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현대차, 쉘과 손잡고 전동화∙탄소중립 속도 낸다

Lv 1

22.02.25

view_cnt

885

현대차가 글로벌 에너지기업 쉘과 친환경 밸류체인(가치사슬) 전반에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상호협력 양해각서를(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는 전동화 사업체제 전환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힘을 보탠다. 쉘은 그린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와 쉘은 중점 협력분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저탄소 에너지 솔루션, 수소, 디지털 등을 선정하고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측은 먼저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기반 강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전기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쉘의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충전 인프라를 늘리고, 단계적으로 지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럽 시장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인 제네시스 전기차 운전자들의 충전 편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혜택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제네시스와 쉘의 전기차 충전 브랜드 '쉘 리차지 솔루션즈'는 독일, 영국, 스위스 등 주요 유럽 시장에서 공식 MSP(Mobility Service Provider) 파트너십 협약을 별도 검토하기로 했다. 'RE100'의 취지와 탄소중립 달성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아래 각사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의 사용 및 탄소배출 감축도 확대한다. 현대차는 쉘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솔루션을 도입해 전 세계 생산 시설 전력을 204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 쉘도 현대차의 수소전기트럭과 배터리 전기차 도입을 검토한다. 수소 생태계 발전 및 수소전기차 확대를 위한 공동 노력에 이어 차량 내 소비자 경험 혁신을 위한 차량관리, 스마트 정비 등 커넥티비티 서비스 확대도 추진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제품과 사업 전반에서 2045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친환경 모빌리티와 에너지 솔루션 투자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완성차 중 전동화 모델 비중을 2030년까지 30%, 2040년까지 80%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쉘과 손잡고 전동화∙탄소중립 속도 낸다

현대차, 쉘과 손잡고 전동화∙탄소중립 속도 낸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자동차 안전 단속 2만여건 적발!…'등화장치 위반'이 절반

자동차 안전단속 결과, 등화장치 관련 위반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안전단속 결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2만477건의 위반사항이 단속됐고, 이 가운데 등화장치 관련 위반 사례가 1만902건(53.2%)으로 가장 많았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자동차와 이륜차 모두 '안전기준 위반' 사례가 1만680

|22.02.24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990
22.02.24
자유주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틸 셰어 사장, 신임 수입차협회장 맡는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제15대 회장으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틸 셰어 사장을 선임했다. 지난해 10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사장으로 부임한 틸 셰어 신임 회장은 폭넓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국내 사회에 기여하는 동시에 조직의 경영정상화 및 성장을 위해 힘쓰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지난 2003년 폭스바겐그룹 이탈리아에서 경상용차 부문 및 그룹 영업과 네트워크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328
22.02.24
자유주제

정부, LPG·하이브리드 저공해차 혜택 없앤다…"수소·전기차만 지원"

정부가 3년 내 액화석유가스(LPG) 및 압축천연가스(CNG), 하이브리드(HEV) 자동차를 저공해차에서 제외한다. '저공해'가 아닌 '무공해'만 친환경이라는 의미다. 세제 및 구매보조금 혜택도 전기·수소차 중심으로 개편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 참석해 이같은 내용을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4
22.02.24
자유주제

스텔란티스, 2021년 순이익 18조 달성…'FCA·PSA 합병은 성공!'

스텔란티스가 출범 첫 해 134억 유로(한화 약 18조1100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FCA와 PSA의 합병 이전과 비교해 무려 3배나 급증한 성적이다. 스텔란티스는 23일(유럽 현지시간) 2021년도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매출액은 1520억 유로(약 205조4000억원), 조정영업이익 180억 유로(24조 3200억원), 순이익은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55
22.02.24
자유주제

677마력 슈퍼세단' CT5-V 블랙윙 다음달 출시…"AMG 게 섯거라!"

캐딜락코리아가 고성능 퍼포먼스 세단 'CT5-V 블랙윙'을 오는 3월 2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중형세단 CT5를 기반으로 한 신차는 수입차 시장에서 BMW M5, 메르세데스-AMG E63, 아우디 RS6 등과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CT5-V 블랙윙은 캐딜락 역사상 가장 강력한 양산차다. 동급 최고 수준의 출력을 비롯해 트랙 주행까지 염두해 다양한 고성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1,461
22.02.24
자유주제

중고차도 친환경차가 대세…전기차 매물 81% 급증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비중이 크게 늘고 있다. 24일 엔카닷컴에 따르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2021년 친환경 중고차 등록대수는 2020년 대비 16.2%가 증가했다. 특히 전기차는 지난 1년 사이 등록매물이 81.55%나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친환경차 등록매물 중 전기차 비중은 2020년 12.44%에서 2021년 19.43%로 커졌다.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177
22.02.24
자유주제

제네시스, 400km 달리는 'GV70 전기차' 사전계약…가격 7332만원

제네시스가 GV70 전동화 모델(이하 GV70)의 주요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신차는 배터리 배치와 서스펜션 튜닝 등을 통해 기존 내연기관 모델의 주행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빠르고 강력한 전기차의 성능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AWD 단일 모델로 운영되는 GV70은 두개 전기모터를 통해 합산 최고출력 430마력(32

|22.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83
22.02.24
자유주제

수강신청보다 힘든 전기차 보조금 '지자체 23곳 벌써 예산 초과'

2022년 전기차 보조금 신청 건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미 많은 지자체에서 상반기 계획된 지급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따르면 23일 오후 3시 기준 전국 전기차 보조금 신청 건수는 2만512건에 달한다. 법인·택시·기타 우선순위자 등을 제외한 일반 신청은 1만1765건이다. 예정된 지급 규모가 초과된 지자체는

|22.02.2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44
22.02.23
자유주제

불법 튜닝 묵인·결과 조작…자동차검사소 25곳 적발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부정검사가 의심되는 민간검사소에 187곳을 특별점검해 25곳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자체는 불법·부실검사를 근절해 차량 안전성을 확보하고 대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2017년 하반기부터 민간 자동차검사소에 대한 합동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합동 점검은 일부 민간검사소에서 자행하는 불법튜닝 묵인, 검사 결과 조작, 검사

|22.0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0
22.02.23
자유주제

민식이법 3년' 서울시, 단속카메라 2343대 투입·제한속도 20km/h 이면도로 확대

서울시가 민식이법 시행 3년을 맞아 '2022년 어린이보호구역 종합관리대책'을 발표하고,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에 나선다. 이번 종합관리대책은 과속 및 불법 주정차 없는 교통 시스템, 안전 사각지대 없는 어린이보호구역, 꼼꼼한 현장 안전관리 등 3대 과제로 추진된다. 우선, 어린이보호구역에 과속단속카메라를 300대 추가 설치한다. 시는 지난

|22.02.2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91
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