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전남에 새로 둥지 튼 10명 중 9명 이상은 '귀촌' 목적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669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발표한 전남지역 귀농·귀촌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경제조사팀)에 따르면 귀농·귀촌인 통계 작성 시점인 2013년 이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4만2천여 명이 유입됐다. 이 기간 귀농·귀촌 인구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4년 4만7천550명, 가장 적었던 해는 2016년 3만9천103명이다. 연평균 4만2천456명이 전남에 둥지를 틀었다. 세부적으로 귀촌 인구는 35만1천245명(91.9%), 귀농과 귀어 인구는 각 2만6천960명(7.1%)과 3천900명(1.0%)에 그쳤다. 농업과 어업을 비롯한 영농과 영어를 위한 귀농·귀어보다는 귀향, 전원생활, 요양 등을 위해 전남은 찾은 귀촌이 월등히 많은 셈이다. 2021년 기준 전국 귀농·귀촌 인구 대비 전남이 차지하는 비중은 9.0%에 불과했다. 경기(31.6%)가 3분 1가량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경북(10.9%), 충남(10.9%), 경남(9.6%) 순이다. 시군별로 귀농과 귀촌을 세분하면 귀농은 농업 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고흥, 무안, 순천, 보성, 나주 순이었다. 귀촌은 광주 근교 지역인 담양(6.4%), 화순(6.2%)과 신도시가 조성된 무안(15.3%), 순천(11.6%), 광양(9.0%), 여수(6.0%), 나주(5.1%) 등 시 지역에 집중됐다. 보고서는 귀농과 귀촌이 지방소멸 위험 및 농어촌 지역 고령화 완화(1.3%포인트) 등에 긍정적 효과를 준 것으로 분석했다. 전남지역은 목포 등 5개 시 지역과 무안군을 제외한 16개 시군의 인구가 줄 것으로 예상되는 지방소멸 지역이다. 조사팀은 연령대별 귀농·귀촌 인구를 보면 30대가 높고 70대 이상이 낮기 때문에 이들의 지속적인 유입은 지역의 고령화 비율을 낮추는 데 일부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남에 새로 둥지 튼 10명 중 9명 이상은 '귀촌' 목적

전남에 새로 둥지 튼 10명 중 9명 이상은 '귀촌' 목적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닭보다 식용유가 더 비싸" 물가 폭등에 자영업자들 한숨

최근 식자재 물가가 요동을 치면서 바닥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시련의 계절을 맞고 있다. 특히 외식업체 평균 영업비용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재료비가 큰 폭으로 올라 부담감에 눈물이 날 정도다. 그렇다고 음식값을 올리자니 고객이 줄어들까 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한다.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2.07.18
자유주제

장맛비 그친 뒤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남부지방 호우주의보 해제

장맛비가 그친 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폭염이 이어질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기상청은 19일과 20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하루 최고체감온도가 31도 이상 오르겠고, 경상권과 전남권을 중심으로는 33도 이상으로 올라 매우 무더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18일 예보했다. 일부 남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로는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열대야 현상이 나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7.18
자유주제

"러軍 킬러" 美무기 특수? 하이마스 등 유럽·亞에 대거 팔았다

미국산 첨단 무기가 속속 유럽·아시아로 가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보 위협을 느낀 관련국이 무기 구매에 나서는 가운데, 미 정부가 무기 판매를 잇달아 승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에 큰 타격을 입힌 M142 고속기동 포병 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도 포함됐다.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5
22.07.18
자유주제

"화폐가치 자유낙하중"..사실상 디폴트 국가들 급증

1. 달러가 빠져 나간다. 튀르키예에 빌딩을 소유하고 있는 영국인 A씨, 그런데 튀르키예 리라화 가치가 올들어 25% 이상 폭락했다. 그럼 빌딩을 팔아도 딱 그만큼 손해다(빌딩을 팔고 난 뒤 리라화를 달러로 환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튀르키예 돈 들고 집에 갈 수는 없지 않는가?). 아무리봐도 튀르키예 경제는 더 어려워질 것 같다. 그는 결국 지금 빌딩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3
22.07.18
자유주제

이탈리아서 회전그네 운행 중 '폭삭'..최소 20명 부상 [나우,어스]

이탈리아에서 사람들을 태우고 운행 중이던 회전그네 놀이기구가 갑자기 무너져 최소 20명이 부상을 입었다. 17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외곽에 위치한 팔마 캄파니아에서 열린 한 축제에서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 영상 속에는 놀이기구는 최고 속도에 도달한 직후 전체를 지탱하던 바닥 부분이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7.18
자유주제

영국 여자총리 탄생하나..돌풍 일으키는 모돈트는 누구?

보리스 존슨 총리의 뒤를 이을 영국 보수당의 차기 당 대표 경선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페니 모돈트 국제통상부 부장관(49)이 깜짝 돌풍을 일으키면서 전세계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실시된 보수당 당 대표 경선 2차 투표에서 리시 수낵 전 재무장관이 101표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며, 모돈트 부장관은 83표로 2위를 기록했다. 리즈 트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2.07.18
자유주제

美는 '투키디데스 함정'에, 中은 '킨들버거 함정'에 빠졌다

미국은 ‘투키디데스 함정’에 중국은 ‘킨들버거 함정’에 각각 빠졌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모닝포스트(SCMP)가 18일 보도했다. 킨들버거 함정은 새롭게 부상한 국가가 기존 패권국을 대신해 제대로 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위기를 뜻한다. 미국 경제학자 찰스 킨들버거(1910∼2003)는 1930년대 발생한 대공황의 원인에 대해 영국을 대체해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18
자유주제

美, 强달러 물가 잡는데 도움되지만..수출기업에 '악영향' 우려

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기업들에게는 실적 악화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달러화는 유로와 일본 엔화를 포함한 주요 통화들에 대해 수십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수년간 저물가와 저금리가 지속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8
22.07.18
자유주제

인도 대통령 선거 개시..첫 부족민 대통령 탄생할까

인도 의회가 18일(현지시간) 오전 15대 신임 대통령을 뽑기 위한 투표를 시작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대선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집권당 바라티야자나타(BJP·인도인민당) 후보이자 원주민 산탈족 출신 여성 정치인 드라우파디 무르무(64)와 과거 BJP 정부에서 재무·외무부 장관을 지낸 정치 베테랑 야수완트 신하와 경쟁이다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7.18
자유주제

"돈 없다고 짓다 만 내 아파트에서 살겠다, 대출 안 갚고"

중국에서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사태 등의 여파로 아파트 건축이 중단되면서, 이를 분양받은 주민들이 은행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은행에 건설사에 대한 대출 확대를 촉구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바싹 경계하고 있다. 18일 중국 소셜미디어인 ‘더우인’ 등을 보면, 건축이 중단된 아파트 단지에서 홀로 생활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1
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