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이러다 맨밥 먹을 판"..우크라이나 전쟁에 떠는 일본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732

저녁식사는 쌀밥 한 그릇, 야채볶음 두 접시, 구운 생선 한 토막. 우유는 4일에 한 잔, 달걀은 13일에 한 알, 구운 고기는 14일에 한 접시. 최근 일본 농림수산성이 제시한 식단의 예다. 식료품 수입이 끊겨 자국산 식료품으로만 일본 전국민이 필요한 열량을 채워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밥상이다. 아침과 점심은 더 조촐하다. 아침은 쌀밥 한 그릇, 장아찌와 낫또가 전부다. 점심은 우동 한 그릇과 샐러드, 사과 5분의 1조각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런 식단을 유지하면 비타민B2, 나트륨, 칼슘, 크롬, 비오틴 부족이 우려된다고 후생노동성은 분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식료품 가격이 세계적으로 급등하면서 일본의 식량안보가 위협받고 있다. 일본의 식량자급률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낮다. 17일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2020년말 일본의 식량자급률은 37%(열량 기준)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식량자급률이 73%에 달했던 1965년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일본의 식량 사정은 G7 가운데 단연 꼴찌다. 2019년 기준 캐나다 미국 프랑스의 식량자급률은 100%를 넘고 독일도 95%로 식량 대부분을 자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식량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영국과 이탈리아의 자급률도 68%와 59%로 일본을 크게 웃돈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45.8%다. 일본은 쌀(자급률 98%)을 제외하면 자급이 가능한 곡물이 없다. 일본 정부는 자급 가능한 곡물을 늘리기 위해 논을 밀 경작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하지만 밀 자급률은 15%에 불과하다. 쌀 조차 일본 국내소비 감소로 인해 1998년 연간 생산량이 1000만t을 처음 밑돌았다. 2020년에는 814만t까지 줄었다. 일본인이 즐겨 찾는 소바는 주원료인 메밀가루 거의 대부분을 수입한다. 메밀가루를 주로 수입하는 중국에서 생산량이 줄자 올들어 일본의 소바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야채 자급률은 76%로 안정적이지만 섬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어패류 자급률은 51%까지 떨어졌다. 축산물과 식물성 기름의 자급률도 16%와 3%에 불과하다. 빵과 면류의 재료인 밀가루와 사료의 주원료인 옥수수 대두는 수입국 편중이 과제로 지적된다. 옥수수는 99%를 미국과 브라질, 밀가루는 85%를 미국과 캐나다 2개국으로부터 수입한다. 대두는 미국 수입 의존도가 75%에 달한다. 이 때문에 "주요 수입국들이 이상기후나 재해, 분쟁에 휘말리면 일본이 식료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은 지적했다.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2035년까지 식량자급률을 45%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일본의 고령화가 식량자급률 개선을 가로막고 있다. 1990년 849만명이었던 일본의 농업종사자는 2021년 136만3000명으로 줄었다. 30여년 새 농업인구가 84% 급감했다. 경작면적도 1990년 800만헥타르(ha)에서 2021년 435만ha로 줄었다. 버려진 농지가 태양광발전 부지로 이용되면서 농촌지역에서 갈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산케이신문은 "부족한 농업인구를 외국인 노동자에 의존하고 있지만 일본은 임금이 갈수록 싸지고 있기 때문에 곧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다 맨밥 먹을 판'..우크라이나 전쟁에 떠는 일본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이러다 맨밥 먹을 판'..우크라이나 전쟁에 떠는 일본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전기차 충전 플랫폼 '플러그링크', 누적 투자액 100억원 달성

전기차 충전 플랫폼 기업 플러그링크가 7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플러그링크는 이번 투자를 통해 누적 투자 금액 100억원을 달성했다. 이번 투자에는 MC파트너스, 슈미트-DSC 미래모빌리티 펀드, 하나벤처스 외 새롭게 한국플랜트서비스(HPS)가 참여했다. 한국플랜트서비스는 칼리스타캐피탈과 KDB 인프라자산운용이 투자한 회사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07
22.07.18
자유주제

운동 안하면 근육 녹아 없어져..유지하는데 좋은 식품 5

나이가 들면 근육이 줄어 팔다리가 가늘어진다. 영국 노팅엄대학교 임상생리학과 연구팀은 "이는 근육에 혈액 공급이 잘 안 되고, 근육이 녹아 없어지는 것을 막아 주는 인슐린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런 사태를 막으려면 운동을 정기적으로 해 근육에 더 많은 혈액을 보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근육 손실 막는 운동 연구팀은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7.18
자유주제

'지상 출입 금지' 고덕동 택배 갑질 사건 그 후

지난해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일어났던 '택배 갑질' 사건을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갑'은 아파트 단지였습니다. 서울 강동구 고덕동에 있는 '고덕그라시움' 아파트는 당시 택배 차량의 단지 내 진입을 금지했습니다. 지상으로 차를 운행하지 말란 얘기였습니다. 손수레로 배송하거나 저상 탑차로 개조하거나 변경해 지하 주차장을 이용해달라고 공지했습니다. 입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1
22.07.18
자유주제

용인 은화삼지구 난개발 우려 '시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은화삼CC 옆 숲의 대단지 아파트 개발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곳 24만3800㎡ 녹지 3개 블록에 최고 28층 높이 4013가구를 짓는 대규모 개발사업 때문이다. 1·2블록은 이미 1군 건설사를 시공사로 정하고 1블록에 1669가구, 2블록에 1984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골프장 조망권으로 녹지에 둘러싸여 주변 환경이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1
22.07.18
자유주제

매매거래 감소 속 ‘1년 이하 보유’ 매도비율 증가

2022년 전국 집합건물의 매매거래건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매수한 이후 단기간 내에 매도하는 매도인 비율도 늘고 있다. 전국 집합건물을 보유기간 1년 이내에 매도한 매도인 비율은 2022년 2분기 9.92%로, 동일기간 매도인 10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직방은 집합건물 매매거래 중 보유기간이 짧은 매도인 비율을 분석했다. 2019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8
자유주제

94억 횡령해 명품쇼핑한 40대女..동료는 월급 못받고 회사 '파산'

20년간 약 100억원에 가까운 회삿돈을 빼돌려 명품을 쇼핑하는 등 호화생활을 해온 한 대기업 협력업체 여직원이 항소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 받았다. 원심의 형이 무겁다며 항소했는데, 형량이 더 늘었다. 부산고법 울산제1형사부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혐의로 기소된 A씨(47·여)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의 징역 8년을 파기하고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18
자유주제

젤렌스키, 반역 혐의로 정보국장·검찰총장 해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반역 혐의로 국가정보국장과 검찰총장을 해임했다고 가디언 등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웹사이트를 통해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지역에서 정보기관 요원들과 주요 법 집행 기관 공무원들이 러시아를 위해 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60명 이상의 공무원들이 러시아를 위해 일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8
22.07.18
자유주제

전기차 충전구역? 찾지 마세요! 찾아가는 충전 서비스

아파트 단지 내 전기차 충전 구역은 ‘충전 전쟁’이라는 기사, 자주 본 적 있을 겁니다. 충전기는 한정적인데 충전 시간이 종료됐음에도 여전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고, 주차 구역이 부족해 일반 차량이 주차를 해놓다 보니 갈등이 생기곤 하는데요. 주거시설뿐만 아니라 충전소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발생합니다. 전기차 보급에 비해 충전소가 부족해지자, 충전을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7.18
자유주제

[리뷰] 전기차 경쟁력을 끌어 올리는 BMW SAV – BMW iX1

BMW는 최근 시대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전동화에 힘을 더하며 다채로운 전기차를 연이어 공개하고 있다. 세계 시장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iX와 i4, iX3 등이 연이어 데뷔하며 ‘전기차 시장’ 속 BMW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이런 와중에 BMW는 컴팩트한 SAC(Sports Activity Vehicles)인 X1의 전동화 모델, ‘iX1’를 공개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2.07.18
자유주제

서울서 부산까지 거뜬.. '500km 전기차' 대중화 시대

현대차가 한 번 충전에 524㎞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아이오닉6(롱레인지)를 출시하면서 ‘전기차 주행거리 500㎞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그동안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국내 출시한 전기차 중 500㎞ 넘게 달릴 수 있는 전기차는 테슬라 보급형인 ‘모델3′와 ‘모델Y’의 롱레인지 버전과 고급 세단인 ‘모델S’ 정도였다. 하지만 테슬라가 주행거리 강점을

GoFoward|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