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4억 주택 기준' 금리전환 대책, 수도권 역차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00

[앵커] 물가 잡으려고 한국은행이 금리를 계속 올리자 대출금리도 같이 뜁니다. 대출받아 집 산 사람들 부담이 더 늘어날 테니, 정부는 날마다 뛸 변동금리를 낮은 고정금리로 바꿔주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수도권에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오히려 이건 역차별이다, 하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고 하는데요. 팩트체크 해보죠. 이지은 기자, 우선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 정확히 어떤 거였죠? [기자] 안심전환대출이란 건데요. 신청 기준을 보면 주택 가격이 4억 원 이하에, 부부 합산 연 소득이 7천만 원 이하인 이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로 설명해 드리면요. 연 5% 변동금리로, 주택담보대출로 2억 원을 빌렸었는데, 이걸 우대금리를 받으면서 4%대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해준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월 이자가 85만 원에서 76만 원으로 9만 원가량 줄어듭니다. [앵커] 지금보다 금리가 더 싸기도 하고, 더 뛸 걱정이 없으니까 좋은 건데, 역차별이라는 주장은 왜 나오나요? [기자] 수도권, 특히 서울의 웬만한 아파트를 가진 이들은 거의 혜택을 보지 못할 거란 주장입니다. 올해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10억 원에 가깝고, 경기도도 5억 원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시세 4억 원을 기준으로 이런 혜택을 준다고 하니, 비수도권 주택 소유자만 대상이 되는 거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그럼 실제로 대상자들, 그런 혜택을 받을 걸로 예상되는 사람들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각각 어느 정도일 거라고 정부는 보고 있습니까? [기자] 취재해보니,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4:6 정도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근거가 지난 2019년에 정부가 안심전환대출을 한 적이 있는데, 당시 비율이 수도권은 46.7%, 비수도권은 53.3%였다는 거였습니다.

[팩트체크] '4억 주택 기준' 금리전환 대책, 수도권 역차별?[팩트체크] '4억 주택 기준' 금리전환 대책, 수도권 역차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