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오늘 밤 전국 비 소식…다음 주 내내 덥다

vi

Lv 103

22.07.10

view_cnt

663

10일(오늘) 밤 중국에서 접근하는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전국에 비가 내릴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밤부터 11일(내일) 오후까지 중부지방과 경북북부에, 11일 새벽부터 밤까지 남부지방과 제주에 비가 내리겠다. 중부지방은 10일 늦은 밤부터 11일 오전까지 강수가 집중될 전망이다. 호남과 제주를 중심으로는 11일 이른 새벽부터 오전까지 비가 세차게 오겠다. 강수 집중 시간대에 강수 강도는 '시간당 최대 30㎜ 내외'로 예상되며 돌풍·천둥·번개도 동반되겠다. 물론 강수 집중 시간대 내내 강한 비가 줄기차게 쏟아지지는 않는다. 중부지방(강원중부동해안·강원남부동해안·충북중부·충북남부 제외)·호남·경북북부·제주의 총 강수량은 10~60㎜로 전망된다. 경기동부·강원(중·남부동해안 제외)·충북북부·전남에서 비가 많이 오는 곳은 강수량이 80㎜ 이상이겠다. 강원중부동해안·강원남부동해안·충북중부·충북남부·경북남부·경남·울릉도·독도의 예상 강수량은 5~40㎜다. 중부지방과 경북북부는 차고 건조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는 것으로, 비구름대가 강하게 발달하지만 한 지역에 오래 머물 가능성은 작다. 즉 중부지방과 경북북부는 비가 확 쏟아졌다가 소강상태에 들어가는 모습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비구름대가 예상보다 정체하면 강수량이 늘어날 수 있다. 남부지방과 제주는 현재 중국 중부지방에서 발달하는 정체전선과 정체전선 위에서 만들어지는 중규모 저기압 때문에 비가 오겠다. 이에 따라 중규모 저기압에 영향받을 때는 비가 내리고 그렇지 않을 때는 비가 잦아드는 모습이 나타나겠다. 기압골과 정체전선이 모두 빠져나가게 되는 12일(화)부터는 우리나라가 오호츠크해고기압 영향권에 들면서 대체로 맑고 매우 덥겠다. 다만 정체전선은 우리나라를 지나간 뒤에도 남해상에 머물러 제주와 남해안 일부엔 12일에도 비가 산발적으로 오겠다. 13일부터 15일까지는 대기 상층이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북쪽에서 남하하며 남쪽 아열대고기압과 충돌하면서 다시 정체전선이 형성되겠다. 정체전선과 전선 상 발달한 중규모 저기압 때문에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 비가 내릴 지역이나 양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초복인 16일(토) 이후에는 호우와 폭염 가능성이 모두 있는 상황이다. 이때 대기 동서 흐름을 막는 블로킹현상이 발생하면서 북쪽 찬 공기가 동쪽으로 빠지지 못하고 남쪽으로 내려오고 아열대고기압과 충돌하면서 정체전선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이 정체전선이 어디에 걸쳐질지 예상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초복 보양식 먹겠나…닭·오리·전복 등 가격 '껑충'

올해 초복(7월 16일)을 앞두고 닭고기 등 보양식 재료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당 닭고기 도매가는 3천901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 3천65원과 비교해 27.3% 비싸졌다. 올해 상반기 ㎏당 닭고기 도매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대체로 비싼 편이다. 지난해 상반기 ㎏당 닭고기 월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7.10
자유주제

"한국, 금융위기 때 수준"…전세계 '경제고통지수' 급상승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경기침체 우려로 각국의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가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지표다. 10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는 8.8을 기록해 전월(8.4)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7월의 경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2.07.10
자유주제

집보다 편한 호텔…부자들이 호텔에 가는 이유

식사부터 미팅·쇼핑까지 원스톱 이용 호텔 피트니스 회원권 억대 넘어…신규 입회 어려워 희소성↑ 장기 단골 회원에게는 특별 서비스도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최근 몇 년간 호캉스(호텔+바캉스)가 유행이다. 평소에 비싼 가격 탓에 이용이 쉽지 않은 호텔에서 여름 휴가만이라도 럭셔리하게 보내고 싶어하는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부자들에게 호텔은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7.10
자유주제

금리 인상기, 이자 줄이는 꿀팁

금리상한형· 월상환액 고정형 주담대 제도 관심 up 취업 및 승진했다면 금리인하요구권 행사 고려도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직장인 A씨는 주택담보대출 때문에 고민이 깊다. 2년 전에 3억원 규모의 변동금리 상품(30년 만기)으로 대출을 받았는데 최근 금리가 급등하면서 이자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변동금리가 저렴해 연 2% 수준으로 이용이 가능했지만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7.10
자유주제

신차 금방 받을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ㅠㅠ

케파 하이브리드 .. 계약기간 1년기다리라는데 좀 더 일찍받을만한거 없을라나여

차는영어로car|22.07.10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1,106
22.07.10
자유주제

사회초년생 첫 차 구매 고민입니다.

반도체 칩메이커에 종사 중이라 원천징수는 세전 기준 9000+@ 입니다. 주거는 월세 지원 복지 통해서 실제 제가 들이는 비용은 20~30 정도입니다. 출퇴근은 통근버스 이용 해서 주말에 나들이 가는 용도로만 차량 운행 예정입니다. 현재 아반떼 대기 중이며 내년 2월 출고 예정입니다..... 폭스바겐 제타도 찾아보고있는데 이외에도 차량 추천 부탁드립

고민있어유|22.07.10
like-count1
commnet-count6
view-count1,635
22.07.10
자유주제

차량 구매 현실적 조언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현재 11년식 투싼(16만키로) 최하트림 깡통차량 타고 있습니다. 곧 아이가 태어날 예정이라 안전을 위해 차량을 바꿔야할지 고민입니다. 현재 자산은 실거주 아파트 한 채 (대출 3억)이고 맞벌이 합산 세후 9,600정도 입니다. 현재 고민은 1. 기존 차량 수리 후 그냥 탄다 - 안전 문제, 신차가격 지속적 상승할듯

마나아라아|22.07.10
like-count3
commnet-count14
view-count1,106
22.07.10
자유주제

中 전동화 전환 예상보다 빨라…전기차 보유 1000만대 돌파

중국의 전기차 보유량이 1000만대를 돌파했다. 국가 차원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를 추진 중인 가운데 당국의 당초 목표보다 전동화 전환이 더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단 평가다. 7일 중국 공안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차 보유량(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은 1001만대로 집계됐다.

GoFoward|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1
22.07.10
자유주제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특허 상위 10위권 일본·한국이 '싹쓸이'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전기자동차(EV)용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전고체 배터리'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7일 보도했다. 10위 내 6곳이 일본 기업일 정도로 일본이 두각을 나타낸 가운데, △삼성전자 △LG화학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도 최근 들어 빠르게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고 신문은 평가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GoFoward|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0
자유주제

LG화학, 3억달러 글로벌 그린본드 발행...전기차 배터리 소재에 전액 투자

LG화학은 7일 총 3억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했다고 8일 밝혔다.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 발행대금의 용도가 기후변화와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 및 인프라 투자에 한정된 채권이다. LG화학은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을 양극재, 분리막 등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

GoFoward|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