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안 그래도 고환율인데…엎친 데 덮친 무역적자

vi

Lv 103

22.07.12

view_cnt

1,121

증시프리즘 시간입니다. 먼저 증권부 배성재 기자와 증시 진단해 봅니다. 배 기자, 오늘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보합세로 마무리했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모두 0%대 내에서 오르내린 채 마무리했습니다. 지난주 이어졌던 외국인들의 매수세는 사라졌고, 오늘은 개인들이 증시의 견인차 역할을 했습니다. <앵커>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봐야 할 것 같은데, 오늘 나온 7월 무역수지가 심상치 않습니다. 무역 적자가 가시질 않는 모습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수출입 실적은 우리 증시의 바로미터죠. 오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무역적자액은 160억 달러에 육박합니다. 무역적자가 160억 달러를 넘었던 기록을 찾으려면 시계를 IMF 구제금융위기 직전인 1996년까지 돌려야 합니다. 당시 무역적자가 206억 달러, 역대 최고값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반년 만에 역대 두 번째로 큰 무역적자를 기록 중인 겁니다. 문제는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서 무역적자가 곧 달러 유출로 연결된다는 데 있습니다. 가뜩이나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될 거라는 우려를 선반영하면서 환율이 크게 올라있지 않습니까. 통화정책에 더해서 이제는 실물경기까지 환율에 영향을 주면서, 달러는 달러대로 나가고, 환율은 환율대로 오르는 악순환이 우려스러운 상황입니다. <앵커> 안 그래도 금리 탓에 올랐던 환율이 계속해서 쌓이는 무역적자 탓에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군요. 그렇다면 무역적자가 이렇게 커진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기자> 잘 아시다시피 에너지수입액, 즉 유가 때문입니다. 7월 집계를 살펴보면 에너지수입액의 규모가 크게 늘었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이번 달 원유 수입 비중이 전체 수입액의 36%를 기록했습니다. 통상 원유 비중이 10%대를 유지한다는 점을 떠올려보면 아주 높은 수치입니다. 상반기 에너지수입액만 따져봐도 879억 달러에 이릅니다.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87.5%가 오른 수치입니다. <앵커> 결국 유가가 좀 진정돼야 무역적자도 가시고 환율도 개선이 될 텐데요. 유가 전망은 어떻습니까. 좀 떨어지지 않았나요? <기자> 지난주 국제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아래에 머물렀습니다. 앞으로 유가 전망들도 대부분 하락에 배팅을 하고 있는데요. 경기침체, 수요 급감 등의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마냥 유가가 떨어질 거라고 볼 수는 없는 게, 지난주 나온 미국의 우수한 고용지표를 보면, 과연 앞으로 원유 수요가 줄어들지 낙관만 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증권가에서는 하반기 유가가 점진적으로는 하락하겠지만, 코로나19 이전보다는 높은 수준 유지할 거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우리 코스피는 수출입 동향과 가장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잖습니까. 이러면 하반기 증시에 있어서도 역시 무역적자나 고유가 문제를 주목해서 봐야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다만 개별 종목별로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요. 문제의 중심에는 환율이 얽혀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탓에 안 그래도 오른 환율에 고유가, 무역적자 같은 상승 요인만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죠.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를 끌어올리기 때문에 내수기업에 치명적입니다. 반면 수출기업들의 경우에는 기회가 되기도 하죠.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LS, 이베스트증권 인수 추진…내년 계열사 편입

LS네트웍스, 이베스트증권 지분 인수 검토 G&A 사모펀드 "이베스트 지분 매각 추진 중…내년초 완료 목표" <앵커> LS그룹 계열사 LS네트웍스가 이베스트투자증권을 직접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모펀드를 통해 우회 지배하고 있는 이베스트증권 지분을 사들여 LS그룹에 편입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신재근 기자가 단독 취재했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92
22.07.12
자유주제

"인센티브 1.2조 원 줄였다"…현대차·기아 역대급 실적

현대차·기아, 역대급 실적 예고 <앵커> 2분기 실적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례적으로 전망치가 크게 높아진 곳이 있습니다. 바로 현대차와 기아인데요. 반도체 대란으로 생산 차질 속에서도 역대급 실적을 예고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강미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현대차가 올해 2분기 시장 전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7.12
자유주제

김주현 "필요시 공매도 금지, 증안기금도 활용"

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이 전 세계적인 긴축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김주현 위원장은 11일 오후 취임식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매도 금지와 금산 분리, 가상 자산 규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입장을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 변동성 심화 가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92
22.07.12
자유주제

머스크 인수 파기에 트위터 주가 폭락…"더 떨어질듯"

"트위터 여전히 고평가…밸류에이션 130억~150억달러"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인수 파기 선언으로 트위터 주가가 장중 폭락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트위터 주가는 이날 오전 9시55분 현재 전거래일 대비 7.35% 하락한 주당 34.1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트위터 주가가 빠지고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8
22.07.12
자유주제

젤렌스키 “러시아 살인자들, 반드시 처벌받을 것”

10일밤 대국민 연설에서 밝혀 "나치 살인범, 100살 돼도 심판"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민간 아파트 단지를 공격한 러시아군을 나치에 빗대며 “반드시 처벌받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밤 대국민 연설에서 러시아군의 도네츠크주(州) 차시우 야르 마을의 아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3
22.07.12
자유주제

'피그플레이션' 중국은 돼지고기에 진심인가요

중국인 돼지고기 소비량, 세계인 3배 이상 돼지고기 가격 中소비자 물가에 영향 6월초 돼지고기 가격 12% 급등…"더 오를수도" 中정부 나서서 "비축하지 말라" 경고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8
22.07.12
HOT
자유주제

8기통 세단, 여러분의 선택은??

RS7가 가격이조금 저렴하긴하지만 , 가격을 떠나서 선택을한다면... 저는 bmw8기통을 한번도 타본적이없어서 m8한번 느껴보고 싶네요.

thumbnail
북곽선생|22.07.12
like-count9
commnet-count23
view-count2,729
22.07.12
자유주제

X7을 대체할만한 차량이 있을까요?

예산은 말그대로 8000정도 이며 현금입니다. 이리저리 중고나 한번 볼까 하다가 나머지는 할부로 해도 괜찮을까 싶어서 그러는데 X7말고 다른 차종이 있다면 추천해주세요~

맥나메라|22.07.11
like-count1
commnet-count12
view-count1,390
22.07.11
자유주제

인생이란 시

철없음이 있었기에 낭만아 있었고 세상 물정 몰랐기에 즐거웠고 남들 세상 큰 세상을 모르고 내가 보이는게 전부였던 그때는 행복했고 어린시절이 지금과 같은 머리였다면 아련한 추억이 있었을까? 나이를 먹어가며 더 많은 세상을 경험하고 더 많은걸 알아갈수록 행복은 그시절 무지에서 왔다고 느끼게된다 그 무지가 현재의 자신을 힘들게 할지는 모르지만 그 무지를 깨

탈퇴자|22.07.11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839
22.07.11
자유주제

포람페 따버리는차

거기다 자율주행까지 컄~~~ 가격까지 더 싸다 이건 화성에서 내려온 사기다

thumbnail
탈퇴자|22.07.11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1,451
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