 성능 규격은 반드시 맞춰야 한다. 물론 가능하다. 요즘 자동차 제조사도 연비나 배출가스와 같은 규제가 심해지며 점차 점도가 낮은 엔진오일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엔진오일 제품들도 연비를 높이는 것이 최근 중요한 트렌드다. 새 제품을 넣었을 때 그 점도가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니다. 초반에는 점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너무 오래 사용하면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즉, 점도는 계속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점도가 낮다고 마찰이 줄어들고 연비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점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엔진이 설계될 당시에 설정된 적정한 유막이 형성되지 않아 오히려 금속 간의 마찰이 증가하게 된다. 이런 경우 오히려 연비가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차에 맞는 엔진오일, 그리고 자기 차에서 가장 연비가 좋았던 엔진오일로 꾸준히 교환해 주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본다. 엔진오일의 규격은 '0W20', '0W30'과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맨 앞의 숫자는 점도를 의미한다. CW, 5W, 0W와 같은 순으로 숫자가 작아질수록 점도가 낮아 저온에서도 오일이 잘 흐르게 된다.  0W 제품의 경우 저온에 차량을 주차했을 때 오일이 펌핑되지 않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다. 영하 40도까지 시동을 거는 데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에 0W는 점도가 낮은 고급 제품이라는 의미가 있다. 우리가 제품명을 '지크 제로'라고 선택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최근 트렌드는 '친환경', '연비 향상', '배출가스 저감'인데, 그런 부분에 잘 부합하는 친환경 제품이다. 지크 제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온실가스와 같은 부분에도 대항할 수 있는, 탄소 중립 제품을 지향하는 SK의 의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뒤에 나오는 숫자는 일반적인 엔진이 동작하는 약 80~100도 사이에서의 점도를 나타낸다. 이 역시 숫자가 높을수록 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윤활유 회사마다 낮은 등급의 제품부터 고급 제품까지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사실 최고 등급 제품의 경우 대부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낮은 등급의 제품 같은 경우에는 회사마다 정책에 따라 고급 제품과 차이를 크게 두는 경우도 있고 적게 두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제품이 좋은가?'라는 질문에 답하기는 쉽지 않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순정 오일도 충분히 좋다. 한 20년 전에는 순정 제품보다 애프터마켓 제품이 좋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순정 제품도 품질이 많이 올라왔다. 순정 제품 역시 윤활유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가 공동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애프터 마켓 제품 중 최상위 등급은 차별화를 위한 여러 기술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순정 오일보다 좋은 것이 맞다. 그러나 낮은 등급의 제품보다는 각 엔진에 맞는 순정 제품이 더 좋을 수 있다. 다만, 최근 순정 오일에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며 그만큼 가격도 많이 올라왔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과 성능을 잘 비교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알쏭달쏭 엔진오일, 궁금했던 8가지…교환 주기? 연비 개선? 순정 오일?

알쏭달쏭 엔진오일, 궁금했던 8가지…교환 주기? 연비 개선? 순정 오일?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한국타이어, 인공지능 레이스 코칭 '트랙 솔루션즈' 개발…내년 론칭 기대

한국타이어가 서킷에서 인공지능(AI) 코칭이 가능한 '트랙 솔루션즈(Track Solutions)'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트랙 솔루션즈는 서킷 주행을 즐기는 일반인과 아마추어 드라이버, 그리고 모터스포츠 선수를 꿈꾸는 세미 프로 드라이버 등을 위해 개발됐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타이어 센서 기술을 바탕으로, 공기압과 온도 등 타이어

|21.11.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1.11.16
자유주제

현대차·대한항공·KT 등 UAM 사업 협력…"도심 항공길 연다!"

현대차가 인천공항공사, 현대건설, 대한항공, KT 등과 함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5개사는 16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업무협약식을 열고, UAM 생태계 구축 및 산업 활성화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각 회사는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해 중점 사업을 추진한다. 현대차는 UAM 개발 및 제조, 판매, 운영, 정비 등을

|21.11.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4
21.11.16
자유주제

노르웨이, 전기차 판매 90% 육박…"30년이 걸렸다!"

노르웨이에서는 어떻게 전기차가 신차 판매의 90% 이상을 차지하게 됐을까. 한국수입차협회(KAIDA)가 16일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오토모티브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주한노르웨이대사관 스베인 그란덤 상무참사관은 전기차 시대에 맞춘 다양한 비결을 털어놓았다. 그는 30여년 전부터 철저히 준비해온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큰 역할을 했다

|21.11.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1.11.16
자유주제

서울모빌리티쇼-카이스트 "모빌리티 혁신기술 발굴 나선다"

서울모빌리티쇼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국내 모빌리티 부문 기술 발전을 위해 손을 잡는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는 KAIST와 함께 오는 26일 개막하는 2021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산학연계 기술교류 프로그램을 다수 마련해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두 기관이 가장 집중하는 분야는 산학연계를 통한 모빌리티 신기술 발굴이다. 이를 위해 서울모빌리티쇼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37
21.11.17
자유주제

현대모비스, 미래 자율주행차의 에어백은?

현대모비스가 오는 26일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1 서울모빌리티쇼(구 서울모터쇼)'에 참여한다. 이번 전시는 차별화된 이동 경험과 안전을 최우선하는 미래 기술 철학을 'M-테크 갤러리'를 주제로, 엠비전X부터 e-코너 모듈와 자율주행용 신개념 에어백 등 다양한 미래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력 전시품은 4인승 도심 공유형 모빌리티 콘셉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2
21.11.17
자유주제

[주간F1] 저우관위, 알파로메오와 계약…F1 첫 중국인 정식 드라이버 탄생

포뮬러 원(F1) 역사상 첫 번째 중국인 풀타임 드라이버가 탄생했다. 알파로메오 레이싱 올렌 팀은 16일 2022시즌의 새로운 드라이버로 저우관위(周冠宇)가 합류한다고 밝혔다. 2021시즌 오스트리아 그랑프리(GP)에서 알핀 소속 페르난도 알론소의 대체 드라이버로 F1에 첫 발을 내디뎠던 저우관위는 다음 시즌 풀타임 드라이버로 출전한다. 2022시즌 저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9
21.11.17
자유주제

[스파이샷]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페이스리프트를 벌써?"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의 부분변경 모델이 12일 유럽에서 포착됐다. 이날 목격된 차량은 외관에서 일부 디테일을 보강하고, 최신 운전자 보조 기능과 첨단 IT 기술을 대거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외관에서 바뀌는 부분은 후면부다. 테일램프 디자인을 바꾸고, S클래스와 유사한 조명 그래픽을 채택한다. 이외 전반적인 디자인은 기존 마이바흐 GLS와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6
21.11.17
자유주제

뒤숭숭한 맥라렌, BMW·아우디 분할 매각설까지 대두!

회사 자금 사정이 좋지 않은 맥라렌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독일 자동차전문지 아우토모빌보헤는 이달 14일(현지시간) BMW가 맥라렌 자동차 사업부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아우디는 포뮬러 원(F1) 사업부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맥라렌의 각 사업부를 분할하여 매각하는 시나리오다. 이에 대한 각각의 입장은 엇갈렸다. 먼저 B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64
21.11.17
자유주제

포르쉐, '형보다 빠른 아우' 718 GT4 RS 공개

포르쉐가 이달 19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하는 2021 LA오토쇼에 718 GT4 RS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공개를 앞둔 신차는 718 라인업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모델로, 경량 구조와 민첩한 섀시 세팅, 정교한 에어로다이내믹 등을 구현했다.  신차는 디자인부터 경량화와 퍼포먼스에 집중하고 있다. 보닛 및 프론트 윙

|21.11.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8
21.11.17
자유주제

4000만원대 SUV' 스포티지 vs 티구안 "그 돈이면 국산 하이브리드? 수입 디젤?"

국산 준중형 SUV의 끝판왕'이라 불리는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와 '수입차 대중화'를 앞세운 폭스바겐 티구안을 비교해봤다. 스포티지가 파격적인 디자인과 하이브리드 시스템, 그리고 다양한 고급 사양 등을 갖추며 가격이 오르는 동안 티구안이 가격을 인하하며 '눈높이'가 맞기 시작했다. # '눈에 확 띄는' 스포티지와 '질리지 않는 매력' 티구안 사실 두

|21.11.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50
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