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NHTSA, 테슬라 41만6000대 '유령 브레이크 현상(?)' 조사

Lv 1

22.02.18

view_cnt

1,008

올해 초부터 연이어 대규모 리콜을 진행한 테슬라의 수난이 끝나지 않고 있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최근 2021~2022년식 테슬라 모델3 및 모델Y 41만6000여대에 대해 공식 조사에 돌입했다. 해당 차량들은 오토파일럿 사용 중 무작위로 급감속이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됐다. 일부 테슬라 소유주들은 해당 현상을 '팬텀 브레이킹(유령 브레이킹)'이라고 이름 붙이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개월간 NHTSA에 접수된 유사 불만 건수는 350건을 넘어섰다. 문제는 테슬라 측이 이번 문제와 관련해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는 점이다. 일론 머스크 CEO도 이와 관련해 트윗한 바는 없었다. 한편,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연이어 대규모 리콜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풀 셀프 드라이빙(FSD) 베타 버전을 탑재한 차량이 교차로 정지 신호에서 완전히 멈추지 않고 속도만 살짝 줄인 뒤 그대로 주행해서 5만3822대를 리콜했고, 이달 초에는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가 작동하지 않아 81만7143대를 리콜했다. 더욱이 이달 중순에는 외부 스피커(보행자 경고용)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거나 경적 소리를 방귀 소리, 염소 울음소리 등으로 바꿀 수 있는 '붐박스' 기능이 탑재된 차량 57만7607대를 리콜하기도 했다.
NHTSA, 테슬라 41만6000대 '유령 브레이크 현상(?)' 조사

NHTSA, 테슬라 41만6000대 '유령 브레이크 현상(?)' 조사

사이트 방문
테슬라 모델 Y 22년식
5,999 ~ 9,473만원
모델 Y
테슬라 모델 3 22년식
6,434 ~ 8,818만원
모델 3

댓글

1

볼리고롱볼!!!

Lv 7
22.02.24

아이고.. ?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안전벨트 경고 안 울리는 테슬라 등 수입차 3만8246대 리콜

국토교통부가 17일 테슬라, 아우디, 할리데이비슨 등 수입차 3만824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리콜한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해 모델3와 모델Y 등 총 3만3337대를 리콜한다. 우선, 모델3(2019년 7월~2022년 1월 생산) 2만4222대와 모델Y(2020년 12월~2021년 10월) 8905대 등 총 3만3127대는 미디어

|22.02.18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210
22.02.18
자유주제

"전기 SUV부터 전기 트럭까지" 군산형 일자리 닻 올렸다

캐스퍼 흥행을 이뤄낸 광주형 일자리를 뛰어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가 탄생할까. 군산시가 17일 '군산형 일자리' 총괄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발표에서는 참여기업 명신의 해외위탁생산 계약현황과 향후 진행 계획이 언급되는 등 사업 추진사항 전반이 공유됐다.  군산시 관계자는 "새로운 도약을 넘어 확실한 변화를 보여줄 것"이라며 "2022년에는 상생형 지역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8
22.02.18
자유주제

인텔,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 진출…"삼성전자·TSMC 잡는다"

인텔이 차량용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다. 회사는 17일(미국 현지시간) '인텔 인베스터데이 2022'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 전담조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고성능 개방형 자동 컴퓨팅 플랫폼과 최첨단 공정을 개발하고, 자신들이 보유한 반도체 지적재산권 등을 활용할 방침이다. 인텔에 따르면, 그간 완성차 생산 비용에서 프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4
22.02.18
자유주제

르노, '수소 엔진' 탑재한 콘셉트카 티저 공개…"이름도 비밀"

르노가 '수소 엔진'을 탑재한 콘셉트카 티저를 깜짝 공개했다. 1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한 한 장의 콘셉트카 이미지는 이름 조차도 공개되지 않았다. 신차는 촉매를 활용하는 수소 연료전지 대신 수소를 직접 연소하는 '수소 엔진' 탑재를 예고했다. 이에 대해 르노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르노그룹의 약속을 해석한 것"이라며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며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2.18
자유주제

코로나 끝나면 꼭 가야 할 자동차 여행지-미국편⑰ [황욱익의 로드 트립]

땅덩어리가 크지만 미국의 자동차 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은 해안가 중심의 서부 지역과 디트로이트 인근이 대표적이다. 이 역시도 차이가 큰 편인데 동부 지역 자동차 문화는 대중적이고 미국차 중심이 색채가 짙고, 서부 지역은 비교적 다양한 문화가 뒤섞여 있다. 중부와 남부, 북부도 나름의 자동차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그 규모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박물관이나 서킷

|22.02.1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919
22.02.14
자유주제

"제발 이것 좀 바꿔!" 유권자가 뽑은 대선 자동차 공약 1위는?

제 20대 대통령 선거가 한달도 남지 않았다. 각 후보들이 공약을 쏟아내며 자신을 알려나가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분야에서도 이목을 모으는 정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친환경차 분야부터 교통안전 문제까지 그 분야도 다양하다.  모터그래프 독자들은 어떤 정책에 많은 지지를 보냈을까. 주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두고 1월 28일부터

|22.02.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2.02.17
자유주제

[이완 칼럼] 독일인이 분노한 교통사고 '심신미약 운전자 어쩌나?'

2019년 9월, 독일 수도 베를린의 한 횡단보도 앞. 보행자 신호를 기다리고 있던 사람들 쪽으로 검은색 SUV 한 대가 시속 100km로 질주했습니다. 의식을 잃은 40대 남성이 운전하던 이 자동차는 결국 그대로 사람들을 덮쳤고 20대 남성 두 명과 60대 여성, 그리고 세 살 짜리 아이가 그 자리에서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5
22.02.21
자유주제

포터·봉고 등 소형 화물차도 충돌시험 강화…비상제동장치 전차종 확대

앞으로 3.5톤 이하 소형 화물차에 대한 충돌시험이 강화된다. 사고예방을 위한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의무도 초소형차(경차보다도 작은)를 제외한 모든 차종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화물차 등 사업용 차량의 안전도를 강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65
22.02.21
자유주제

LG유플러스, "빅데이터·AI로 자율주행차 고장 잡는다"

LG유플러스가 국내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에이스랩과 자율주행차량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차세대 기술을 개발한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클라우드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으로 판단해 정상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면 고장 자율차량을 긴급 회수하거나 위험 지역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8
22.02.21
자유주제

스쿠데리아 페라리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2022시즌 포뮬러 원(F1) 월드챔피언십에 참가할 새로운 경주차 'F1-75'를 공개했다. F1-75는 페라리 창립 75주년을 기념해 붙여진 이름이다. 페라리 스타일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레드 컬러가 적용됐다. 이와 더불어 페라리 F1 경주차의 오랜 특징인 이탈리아 국기 컬러도 함께 반영했다. 페라리 엔지니어 SF-75에는 스쿠데리

|22.02.21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159
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