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재주는 일본이 넘고..한국·중국이 1조원 벌어갑니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6

개발은 일본이 했지만 대량 생산과 판매로 인한 이득은 한국과 중국이 거둬들이는 농산물 품종이 늘어나고 있다. 자체 개발한 농산물 씨앗과 묘목의 해외 유출로 일본이 입는 피해가 연간 1000억엔(약 9493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농산물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지만 기후가 비슷한 한국과 중국에서 같은 품종이 재배되는 실태가 다수 파악되고 있다고 20일 보도했다. 고급 포도 품종인 샤인머스캣은 중국에서만 매년 100억엔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 관계자는 "딸기와 앵두, 고구마 등을 포함한 전체 손실 규모는 1000억엔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중국의 샤인머스캣 재배 면적은 일본의 30배인 5만3000헥타르(ha)에 달한다. 작년 8월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샤인머스캣이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으로 부상하면서 수출규모가 일본의 5배까지 커졌다"고 보도했다. 샤인머스켓은 일본의 국립 농업 연구개발법인인 '농연기구'가 30여년에 걸쳐 품종을 개발한 뒤 2006년 일본에 품종등록한 포도 품종이다. 당도가 일반 캠벨 포도보다 4~5도 높은 18브릭스(brix) 안팎으로 일반 포도보다 값이 3~4배 비싸다. 농연기구는 샤인머스캣을 개발한 뒤 자국내 판매만 고려하고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두지 않아 한국에 품종 등록을 하지 않았다. 품종 등록은 자국에서 등록한지 6년이 지나면 해외에서도 등록할 수가 없다. 덕분에 한국 농업인들은 일본에 로열티를 내지 않고 샤인머스캣을 기를 수 있다. 지금은 한국산 샤인머스캣이 중국 베트남 홍콩 미국 뉴질랜드 등 19국에 수출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2016년에야 샤인머스캣의 해외유출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농림수산성은 이밖에 한국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 고급 딸기 품종인 베니홋페(紅ほっぺ) 등 일본이 개발한 농산물 품종 36종이 판매되는 것을 확인했다.

재주는 일본이 넘고..한국·중국이 1조원 벌어갑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재주는 일본이 넘고..한국·중국이 1조원 벌어갑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