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2022년 1월 국산차 판매…새해 첫 베스트셀링카는 G80!

Lv 1

22.02.04

view_cnt

830

새해 첫 달 국내 완성차 업계는 전년(11만6270대) 대비 19.2% 감소한 9만3900대를 판매했다. 기아가 6개월 만에 현대차 월 판매량을 넘어섰고, 제네시스 G80이 사상 첫 베스트셀링카 자리에 오르는 등 이변이 속출했다. 기아는 1월 한 달간 3만7038대를 판매하며, 작년 7월 이후 6개월 만에 현대차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비록 베스트셀링카 톱3에는 단 한 대도 이름을 올리진 못했지만, 쏘렌토(5066대, 전년대비 -32.3%)를 필두로, 봉고(4520대, +4.4%)와 스포티지(4455대, +289.8%), 카니발 (4114대, -48.8%) 등이 고른 성적을 올리며 현대차에게 일격을 날렸다. 또한, 경차 시장에서 레이(3598대, +36.0%)가 식을 줄 모르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K5(3342대, -38.6%)도 여전히 경쟁자인 현대차 쏘나타(2036대)를 압도했다. 기아는 현대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도체 부족 여파를 적게 받는 모양새다. 실제로 기아는 2월 들어 모닝과 레이부터 K5, K8, 카니발 등 주력 차종에 일부 재고 할인을 진행했다. 반면, 현대차는 수소차 넥쏘만 재고 할인을 내걸며 생산 및 출고에 어려움을 표시했다. 지난달 현대차는 전년대비 25.8% 감소한 3만5625대에 그쳤다. 브랜드 판매 1위뿐 아니라, 베스트셀링카 1위 자리마저 제네시스 G80에게 뺏겼다. 특히, 포터(5443대, -28.7%)를 비롯해 아반떼(5437대, -21.8%), 투싼(3619대, -46.2%) 등 기존 순위권 차량이 나란히 감소했다.  판매 실적에 비해 계약 대기 물량은 상당하다. 포터의 경우 대략 8개월, 아반떼는 7개월을 기다려야 겨우 차를 받을 수 있다. 심지어 투싼은 예상 납기일조차 알 수 없는 상태로 전해진다.  여기에 쏘나타(2036대, -43.6%)와 그랜저(1806대, -77.7%)는 공장 가동 중단까지 겪었다. 두 모델을 생산하는 아산공장은 지난달 3일부터 설 연휴 마지막 날인 이달 2일까지 가동을 중단한 채 아이오닉6 양산을 위한 설비 공사를 진행했다. 반면, 팰리세이드(4302대, +12.7%)는 올해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때 투싼이나 싼타페(2159대, -49.9%)는 물론 가장 작은 차 캐스퍼(3948대)에게도 밀려났지만 꾸준히 4000대 수준을 유지하며 브랜드 내 SUV 1위로 자리매김했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G80이 지난달 5501대(-2.6%) 판매되며 사상 처음 국산차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G70(533대, -46.8%)을 비롯해 신형 모델의 출고를 앞둔 G90(78대, -86.9%)과 주력인 GV80(1876대, -4.5%) 등이 부진하며 전년대비 8.0% 줄어든 1만580대에 그쳤다. 제네시스 역시 반도체 대란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업계에 따르면 G70과 G80은 계약 후 차를 받기까지 각각 2개월 가량 소요되지만, GV70과 GV80은 최대 9개월가량 밀려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첫 전기차 GV60는 이미 올해 받을 수 없고, G90 역시 사전계약자도 아홉 달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쌍용차는 전년대비 14.4% 줄어든 4836대로 4위에 올랐다. 상품성을 개선해 돌아온 뉴 렉스턴 스포츠와 렉스턴 스포츠 칸이 전년대비 29.9%나 증가하며 브랜드 실적을 이끌었다. 특히, 렉스턴 스포츠는 출시 2주 만에 누적 계약 대수가 3000대를 넘기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렉스턴 스포츠를 제외한 티볼리(1095대, -28.6%)와 코란도(536대, -32.7%), 렉스턴(227대, -77.9%) 등 나머지 차종이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다. 올여름 J100이 출시되기 전까지 코란도 이모션으로 버텨야 하는 상황이다. 쌍용차는 코란도 이모션이 초도물량 3500대를 초과해 계약됐다고 밝혔다. 전기차 보조금이 지급되는 3월부터 본격적인 출고가 이뤄질 만큼 2월만 버티면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르노삼성은 전년대비 26.7% 증가한 4477대로 5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는 작년 1월 극심했던 부진의 기저효과로, 여전히 전 차종 판매가 저조하다. 브랜드 '밥줄'인 QM6(2865대, +45.1%)가 지난해 9월 이후 4달 만에 다시 월 3000대선 아래로 떨어졌다. LPe 모델이 전체 판매의 60.8%를 차지할 만큼 여전히 LPG SUV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투싼·스포티지부터 싼타페·쏘렌토까지 경쟁 차종들이 변화하는 사이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 모양새다. XM3는 1418대(+23.3%)로 셀토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오는 3월 상품성이 개선된 2023년형 모델 출시가 예정된 만큼 반등의 여지는 남아있다. 게다가 올 상반기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출시된다면 꺼져가는 불씨를 되살릴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GM은 지난 1월 1344대란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무려 78.0%나 줄었다. 회사 측은 "글로벌 신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 투자 공사와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의 여파"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GM 부평1공장은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창원공장은 작년 10월부터 생산을 멈추고 신규 라인 설치에 나섰다. 창원 공장에서는 신형 CUV를 생산하고, 부평1공장에서는 트랙스 상품성 개선 등 신차 양산에 나설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에 따른 여파로 인해 창원공장에서 생산하는 스파크는 23대(-99.0%)에 그쳤고, 부평공장에서 만드는 트레일블레이저(709대, -40.4%)도 부진했다. 생산 라인 공사에 따른 사전 준비나 재고 관리가 되지 못한 모습이다.
2022년 1월 국산차 판매…새해 첫 베스트셀링카는 G80!

2022년 1월 국산차 판매…새해 첫 베스트셀링카는 G80!

사이트 방문

댓글

1

북곽선생

Lv 97
22.05.28

잘보고 갑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1월 수입차 TOP50] BMW·벤츠 희비교차!…독일차에 반기 든 대항마는?

2022년 첫 달 수입차 시장은 독일차 강세가 지속된 가운데 반기를 든 차종들이 속속 등장했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1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전년대비 18.9% 감소한 1만7817대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수입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설날 연휴로 인한 일부 신차 출고가 연기됐다.  1월 브랜드 판매 1위는 BMW(5

|22.02.04
like-count2
commnet-count1
view-count1,597
22.02.04
자유주제

벤츠코리아, '배출가스 조작' 과징금 202억…"거짓·기만 광고"

환경부에 이어 공정거래위원회도 배출가스 조작 혐의가 드러난 메르세데스-벤츠에게 철퇴를 내렸다. 공정위는 6일 "경유차의 배출가스 저감 성능을 사실과 다르거나 기만적으로 표시·광고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메르세데스-벤츠AG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02억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앞서 벤츠는 디젤 승용차가 인증 시험 환경에서만 배출가

|22.02.07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94
22.02.07
자유주제

[이완 칼럼] 테슬라의 독일 침공, 폭스바겐 골프의 몰락

독일의 2019년 신차 판매량은 약 360만대였습니다. 시장은 계속 성장 중이었고, 2020년은 별다른 일만 없다면 연간 판매량이 처음으로 400만대를 넘기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했죠. 하지만 팬데믹으로 2020년 신차 판매량이 300만대를 넘기지 못한 것은 물론, 이듬해인 2021년에는 반도체 칩 부족이라는 복병을 만나며 판매량이 더 줄어 260만대를 겨

|22.02.07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55
22.02.07
자유주제

기아, 국내 최초 '1인승 레이' 출시…적재 공간이 무려 1628리터

기아가 8일 다목적 모델로 활용이 가능한 '레이 1인승 밴'을 출시했다. 레이 1인승 밴은 국내 최초 1인승 차량으로, 특수차량을 제외하고 국내 승상용 모델 중 1인승으로 인증받은 것은 레이가 처음이다. 레이 1인승 밴은 사용자의 목적과 취향에 따라 물류 운송 및 이동식 스토어,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회사는 "소규모 물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3
22.02.08
자유주제

사드 폭락' 기아, EV6 앞세워 중국 공략…2027년까지 전기차 6종 출시

사드(THAAD) 논란 이후 중국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던 기아가 현지 사업체의 경영 구조를 재편하고 재도약에 나선다. 또, EV6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6종의 전용 전기차 라인업도 구축할 예정이다.  기아는 7일 중국 장쑤성 옌청시와 투자 확대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는 옌청시의 지원을 받아 친환경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수출 확대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9
22.02.08
자유주제

윤석열 "5030 속도 제한 풀겠다"…지능형 교통시스템으로 보완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가 도심 속도 하향 정책(이하 안전속도 5030) 개편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윤석열 후보는 지난 7일 '59초 공약'을 통해 "안전속도 5030이 현재의 도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다"면서 안전속도 5030 정책을 개편하겠다고 공약했다. 작년 4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안전속도 5030은 도심부 주요 도로나 보조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73
22.02.08
자유주제

이재명 "자동차세, 가격·CO2 기준으로 바꿀 것"…배기량 기준은 불공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자동차세 개편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6일 자신의 SNS를 통해 "많은 국민들이 배기량 기준의 현행 자동차세 부과체계를 불공정하다고 느낀다"면서 "배기량 기준 자동차세 부과 체계를 가격과 CO2 배출 기준으로 바꾸겠다"라고 공약했다. 현재 자동차세는 배기량에 따라 매겨진다. 구체적으로 승용차 기준 1000c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56
22.02.08
자유주제

SKT, 에어택시 시장 선점한다…美 UAM 제조사와 맞손

SK텔레콤이 세계적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 제조사 '조비 에비에이션'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UAM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대형 유인드론을 뜻한다. 활주로가 필요없어 에어택시 등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한화시스템, 대한항공 등 대기업이 UAM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며, 통신3사와 카카오모빌리티 등 국내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64
22.02.08
자유주제

GV60·EQA·Q4 e-트론 가격 내릴까?…'소비자만 수백만원 손해'

전기차 보조금 100% 지급 기준이 60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낮아졌다. 억지로 6000만원에 맞춘 업체들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는데, 소비자 역시 같은 차를 수백만원 더 내고 사야 하는 손해를 보게 됐다.  정부는 지난달 19일, 새로운 전기차 보조금 규정을 공개했다. 상한 구간을 기존보다 500만원 낮춰 5500만원 미만은 최대 700만원, 55

|22.01.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90
22.01.26
자유주제

테슬라, "3000만원짜리 전기차 출시 안 해"…말 바꾼 머스크 왜?

테슬라가 공언해왔던 보급형 전기차 출시 계획이 잠정 중단됐다. 공급망 문제가 발목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진행된 실적 발표회를 통해 "2만5000달러(한화 3000만원)대 보급형 전기차 개발을 중단했다"고 밝히고, "올해에는 신차 출시 계획이 없지만 판매 대수를 포함한 전반적인 실적이 낙관적일 것으로 보고 있

|22.01.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4
2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