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한국 자동차 생산량 346만대 '세계 5위'…중국은 13년째 1위

Lv 1

22.02.28

view_cnt

1,099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 생산 대수가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346만대로 집계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28일 발표한 '2021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2020년보다 1.3% 감소한 346만2299대를 나타냈다. 글로블 순위는 예년과 같은 5위를 유지했다. 1위는 2608만2000대를 생산한 중국이었다. 미국(915만4354대), 일본(784만6253대), 인도(439만684대)가 뒤를 이었다. 1∼3위는 변동이 없으나, 6위였던 인도가 29.6% 생산량 증가세를 보이면서 4위(439만6284대)로 뛰어올랐다. 기존 4위였던 독일은 생산량이 8.8% 줄면서 6위(342만7752대)로 내려앉았다. 이어 멕시코(312만7311대), 브라질(224만8253대), 스페인(209만8133대), 태국(168만5705대)이 뒤를 이었다. 세계 전체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보다 2.0% 증가에 그친 7978만대였다. KAMA는 "잦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 차질 발생과 코로나19 재유행 등으로 인해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KAMA는 일본, 한국, 독일, 멕시코, 스페인 등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반도체 수급난 속에서 경기 침체 반복과 해운·항만 병목현상 등으로 수출 회복이 제한돼 생산 감소가 지속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과잉 공급 해소를 위해 수출에 노력한 결과 작년 수출이 100% 이상 급성장하면서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심화했다고 전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광활한 내수 시장을 가진 미국, 중국 등은 규제와 보조금만으로도 전기차 생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나 내수가 취약한 우리로서는 한국GM, 르노삼성 등 다국적 기업들에 대한 투자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기차 생산 측면에서 정책 지원 강화, 연구개발 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 제고, 노동·경영환경 개선으로 국내 투자 활성화를 통한 생산 기반 유지와 리튬·코발트·니켈 등 전기차 핵심 원자재 및 소재의 안정적인 확보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자동차 생산량 346만대 '세계 5위'…중국은 13년째 1위

한국 자동차 생산량 346만대 '세계 5위'…중국은 13년째 1위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스파이샷] BMW X6 부분변경…"뒤는 아직인가요?"

지난 17일(현지시간) 스칸디나비아반도 북극권에서 전면부에 위장막을 두른 BMW X6가 포착됐다. 이날 목격된 차량은 3세대 X6(G06)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램프류와 그릴 등 일부 외관 디테일을 바꾸고, 한층 디지털화된 편의사양들을 적용하는 한편, 파워트레인의 효율성은 한층 강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면부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건 한층 슬림해진 헤드램

|22.02.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877
22.02.28
자유주제

포드, 전기차 사업 분리 계획 부인…"지금이 더 효율적"

포드가 전기차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기차 사업 부문을 별도로 독립시킬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을 공식 부인했다. 제임스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 리서치 컨퍼런스를 통해 "전기차 혹은 내연기관 부문을 별도로 분사할 계획이 없다"며 "전기차를 기존의 차량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조·판매할 방안을 고민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22.02.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15
22.02.28
자유주제

GV80 이어 그랜저도…실내 유해물질 초과 검출

현대차 그랜저 실내에서 유해물질인 톨루엔이 기준보다 더 많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신차 실내 공기 질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랜저 2.5 가솔린의 실내 톨루엔 수치는 기준치(1000㎍/㎥)보다 높은 1225㎍/㎥ 가 검출됐다. 톨루엔은 자동차 부품 마감재나 도장용 도료 등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다. 발암 물질은 아

|22.02.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61
22.02.28
자유주제

아우디, V6 TDI에 식물성 기름 쓴다…"고배기량 디젤의 희망?"

사실상 설 자리를 잃은 고배기량 승용 디젤 엔진 시장에 이례적인 낭보가 들여왔다. 아우디는 23일(현지시간) 공식 입장을 통해 이달 말 부터 생산되는 아우디 V6 TDI 탑재 차량에 수소화 식물성 기름(HVO)을 연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구체적으로는 A4, A5, A6, A7, A8, Q5, Q7, Q8 등 8개 차종이며, 적용 범위도 점차

|22.02.28
like-count2
commnet-count3
view-count3,526
22.02.28
자유주제

볼보, 전동화 모델 6종 추가 투입 예고…"XC60 전기차 나온다"

2030년 순수 전기차 브랜드로 전환하기로 선언한 볼보의 청사진이 구체화되고 있다. 볼보의 한 북미 딜러 관계자는 25일(현지시간) 오토모티브뉴스에 딜러십 회의 참석 사실을 전하며 이 같이 밝혔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볼보는 최소 6종의 전동화 모델 투입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 중 2종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4종은 순수 전기차로 구성된다.

|22.02.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2,431
22.02.28
자유주제

서울시, 전기택시 1500대에 최대 1200만원 지원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친환경 전기택시 1500대에 구매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개인택시 1100대와 법인택시 400대 등 총 1500대 규모로, 일반 승용차보다 300만원 많은 최대 12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구매보조금은 차량 가격과 성능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8500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5500만원 미만

|22.02.28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726
22.02.28
자유주제

아이오닉5·EV6, 테슬라·벤츠 제쳤다…독일 전기차 평가서 종합 1·2위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가 독일 자동차 전문잡지 '아우토 자이퉁'이 최근 진행한 전기 SUV 비교평가에서 1·2위를 차지했다고 현대차그룹이 27일 전했다. 아우토 자이퉁 최근호에 게재된 5개 전기 SUV 모델의 비교평가 결과에서 아이오닉5가 총점 3222점으로 1위, EV6는 총점 3178점으로 2위에 올랐다. 3위는 폴스타2(3164점), 4위는

|22.02.28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15
22.02.28
자유주제

[주말의 MG] 영화가 아닌 도로 위에서 만날 트랜스포머!

누구나 한 번쯤은 변신자동차에 열광했던 시절이 있다. 007 본드카처럼 일부분이 바뀌는 것부터 트랜스포머와 같이 로봇으로 변신하는 장면들을 봤을 때 느낀 희열은 아직도 잊혀지지 않고 있다. 사실 영화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자동차 업계에서도 변신자동차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영화 속 장면처럼 악당이나 외계인과는 싸우지 못하겠지만, 미적 감성과 효율성

|22.02.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3,468
22.02.25
자유주제

[주간F1] 300km/h로 달리는 차가 춤을 춘다…새로운 골칫거리 '퍼포싱'이란?

"300km/h로 달리는 차가 춤을 춘다?" 포뮬러 원(F1) 개막을 한달여 앞둔 2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프리시즌 테스트가 진행됐다. 레이싱 스펙을 적용한 경주차들이 처음으로 서킷을 달리는 날, 대부분의 경주차에서 앞뒤로 요동치는 '퍼포싱(purpoising)' 현상이 목격됐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일까? 문제점을 살펴보기 앞서,

|22.02.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8
22.02.25
자유주제

레고그룹, 스쿠터의 대명사 '베스파 125' 세트 공개

레고그룹이 스쿠터 여행의 여유와 낭만을 표현한 '레고 베스파 125(10298)' 세트를 다음달 1일 출시한다. 이번 제품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스타일 아이콘 베스파 스쿠터를 보다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오리지널 베스파의 상징적인 파스텔 페일 블루 색상부터 1960년대 이탈리아 번호판과 베스파 로고까지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곳곳에 담아냈다. 탈부착식 엔진커

|22.02.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9
2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