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LG엔솔, 일본·인도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 공급키로

vi

Lv 103

22.07.14

view_cnt

669

日 이스즈에 원통형배터리·인도 마힌드라그룹에 SUV용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이 해외 시장에서 쾌속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인도 기업에 연이어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일본 상용차 업계 선두그룹인 이스즈자동차와 인도 마힌드라 그룹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스즈자동차의 준중형 트럭 엘프 전기트럭에 원통형배터리를 4년간 공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급 규모는 최소 1조원 이상이다. 이스즈는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배터리를 탑재한 엘프 전기트럭 모델을 내년부터 본격 양산한다.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 트럭을 포함해 연 1만대 규모 전기차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원본보기 이스즈자동차의 주력 트럭 모델 '엘프' (사진=이스즈자동차) 주목을 끄는 것은 전통적인 원통형배터리 강자인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일본 기업의 수주를 따냈다는 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닛산·혼다 전기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파나소닉이 테슬라 원통형배터리 물량에 주력하는 사이 LG에너지솔루션이 일본 내 틈새시장을 공략했다는 후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인도 시장 진출에도 신호탄을 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마힌드라 첫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에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공급될 모델로는 마힌드라 & 마힌드라의 SUV 차량 ‘XUV400’가 유력하다. XUV400은 소형 전기 SUV 모델로 오는 9월 공개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밖에도 마힌드라 그룹의 배터리 팩 제작 자회사인 ‘마힌드라 일렉트릭’을 위한 배터리 모듈도 개발키로 했다. 원본보기 마힌드라 인도 볼륨모델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UV300 (사진=마힌드라그룹) 마힌드라는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4위권 업체다. 국내에서는 쌍용자동차를 인수했던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마힌드라는 총 1억달러(11조8천409억원)라는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는 등 대대적인 투자를 감행 중이다. 인도는 14억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중국 다음의 내수 시장을 가진 국가다. LG에너지솔루션은 마힌드라에 배터리 공급을 교두보로 인도 시장에서도 배터리 영토를 확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세계 자동차 시장에 통신특허 태풍 온다

특허관리업체 아반시, "9월부터 건당 로열티 20달러로 인상" 통보 세계 자동차시장에 ‘아반시(Avanci)'발 특허료 인상 강풍이 불고 있다. 특허풀 관리전문업체 아반시가 자동차업체들에게 4G 관련 표준특허료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고 포스페이턴츠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반시는 오는 8월 31일 이전까지 라이선스 체결하지 않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77
22.07.14
자유주제

물고기 수천 마리 집단폐사…"장마철 틈타 폐수 방류"

요즘에도 이런 일이 벌어지네요. 전남 영광군의 한 저수지에서 물고기 수천 마리가 죽은 채 둥둥 떴습니다. 장마철을 앞두고 인근 공장에서 몰래 폐수를 버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치훈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농업용수로 쓸 물을 채운 한 저수지. 셀 수 없이 많은 물고기가 하얀 배를 드러낸 채 둥둥 떠 있습니다. 그나마 살아 있는 물고기도 숨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14
자유주제

한은총재가 '영끌족'에게…"이자 평생 3%라 생각 말아야"

이렇게 결정한 뒤에 한국은행 총재가 내놓은 메시지가 아주 의미심장합니다. 이자가 평생 3% 정도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위험을 생각하라는 얘기였습니다. 그동안 대출을 끌어모아 투자해온 이른바 '영끌족'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소상공인의 시름도 깊어졌습니다.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 이모 씨는 재작년 말에 가능한 대출을 다 받는 일명 '영끌 매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7.14
자유주제

교사 5명 있었는데…3살 아이, 통학버스 바닥에 끼어 70m 끌려가

부산에서는 3살 아동이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끌려가는 사고가 났습니다. 어린이집 바로 앞이라 교사들이 여럿 있었는데도 사고를 막지 못했습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노락색 어린이집 통학버스가 언덕길을 내달립니다. 어린이집 교사가 버스를 다급히 뒤쫓습니다. 잠시 후 주민들이 모여들고, 구급차와 경찰차도 도착합니다. 부산의 한 어린이집 앞에서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7.14
자유주제

중·일로 간 수상한 2조원…4천억 외화송금 본사는 유령회사

금융감독원이 2조원이 넘는 거액이 시중은행 2곳을 통해 중국과 일본으로 넘어간 수상한 외환거래 사건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을 통해 4천억 원을 송금한 한 중소업체는 이미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있는데요. 구자준 기자가 금융당국의 조사와 검찰 수사 상황, 그리고 업체의 실체를 추적한 현장 취재 내용 차례로 보도하겠습니다. [기자] 채널A가 확인한 우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58
22.07.14
자유주제

한은, 사상 첫 빅스텝 “연내 3% 전망”…‘영끌족’ 비상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치솟는 물가와 환율에 한국은행이 극약 처방을 내렸습니다. 1999년 도입 이후 처음으로 한번에 기준 금리 0.5% 포인트를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도 나오지만, 한은은 아직은 버틸 만 하다며 9월에서 10월까지는 물가가 더 오를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문제는 대출자들인데, 가계부채만 190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6
22.07.14
자유주제

세금 인하할테니 여론 만들어달라는 추경호 부총리

"법인세를 올린 유일한 정부가 문재인정부, 낮출 것" 종부세 대폭 완화 "여론 만드는데 함께 해 주시면 좋겠다" 당부 "10월 정도 가면 밥상 물가 조금 안정시킬 수 있지 않을까" 전망 원본보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종민 기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법인세와 종부세 등 세금을 낮춰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정부 방침을 거듭 밝혔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6
22.07.14
자유주제

미국 물가 '더' 올랐다… 6월 9.1% 상승, 예상 빗나가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가 예상을 뛰어넘고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9.1% 올랐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1981년 12월 이후 가장 높았던 5월(8.6%) 상승폭 보다 더 커진 것이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8.8%보다도 앞선 수치다. 이에따라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5
22.07.14
자유주제

확진자 20만명 다시 간다…"재유행 2회 이상"

방역당국, 50세 이상 4차접종 권고 <앵커> 오늘 정부가 새로운 방역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코로나19 재유행을 대비한건데요. 거리두기 대신 4차 백신 접종 대상 확대안을 들고 나왔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IT·바이오부 김수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새로운 방역지침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4차 백신 접종 여부인데 언제, 누구를 대상으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7.14
자유주제

'21번 중 15번은 주가하락'…"코스피 2,000 갈수도"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을 결정하면서 금리인상이 국내증시에 어떤 영향을 줄 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과거 금통위가 금리인상을 한 이후 주가 흐름을 살펴보니 하락한 경우가 훨씬 많았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단기간에 잡히지 않으면 코스피는 2,000까지도 밀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홍헌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 2000년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