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2021 결산] 여전한 벤츠와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BMW

Lv 1

22.01.04

view_cnt

1,320

작년 한 해 수입차 업계는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 등장과 글로벌 반도체 수급 불안에도 단단했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2021년 수입차 시장에서는 총 28만6772대(승용차 기준)가 판매됐다. 2020년 27만6143대와 비교해 3.8%의 증가세를 보였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등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 3사를 필두로 테슬라와 볼보, 폭스바겐, 미니, 지프 등이 '연 1만대 클럽'을 달성했다. # 메르세데스-벤츠 "1등=벤츠지!" 메르세데스-벤츠(2021년 7만6284대)는 4년 연속 7만대 기록과 수입차 1위 자리를 수성했다. 다만, 지난 2020년(7만7125대)과 비교하면 1.1%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2위인 BMW와의 차이가 2만여대에서 1만여대로 좁혀졌기 때문에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다. 메르세데스-벤츠 실적을 이끈 것은 단연 E클래스다. E클래스는 2만6109대로 정상에 올랐다. 다만, 반도체 수급 부족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모양새다. 앞서 2020년(3만3642대) 수입차 최초 단일 모델 3만대 돌파를 이뤄냈던 것과 비교하면 아쉬운 성적표(-22.4%)다. 이를 대신해 S클래스가 1만1239대(마이바흐 포함)로 전년대비 69.3%나 급증하며 E클래스 공백을 메웠다. S클래스는 지난 4월 출시된 7세대 완전 변경 모델 덕에 급등했다. 다만, S클래스의 판매 증가와 E클래스 판매 하락은 독일 본사가 의도한 대로다. C·E·S클래스를 생산하는 독일 진델핑겐 공장은 올해 반도체 부족으로 몇 차례 가동을 중단했다. 독일 본사에서는 S클래스와 마이바흐 등 최상위 라인업 생산에 집중했고, 자연스레 C·E클래스 생산은 미뤄졌다. SUV 라인업에서는 GLE(6856대, +71.2%)와 GLB(5218대, +216.4%)가 힘을 보탰다. 두 차종은 넉넉한 공간과 가솔린, 디젤,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물론, 고성능 AMG 모델까지 폭넓은 선택지로 패밀리카 시장을 겨냥했다. 특히, GLE는 수입 SUV 시장에서 테슬라 모델Y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판매됐다. 반면, C클래스(2736대, -49.0%)와 CLS(3429대, -34.6%)는 신차 투입을 앞두고 판매량이 크게 줄었다. CLS는 지난해 12월 부분 변경 모델 투입 이후 본격적인 출고를 앞두고 있고, C클래스는 올해 상반기 국내 시장에 도입될 예정이다. # 벤츠 게 섯거라! BMW 2021년 BMW는 6만5682대를 판매하며 2위 자리를 지켰다. 코로나19 및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인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전년대비 12.4%나 치솟으며 선두와의 격차를 좁혔다.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BMW 차량은 5시리즈(1만7740대, -14.1%)다. 경쟁자인 E클래스와 비교해 선방했지만, 반도체 직격탄을 피해 갈 수는 없었다. BMW 대부분의 판매량이 전년대비 오름세를 보인 것에 반해 유일하게 두 자릿수 하락세를 나타냈다. 상대적으로 3시리즈(7980대, -2.1%)는 꾸준함을 유지했다는 평가다. BMW 실적은 SUV가 강력하게 이끌었다. X5(5601대, +57.3%)를 필두로 X3(5094대, +42.3%), X7(4211대, +57.8%), X6(4029대, +56.5%), X4(3886대, +5.1%), X1(1888대, +19.4%)까지 전 라인업이 전년대비 두각을 드러냈다.  # 'A6만 믿고 간다' 아우디 지난해 아우디는 2만5626대로 2020년(2만5549대) 수준을 유지했다(+0.3%). 디젤게이트 여파로 고전한 이후 2년 연속 완연한 회복세다.  올 상반기 인증 문제로 출고가 지연됐던 A6(1만7740대, +6.1%)가 뒷심을 발휘하며 전체 수입차 3위를 기록했다. 다만, 현재 아우디는 A6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아우디 전체 판매량 중 A6가 차지하는 비율은 70%에 육박한다. 실제로 A6 다음으로 많이 판매된 차량은 A4로, 2183대(+10.5%)에 불과하다. # 테슬라 '믿는 구석이 있지~' 수입차 4위 자리는 테슬라가 차지했다. 테슬라는 1만7828대를 기록하며 처음 1만대 클럽에 입성한 2020년(1만1826대) 대비 50.8%나 급성장했다. 테슬라는 라인업이 다양하지 않음에도, 탑10에 2종이나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모델3(8898대 -19.1%)는 소폭 줄었지만, 새로 투입된 모델Y가 8891대나 판매되며 나란히 5·6위를 차지했다. 테슬라의 내년 전망은 더욱 밝다. 상대적으로 반도체 대란에서 여유롭기 때문이다. 이미 계약된 물량도 넉넉한 만큼 테슬라는 생산 및 국내 운송 여력만 갖춰진다면 지금의 2배에 달하는 실적도 가능할 전망이다. # '1만5000대 목표 달성!' 볼보 볼보는 전년대비 17.6% 성장한 1만5056대로 5위를 차지했다. 3년 연속 '1만대 클럽' 입성에 성공했다. 볼보의 경우 탑 20 안에 드는 특출난 모델은 없지만, 대부분의 차종이 고루 좋은 실적을 거뒀다. 덕분에 올 초에 발표한 판매 목표 1만5000대를 아슬아슬하게 채웠다. XC60(3383대, +33.2%)을 필두로 S90(3214대, +81.0%), XC40(2755대, +7.8%), XC90(1527대, +12.0%) 등이 예년보다 좋은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브랜드 실적을 이끄는 '60 클러스터' XC60과 달리 세단 S60(1909대, -9.9%)과 V60 크로스컨트리(1810대, -6.2%)는 공급 부족에 시달렸다.
[2021 결산] 여전한 벤츠와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BMW

[2021 결산] 여전한 벤츠와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BMW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폭스바겐, 신형 골프 드디어 국내 출시…가격 3625만원부터

폭스바겐코리아가 5일 8세대 신형 골프를 출시하고 새해 수입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폭스바겐 골프는 1974년 첫 출시 이후 47년 간 브랜드를 대표해 온 '타임리스 아이콘'이며, 현재까지 3500만대 이상 판매된 브랜드 핵심 모델이다. 국내에서도 2005년 법인 설립 이후 누적판매량 4만7283대를 기록하며 폭스바겐코리아의 성장을 이끈 주역이다. 신형

|22.0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5
22.01.05
자유주제

폭스바겐, 편의성 높인 신형 아테온 국내 출시…가격 5490만원

폭스바겐코리아가 아테온 부분변경 모델을 앞세워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치열한 중형 세단 시장 공략에 나선다. 아테온은 예술적 디자인을 상징하는 '아트'와 영속성을 상징하는 '이온'의 합성어로, 브랜드 세단 라인업의 플래그십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신형 아테온은 세단의 편안함과 스포츠카의 날렵함, 일상에서의 탁월한 실용성 등을 겸비한 것이 특

|22.0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98
22.01.05
자유주제

공기 없는 타이어 현실로? 한국타이어, '아이플렉스' 공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공기 주입 없이 달릴 수 있는 타이어 '아이플렉스(i-Flex)'를 공개했다. 한국타이어는 2010년부터 정부 과제 중 하나로 공기 주입이 필요 없는 타이어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콘셉트 타이어 아이플렉스는 직경 400mm, 폭 105mm에 10인치 사이즈로 개발됐다.  아이플렉스는 내부에 공기가 없어

|22.0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8
22.01.05
자유주제

[스파이샷] '끝판왕' 롤스로이스 팬텀, 5년 만에 페이스리프트 단행

롤스로이스가 브랜드 기함인 팬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준비하고 나섰다. 지난 연말 새로운 팬텀 시험주행차량이 독일 한 도로에서 처음으로 포착됐다. 신차는 2017년 출시된 8세대 팬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5년 만에 이뤄지는 업데이트다. 롤스로이스는 소품종 소량생산을 추구하는 만큼, 여타 브랜드와 달리 모델 체인지 주기도 10년 단위로 다소 늦다. 앞

|22.0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2
22.01.05
자유주제

내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은 높이고 혜택은 줄였다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수를 올해 7만5000대에서 내년 16만4500대로 2배 이상 대폭 확대한다. 다만, 보조금 지급 상한액 구간을 60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조정하고, 지급 금액도 낮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7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홍 부총리를 비롯해 정만기

|21.12.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1.12.22
자유주제

[주간F1] '억!' 소리나는 F1 레이스카, 연간 수리비만 469억원!

세상에서 가장 빠른 경주차의 수리비는 얼마나 될까. 스카이 스포츠 독일이 2021시즌 F1 월드챔피언십에 참가한 드라이버 20명의 경주차 수리비를 집계했다. 외신에 따르면 연습경기와 예선, 22번의 본선 등을 치르며 발생한 사고를 통해 각 팀이 지불한 비용을 합산했다. 모든 팀의 누적 수리비는 약 3936만 달러(약 46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1.12.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1.12.22
자유주제

과학 5호기' 기아 K5는 억울하다?…렌터카·보험료·판매량 살펴보니

기아 K5를 보는 시선은 갈린다. '역대급 국산차'라며 뛰어난 디자인을 호평하지만, '과학 5호기'란 얄궂은 별명도 갖고 있다. 난폭 운전을 일삼는 일부 운전자들의 블랙박스 영상, 미성년자나 운전 미숙자의 렌터카 사고 뉴스에는 어김없이 '흰색 K5'가 등장한다는 이유에서다. 정말 K5가 도로에서 말썽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을까. 세간의 이야기처럼 K5가 사고

|21.1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7
21.12.21
자유주제

[MG수첩] '옵션 장사' 부추기는 전기차 보조금, 왜 실구매가로 안 주나?

전기차 보조금을 트림별 기본 가격이 아닌, 실 구매가를 기준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당초 의도했던 '친환경차 보급'이란 목표와 달리 '국산차와 수입차 차별' 및 '옵션 장사'를 유도해서 결과적으로 전기차 가격을 올린다는 지적이다. #국산차 몰아주기? 테슬라는 보조금 포기 현재 보조금은 차종·트림별 기본 가격을 기준으로 지급된다

|21.1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5
21.12.21
자유주제

[인터뷰] 만트럭코리아 데니스 듄슬 부사장 "리콜은 어쩌면 우리에게 큰 기회!"

올해 만트럭버스코리아는 그 어느 때보다 바쁜 한 해를 보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과 반도체 및 원재자 수급난에 이어 국내 시장에서 발생한 요소수 대란까지 자동차 업계는 거친 파도가 몰아쳤다. 이 가운데 만트럭버스코리아는 20여년 만에 풀 체인지된 뉴 MAN TG 시리즈를 런칭했고, 4400여대를 대상으로 향후 2년간 진행할 대규모 리콜의

|21.1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1.12.21
자유주제

[스파이샷] 혹한 속 담금질 나선 마세라티 그리칼레 트로페오

마세라티 그리칼레 트로페오가 이달 15일(현지시각) 북유럽에서 혹한 테스트 중 발견됐다.  그리칼레는 마세라티 브랜드가 르반떼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SUV다. 신차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포르쉐 마칸, BMW X3, 메르세데스-벤츠 GLC 등과 경쟁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포착된 시험주행차량은 고성능 모델인 트로페오다. 모터그래프에 스파이샷을 제공하

|21.1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7
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