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MG수첩] '옵션 장사' 부추기는 전기차 보조금, 왜 실구매가로 안 주나?

Lv 1

21.12.21

view_cnt

1,130

전기차 보조금을 트림별 기본 가격이 아닌, 실 구매가를 기준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당초 의도했던 '친환경차 보급'이란 목표와 달리 '국산차와 수입차 차별' 및 '옵션 장사'를 유도해서 결과적으로 전기차 가격을 올린다는 지적이다. #국산차 몰아주기? 테슬라는 보조금 포기 현재 보조금은 차종·트림별 기본 가격을 기준으로 지급된다(2021년 상반기 서울시 기준 1200만원). 6000만원 미만 전기차에는 보조금을 전액 지급하고 6000만~9000만원은 50%만, 9000만원 이상 전기차에는 지급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옵션이 얼마가 됐던 트림별 깡통 모델의 가격만 6000만원 미만이면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다. 당연히 국내에 생산 기반을 둔 국산차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각종 사양을 옵션으로 돌려 보조금 기준을 맞추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덕분에 무리한 원가 절감, 또는 불필요한 가격 인상 가능성도 있다. 보조금 기준을 넘는 차량은 원가 절감을 해서라도 가격을 낮추고, 안 넘는 차량은 어차피 보조금을 받으니 맘 편히 가격을 올릴 수도 있다는 우려다.  반대로 수입차 업체들은 이러한 기준을 맞추기가 어렵다.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양을 묶은 '고급 트림'을 판매하는 데다가, 차량 가격에 운송비와 보관비까지 포함된다. 정부는 내년부터 전기차 보조금 전액 지급 상한액을 5500만원으로 낮추겠다는 입장인데, 수입 전기차의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5990만원인 메르세데스-벤츠 EQA, 6000만원 미만에 팔겠다고 선언한 아우디 Q4 e-트론은 곤란한 상황이 됐다. 이미 6000만원에 맞춰 상품을 기획했는데 내년 바뀐 기준에 따라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 추가로 10% 가까이 가격을 더 내려야 한다.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덕분에 일찌감치 전액 보조금을 포기하고 가격을 올린 업체도 있다. 앞서 올해 초 테슬라코리아는 6479만원에 판매되던 모델3 롱레인지를 480만원이나 인하한 5999만원에 판매하며 노골적으로 정부 보조금을 겨냥했다. 그러나 올해 8월 반도체 이슈로 인한 공급 차질로 롱레인지 모델 판매를 중단했고, 이달 중순부터 무려 980만원이나 오른 6979만원에 판매를 재개하며 보조금 절반을 포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쌓여있는 대기 물량 덕에 테슬라는 오히려 '없어서 못 사는 차' 이미지만 더 굳건해졌다. #결국 옵션 장사, 전기차 가격만 오른다? 게다가 현재의 보조금 정책은 '옵션 장사'를 유도하고, 결국 가격 인상의 명분이 된다는 우려가 있다. 깡통 기준 6000만원은 '보급형 모델'의 기준이라기엔 다소 높기 때문이다. 현재 국산 전기차 중 시작 가격이 6000만원 넘는 모델은 GV60(스탠다드·퍼포먼스 AWD)과 G80 전동화 모델 등 제네시스의 프리미엄 전기차뿐이다. 최근 출시된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의 경우 엔트리 트림의 가격은 6000만원 미만이지만,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는 고급 트림에 옵션을 추가하면 6000만원을 훌쩍 넘는다. 지금대로면 일단 저렴한 모델을 내놓은 뒤, 다양한 옵션을 넣어 실제 구매 가격을 올리는 일종의 편법이 가능하다.  수입차 역시 마찬가지다. 수입차 업계 한 관계자는 "판매할 생각이 없는 깡통 트림을 도입해 보조금을 인증받은 뒤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모델의 가격은 올리는 편법이 가능하다"며 "이는 친환경차 시장에서 전체적인 가격 인상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OTA 업데이트를 이용한 '옵션 사후 판매'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다. 차량을 구매한 이후에 비용을 지불하면 원격 혹은 무선으로 잠겨있던 기능을 해제해 주는 방식이다. 실제로 테슬라가 '풀 셀프 드라이빙' 기능을 이 같은 방식으로 900여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실제 구매 가격에 맞춰 보조금을 지급할 필요가 있겠다. 현재의 제도로는 정부의 목표대로 저렴한 전기차 보급이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조금을 제외한 세금과 보험료 등은 옵션이 모두 포함한 실제 구매 가격을 기준으로 매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21년식 EV6 GT라인 풀 옵션(6330만원)은 1000만원의 보조금을 받아 5330만원에 구매할 수 있지만, 보험개발원이 책정한 보험 기준 가액은 이보다 660만원가량 높은 5962만원에 달한다.
[MG수첩] '옵션 장사' 부추기는 전기차 보조금, 왜 실구매가로 안 주나?

[MG수첩] '옵션 장사' 부추기는 전기차 보조금, 왜 실구매가로 안 주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인터뷰] 만트럭코리아 데니스 듄슬 부사장 "리콜은 어쩌면 우리에게 큰 기회!"

올해 만트럭버스코리아는 그 어느 때보다 바쁜 한 해를 보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과 반도체 및 원재자 수급난에 이어 국내 시장에서 발생한 요소수 대란까지 자동차 업계는 거친 파도가 몰아쳤다. 이 가운데 만트럭버스코리아는 20여년 만에 풀 체인지된 뉴 MAN TG 시리즈를 런칭했고, 4400여대를 대상으로 향후 2년간 진행할 대규모 리콜의

|21.1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1.12.21
자유주제

[스파이샷] 혹한 속 담금질 나선 마세라티 그리칼레 트로페오

마세라티 그리칼레 트로페오가 이달 15일(현지시각) 북유럽에서 혹한 테스트 중 발견됐다.  그리칼레는 마세라티 브랜드가 르반떼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SUV다. 신차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포르쉐 마칸, BMW X3, 메르세데스-벤츠 GLC 등과 경쟁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포착된 시험주행차량은 고성능 모델인 트로페오다. 모터그래프에 스파이샷을 제공하

|21.1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1
21.12.23
자유주제

겨울철 세차 "OO은 필수고, OO은 절대 하지 마세요!"

최근 영하 10도를 밑도는 한파에 이어 눈까지 내리며 혹독한 겨울이 시작됐음을 실감한다. 매서운 날씨에 자칫 차량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세차가 중요하겠다. # 너무 추운데, 세차 꼭 해야 해? 사실 겨울철 세차는 매우 힘들다. 추운 날씨도 문제지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동파를 우려한 주유소와 세차장 상당수가 자동세차기 운영

|21.12.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1
21.12.17
자유주제

2022년 주목해야 할 폴스타 "시작부터 남다르다!"

폴스타가 이달 21일 국내 시장에 상륙했다. 과거 모터스포츠 무대에서 볼보를 흥행시킨 주역이었고, 메르세데스-AMG, BMW M과 같은 브랜드 고성능 디비전의 역할도 맡은 바 있다. 볼보의 서브 브랜드가 아닌 전기차 독립 브랜드로 거듭난 폴스타는 어떤 브랜드일까. 내년부터 본격적인 영업에 나서는 폴스타와 대한 3가지 키워드를 꼽아봤다.  #모터스포츠에서

|21.12.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2
21.12.22
자유주제

"엔진은 죽지 않는다"…대체 연료 급부상!

글로벌 자동차 업계 최대 화두는 단연 탄소중립이다. 각 회사가 전동화 부문에 수십조 이상을 투자하고, 재생에너지로 공장을 가동시키는 등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발표하는 연구개발(R&D) 및 투자 역시 전기차에 집중되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연기관의 퇴출은 생각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배출가스를 줄이고 연료효율을 높이는 수준을

|21.1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64
21.12.23
자유주제

완성차 업계, 중고차 진출 강행 선언…"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정부가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는 사이, 완성차 업계가 시장 진출 강행을 선언했다. 현대차, 기아, 르노삼성, 쌍용차, 한국GM 등이 소속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회장은 23일 산업발전포럼에서 "내년 1월부터 사업자 등록과 물리적 공간 확보 등 중고차 사업을 위해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겠다"라고 밝혔다. 완성차 업계는 법적 문제

|21.1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1.12.24
자유주제

이재명, "전기차 보조금 확대·이륜차 단속 강화"

제 20대 대통령선거가 다가오고 있다. 모터그래프가 주요 대선 후보들의 모빌리티 분야 공약들을 정리했다. 그 첫 번째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다.  이재명 후보는 전기차 보조금과 인프라 확대를 공약했다. 또, 공공부문 전기차 도입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정부가 공약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서는 362만대 가량의 전

|21.12.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1.12.27
자유주제

[스파이샷] "SUV 맞아?"…페라리 프로산게, 막바지 테스트 돌입

페라리 브랜드 최초의 SUV 프로산게가 이달 초 이탈리아 마라넬로의 일반 도로에서 포착됐다.  이날 촬영된 시험주행 차량은 양산형에 한층 더 가까워진 모델로 추정된다. 그간 페라리는 마세라티 르반떼의 차체를 덧씌워 주행 시험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일반 도로에서 차량이 포착된건 극히 이례적인 만큼, 사실상 공개가 임박한 게 아니냐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21.12.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3
21.12.28
자유주제

나오면 산다' 내년 출시되는 신상 국산차 총정리

2022년에도 다양한 국산 신차가 쏟아질 예정이다.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는 파생모델 출시와 함께 기존 차량 상품성을 강화하고, 르노삼성과 쌍용차는 친환경차 시장에 집중한다. 이어 쉐보레가 수입차 제품군을 늘려 시장점유율을 높일 방침이다. # 현대차- 팰리세이드·쏘나타 페이스리프트, 신형 그랜저도 연말 출격 현대차는 팰리세이드와 쏘나타 등 기존 스테디

|21.12.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84
21.12.27
자유주제

중국, 승용차 제조 산업 문 열었다…제 2의 테슬라 유치하나?

중국이 승용차 제조 시장의 외국 기업 지분 보유 제한을 폐지하고 전면 개방에 나선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7일(현지 시각)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외상투자 진입 특별관리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현대차(베이징현대), 기아(둥펑위에다기아), 폭스바겐(FAW-폭스바겐) 등의 현지 합작법인들은 100%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 전환이

|21.12.2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