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세상이 변해도 람보르기니는 변하지 않는다

vi

Lv 103

22.03.05

view_cnt

1,719

V12 대신 전기모터, 배기음 대신 전자음. 상상하지 못했던 람보르기니와 전기모터의 만남이 현실이 될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CEO 스테판 윙켈만에게 물었다 TopGear 2021년 판매량 집계를 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20년과 비교해 14% 성장했다. 2022년 목표 성장률은 어떻게 되는가? 한국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고 싶다. Stephan Winkelmann 2021년에는 상당히 기록적인 성과를 기록했고, 아태지역도 긍정적인 성장을 이어나갔다. 2022년 역시 좋으리라 기대한다. 2022년 전체 생산 물량의 주인은 이미 정해진 상태다. 한국 시장 성장세에 놀랐다. 글로벌과 아태지역 평균 성장세보다 훨씬 앞서있다. 한국 시장은 끊임없이 덩치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발전하리라 기대한다. TG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모든 기업의 우선 과제가 되었다. 특히 자동차 제조사는 탄소 중립을 목표로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 람보르기니는 전기차 생산 외에 어떤 계획, 전략, 실천 방안을 마련했는가? SW 람보르기니 역시 이미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한 모델 개발이다. 2023년 혹은 2024년 내 출시가 목표다. 2022년 하반기에는 순수 전기차도 출시한다. 2025년부터는 회사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소 50% 절감할 계획이다. 16만m2 규모의 람보르기니 산타가타 볼로냐 공장은 이미 2015년 이산화탄소 중립 인증을 받았다. 생산 시설을 두 배로 확장한 현재 시점에도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 전체 생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 이룩한 성과다. TG 2024년까지 모든 라인업에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적용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2년 정도 남았는데 가능한가? 예정대로 진행한다면 급진적인 전동화를 거치게 된다. 브랜드 정체성을 유지할 방법은 무엇인가? SW 전동화 전환은 전체 자동차 업계에서 이미 진행되는 일이라서 급진적인 변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일정대로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모든 라인업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다. 순수 전기차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출시하려고 한다. 람보르기니는 최초보다는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TG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우루스 판매량이 여전히 높다. SUV 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상황에서 또 다른 SUV 개발 프로젝트를 계획하는지 궁금하다. 계획이 있다면, 형태와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SW 새로운 SUV 추가 개발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네 번째 모델은 다른 세그먼트가 될 것이다.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세상이 변해도 람보르기니는 변하지 않는다

세상이 변해도 람보르기니는 변하지 않는다

사이트 방문

댓글

4

소니7

Lv 90
22.03.05

람보는 람보죠 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05

제목이 멋지네요 ㅋ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하데스992s

Lv 90
22.03.05

폭스바겐으로 변하지 않았나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3.05

람보..캬 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22년 2월발표 미국 컨슈머리포트(고객만족도조사) 자동차브랜드별 순위

미국 컨슈머리포트 고객만족도 조사 자동차브랜드 순위입니다. 평가항목은 성능, 안전성, 내구도, 만족도 등등 입니다. 일본차가 역시 강세네요. 독일 3사 브랜드 중에서는 비엠이 요즘 평이 좋죠? 2등은 아우디, 벤츠는 독3사 중에서 꼴찌네요.

thumbnail
Fixed|22.03.05
like-count0
commnet-count8
view-count1,723
22.03.05
자유주제

(비차량)핸드폰 충전에 관한 진실

늘 자기전에 충전 꼽고 자는데 핸펀에 무리 갈까봐 걱정은 되었는데 별 차이 없나 봅니다 ㅋ

thumbnail
요요기|22.03.05
like-count4
commnet-count8
view-count1,115
22.03.05
HOT
자유주제

bmw 사고처리 문의드립니다.

제가 100:0 피해자입니다. 출고 2달만에 날벼락을 ^^; 운전석 2열도어, 휀다까지 긁혔고 문은 찌그러졌습니다. 그냥 가까운 bmw서비스센터에서 보험처리 하고 렌트카 대여를 하면 되는걸까요? 그리고 교환보단 판금이 낫겠죠? 생전 처음 난 사고라 신경이 많이 쓰이네요^^

thumbnail
가식스|22.03.05
like-count0
commnet-count29
view-count2,209
22.03.05
자유주제

조선의 싼츠

짤방에서 이미지 줍줍 조선의 싼츠라네요 ㅋㅋㅋ

thumbnail
멧돼지30d|22.03.05
like-count4
commnet-count18
view-count1,957
22.03.05
자유주제

오늘의 운세 3월5일

❒오늘의 운세, 3월 5일 토요일 [음력 2월 3일] 일진: 정사(丁巳)❒ ‾‾‾‾‾ 〈쥐띠〉 96, 84년생 고생한 것에 비해서 얻는 것은 적은 날이다. 72년생 서로 간에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다.  한발 양보하여 관계 개선을 하라. 60년생 급히 서두르거나 재촉하면 그만큼 손해를 볼 우려가 크다. 48, 36년생 내 의견을 남에게 강요

순풍산부인과|22.03.05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180
22.03.05
자유주제

하반기 작고 쎈놈들의 경쟁..셀토스·XM3 하이브리드로 승부수

요즘 대세 하이브리드 SUV 경쟁이 소형 SUV로 번질 모양새다. 주인공은 하반기 기아와 르노삼성이 준비 중인 셀토스 하이브리드와 XM3 하이브리드. 작고 가벼운 덩치와 효율 좋은 엔진 조합으로 인기가 주춤해진 소형 SUV 붐을 일으킬 전망이다. 4일 국산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와 르노삼성은 하반기 각각 셀토스와 XM3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추가한다.

thumbnail
울트라맨8|22.03.05
like-count4
commnet-count7
view-count873
22.03.05
자유주제

폭스바겐 순수 전기차 I.D 5 올해 첫 유로 NCAP 별 다섯, BMW 2 시리즈 별 넷

올해 처음 실시한 유로 신차충돌평가(Euro NCAP)에서 폭스바겐 폴로(Polo)와 타이고(Taigo) 그리고 순수 전기차 I.D5가 최고 등급인 별 다섯 개를 받았다. 총 7개 모델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렉서스 NX, 르노 메간 E-테크, 포드 투르네오 콘셉트(Ford Tourneo Connect)도 함께 별 다섯 최고 등급을 받았다. 반면, BMW

thumbnail
울트라맨8|22.03.05
like-count4
commnet-count7
view-count1,027
22.03.05
HOT
자유주제

신혼 첫차량.. 선배님들 의견여쭙니다

신혼이고 첫차량입니다.. 2세 계획이 구체적이진 않습니다. 차를 잘 몰라서 신차를 뽑을까 했어요 처음에는. 디자인이 가장 중요해서 스팅어를 뽑으려 했는데, 그 돈으로 기아(?)라는 친구들 반응이 강하네요. 조금 더 보태서 4그랑쿠페도 신차로 사려다가, 요새 옵션 빠지는거 보면 말이 안 되는 듯하고ㅠㅠ 중고차로 보면 w213 E클래스도 살 수 있대서,

레오아빠|22.03.05
like-count0
commnet-count12
view-count1,487
22.03.05
자유주제

Tesla

최근 테슬라에 대한 오너조차 차량에 대한 평가 절하에 테슬라의 경쟁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자 글을 적습니다 테슬라 빠도 현대 빠도 아닙니다 그냥 한쪽으로 치우치는 성향에 반발심이 생기는 병이 있는 사람입니다 테슬라는 다이케스팅으로 레고블록형설계를 합니다 전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 증대 단가경쟁력으로 이익을 증가시키고자 하는거죠 링크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bulletpr|22.03.05
like-count1
commnet-count12
view-count894
22.03.05
자유주제

출시해도 괜찮을 뻔, 싼타페 롱바디 국내에는 없다.

이 차량은 현대차의 중국합작회사 베이징현대(北京现代)의 중형 SUV, 셩다(싼타페 롱바디) 입니다. 국내에선 싼타페 TM으로서 많은 인기를 끌었던 이 모델, 중국 현지에서는 롱바디 모델로 출시되어 독특한 후면디자인과 함께 한층 커진 체급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전면은 국내 페리전과 동일하지만 측면과 후면에서는 기존 싼타페(TM)과 크게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

thumbnail
울트라맨8|22.03.05
like-count4
commnet-count5
view-count1,417
2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