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용인 은화삼지구 난개발 우려 '시끌'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68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은화삼CC 옆 숲의 대단지 아파트 개발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곳 24만3800㎡ 녹지 3개 블록에 최고 28층 높이 4013가구를 짓는 대규모 개발사업 때문이다. 1·2블록은 이미 1군 건설사를 시공사로 정하고 1블록에 1669가구, 2블록에 1984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골프장 조망권으로 녹지에 둘러싸여 주변 환경이 쾌적하고, 단지 내에 초등학교도 신설될 예정이다. 또한 용인경전철 운동장·송담대역과 용인 SK하이닉스 신공장과 가까워 이미 청약 대기자들 관심이 높다. 하지만 자연 녹지와 산을 헐고 고층 아파트를 지어 자연 훼손 우려가 있고, 전직 용인시 공무원 소유 토지가 사업지에 포함되면서 시세보다 땅을 높은 가격에 거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2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아파트 용지를 1만7897㎡ 추가로 확대하는 안에 대해 심의 끝에 보류했다. 시 관계자는 "소위원회에서 재논의한 후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심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시계획위가 아파트 용지 확대 심의를 보유한 데는 지역 환경단체들 반발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용인녹색환경연합 등 환경단체에 따르면 해당 지역은 국토법상 '수령 40년이 넘은 수목이 50% 이상 존재하는 임상도 5영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임상도 5영급 지역은 보전대상으로 분류돼 개발할 수 없으며, 부득이 개발할 때도 최대한 주변 환경을 보전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계획대로 총 4013가구 대단지를 조성할 경우 유동인구가 1만명가량 늘어나지만 연결도로는 한 곳뿐이어서 교통난도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용인시는 실제로 조사하면 임상도는 5영급이 아닌 4영급이라 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지역 주민들은 토지 매입 과정에 대한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사업지의 토지 실거래 신고 내역을 보면 3.3㎡(평)당 200만~350만원에 대부분 거래됐지만, 전 용인시 공무원이 보유한 토지는 747만원에 특히 비싸게 거래됐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환경뿐만 아니라 도로 등 기반시설 문제, 토지 거래 과정 의혹 등에 관한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동산 라운지] 용인 은화삼지구 난개발 우려 '시끌' | Daum 부동산

[부동산 라운지] 용인 은화삼지구 난개발 우려 '시끌' | Daum 부동산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매매거래 감소 속 ‘1년 이하 보유’ 매도비율 증가

2022년 전국 집합건물의 매매거래건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매수한 이후 단기간 내에 매도하는 매도인 비율도 늘고 있다. 전국 집합건물을 보유기간 1년 이내에 매도한 매도인 비율은 2022년 2분기 9.92%로, 동일기간 매도인 10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직방은 집합건물 매매거래 중 보유기간이 짧은 매도인 비율을 분석했다. 2019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8
자유주제

94억 횡령해 명품쇼핑한 40대女..동료는 월급 못받고 회사 '파산'

20년간 약 100억원에 가까운 회삿돈을 빼돌려 명품을 쇼핑하는 등 호화생활을 해온 한 대기업 협력업체 여직원이 항소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 받았다. 원심의 형이 무겁다며 항소했는데, 형량이 더 늘었다. 부산고법 울산제1형사부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혐의로 기소된 A씨(47·여)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의 징역 8년을 파기하고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18
자유주제

젤렌스키, 반역 혐의로 정보국장·검찰총장 해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반역 혐의로 국가정보국장과 검찰총장을 해임했다고 가디언 등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웹사이트를 통해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지역에서 정보기관 요원들과 주요 법 집행 기관 공무원들이 러시아를 위해 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60명 이상의 공무원들이 러시아를 위해 일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8
22.07.18
자유주제

전기차 충전구역? 찾지 마세요! 찾아가는 충전 서비스

아파트 단지 내 전기차 충전 구역은 ‘충전 전쟁’이라는 기사, 자주 본 적 있을 겁니다. 충전기는 한정적인데 충전 시간이 종료됐음에도 여전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고, 주차 구역이 부족해 일반 차량이 주차를 해놓다 보니 갈등이 생기곤 하는데요. 주거시설뿐만 아니라 충전소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발생합니다. 전기차 보급에 비해 충전소가 부족해지자, 충전을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7.18
자유주제

[리뷰] 전기차 경쟁력을 끌어 올리는 BMW SAV – BMW iX1

BMW는 최근 시대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전동화에 힘을 더하며 다채로운 전기차를 연이어 공개하고 있다. 세계 시장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iX와 i4, iX3 등이 연이어 데뷔하며 ‘전기차 시장’ 속 BMW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이런 와중에 BMW는 컴팩트한 SAC(Sports Activity Vehicles)인 X1의 전동화 모델, ‘iX1’를 공개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2.07.18
자유주제

서울서 부산까지 거뜬.. '500km 전기차' 대중화 시대

현대차가 한 번 충전에 524㎞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아이오닉6(롱레인지)를 출시하면서 ‘전기차 주행거리 500㎞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그동안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국내 출시한 전기차 중 500㎞ 넘게 달릴 수 있는 전기차는 테슬라 보급형인 ‘모델3′와 ‘모델Y’의 롱레인지 버전과 고급 세단인 ‘모델S’ 정도였다. 하지만 테슬라가 주행거리 강점을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2
22.07.18
자유주제

정우덕 칼럼]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 처럼 12V 배터리가 적용된 까닭은?

전기차는 고용량 배터리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터리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반 차량과 마찬가지로 작은 용량의 12V 배터리를 추가로 탑재하고 있다. 자칫 방전될 수도 있는데, 왜 굳이 있는 것일까 궁금해 할 수 있는데, 이런 건 설계 개념의 문제로 보는 게 타당하다. 고압 배터리는 주행 동력 제공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시동을 끄면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7.18
자유주제

오늘 사는 게 가장 싸다..급등하는 전기차 가격 진단

최근 차량용 반도체 대란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자동차 가격이 치솟고 있다. 큰 변경이나 개선 없이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특히 내연기관 대비 15~20% 비싼 전기차의 경우 가격 인상 폭이 더 커진다. ‘오늘 사는 차가 가장 저렴하다. 고민하는 동안 가격은 이미 올랐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다. 가격 인상에 가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1
22.07.18
자유주제

[人터뷰]"전동화 시대? 미니 JCW는 대환영"

지난 14일 부산국제모터쇼에 존 쿠퍼의 손자이자 미니 홍보대사인 찰리 쿠퍼가 등장했다. 그는 미니 고성능 브랜드 JCW 최초의 순수 전기차이자 포뮬러 E 세이프티카 '미니 일렉트릭 페이스세터'를 직접 운전하며 등장해 주목을 끌었고 다양한 브랜드 비전과 철학을 공유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특히 전동화 파워트레인과 미니 JCW는 공통된 성격으로 발전 가능성이 상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0
22.07.18
자유주제

이베코 그룹, 차세대 수소 버스에 현대 HTWO시스템 탑재한다.

이탈리아의 상용차회사 이베코 그룹이 2022년 7월 13일, 차세대 수소 버스에 현대자동차의 HTWO시스템을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연료전지 시스템 기반 수소 비즈니스 브랜드인 HTWO는 수소경제에 대한 현대차의 강한 의지로 2020년 12월 처음 출시됐다. HTWO는 현대 FCEV에서 입증된 연료 전지 기술을 활용하여 연료 전지 기술 제공을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