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재탕' 드라마에 요금까지 올리더니" 100만명 해지 속출, 넷플릭스 어쩌나

울트라맨8

Lv 116

22.07.20

view_cnt

706

“넷플릭스는 현재 가장 비싼 스트리밍 서비스 중 하나” (블룸버그) 급격한 요금 인상으로 비판 받던 넷플릭스가 결국 올해 들어 12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잃었다. 요금을 올리고도 콘텐츠의 질이 크게 좋아지지 않아서다. 최근에는 예전에 인기를 몰았던 오리지널 콘텐츠를 ‘재활용’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가격 경쟁력은 물론 콘텐츠 경쟁력도 잃어가고 있다. 19일(현지 시간) 넷플릭스가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2분기 유료 가입자수는 전분기 대비 97만명 감소한 2억 2070만명이다. 지난 1분기 20만명 가입자가 감소했던 것을 감안하면, 상반기 동안 120만명이나 감소한 셈이다. 특히 요금 인상 폭이 높았던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 감소세가 가팔랐다. 무려 130만명이 넷플릭스 이용을 해지했다. 북미 지역은 2020년 10월과 올해 1월 두 차례나 요금을 인상됐다. 미국 프리미엄 요금제는 19.99달러, 한화 약 2만 6000원 상당이다. 한국 프리미엄 요금제(1만 7000원)보다 1만원이나 비싸다. 게다가 북미 지역은 넷플릭스 외에도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 HBO맥스, 파라마운트+, 피콕(peacock) 등 OTT 간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다. 넷플릭스 외에도 ‘볼 거리’가 많다보니 비싼 넷플릭스부터 해지하는 이용자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로 큰 시장인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유료 가입자도 77만명 감소했다. 대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110만명이 증가해 감소분을 상쇄했다. 유일하게 요금이 인하된 인도가 포함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요금 인상 이유로 ‘콘텐츠 투자’를 들었음에도 새로운 메가 히트 IP는 나오지 않았다. 상반기 최고 인기작은 ‘기묘한 이야기 시즌4’다. 2016년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의 새로운 IP다. 올해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기대작 중 하나였던 ‘종이의집:공동경제구역’도 넷플릭스 스페인 오리지널 콘텐츠의 ‘리메이크’ 작품이다. 원작과 너무 비슷해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혹평을 받았다.
''재탕' 드라마에 요금까지 올리더니' 100만명 해지 속출, 넷플릭스 어쩌나

''재탕' 드라마에 요금까지 올리더니' 100만명 해지 속출, 넷플릭스 어쩌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전기차 차주 '충전 불편' 한목소리..충전 인프라 현황과 전망은

전기차를 모는 차주들은 입을 모아 '긴 충전 시간 때문에 불편하다'고 말한다. 자동차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해 하반기 전기차를 구입한 729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9%가 ‘충전은 귀찮지만 탁월한 경제성이 주는 만족이 크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전기차 충전 시간이 얼마나 걸리길래 차주들이 한목소리로 불편을 호소할까. 해법은 없을까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7.20
자유주제

민선 8기 청주시, 3대 현안 처리 고심 중

<앵커> 민선 8기 청주시장직인수위원회가 43일간의 활동을 마감했습니다. 그런데 원도심 고도제한과 신청사 건립 등 이른바 '3대 현안'을 다루는 TF 활동은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는데요. 단시간에 매듭짓기 어려운 문제라는 얘기입니다. 홍우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민선 8기 청주시장직 인수위원회가 소통과 공감, 변화와 혁신, 균형과 상생이란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7.20
자유주제

위기의 이탈리아 구하러 돌아온 '슈퍼 마리오' .. "정부 재건하자"

연립정부의 핵심 정당인 오성운동(M5S)와의 갈등으로 사임 의사를 밝혔던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가 20일(현지시간) 사임을 번복하고 잔류 의사를 밝혔다. 에너지 대란과 인플레이션 등으로 위기에 놓인 이탈리아의 연정 붕괴를 막겠다는 이유에서다. 드라기 “내각 재건해야 … 전폭적인 지지 달라” 이날 영국 BBC 등에 따르면 드라기 총리는 상원에서 가진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56
22.07.20
자유주제

라브로프 "러시아군 목표, 더이상 동부에 국한되지 않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의 목표가 더이상 동부 지역에 국한되지 않다고 밝혔다. AFP, 스푸트니크통신 등에 따르면 라브로프 장관은 서방의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이 러시아의 계산법을 바꾸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미국산 고기동다연장로켓(HIMARS) 같은 서방 무기가 우크라이나에 전달됐다며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56
22.07.20
자유주제

한국 '칩4' 참여할까 노골적 견제..속 타는 중국

<앵커> 중국은 방금 전해드린 미국 주도의 반도체 동맹을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반도체 산업을 핵심 전략 산업이자, 미중 패권 경쟁에서의 중요한 승부처로 여기는 만큼 위기감도 높은데, 특히 우리나라를 향해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지성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외교부 브리핑. 중국 기자가 '미국이 한국에 반도체 동맹 참여를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20
자유주제

함양량 늘었다?..전제부터 흔들린 통합물관리

제주자치도가 제주 지하수의 통합 관리를 위해 지난해부터 19억원이나 들인 대형 용역을 추진해 왔습니다. 제주형 통합 물관리 기본계획 용역인데, 그 기본안이 공개됐습니다. 지하수 관리의 가장 기본인 함양량의 경우, 이번 용역에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면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 지하수의 원천은 바로 빗물.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7.20
자유주제

국민질환 1위 당뇨 '고춧잎'으로 잡는다

◀앵커▶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당뇨는 한국인의 질병 부담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인데요, 농촌진흥청이 혈당을 억제하거나 떨어뜨리는 성분을 함유한 고춧잎 품종을 개발했는데 그 효과가 시판 약제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창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농촌진흥청이 개발 15년 만에 자신 있게 내놓은 잎 전용 고추 '원기 2호'입니다. 원기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45
22.07.20
자유주제

창녕군 "여름 휴가철 조용한 친환경 관광지 소개합니다"

경남 창녕군이 한여름 붐비는 여행지 대신, 조용하면서 친환경적인 지역 관광지를 20일 소개했다. 창녕군은 먼저 우포늪을 친환경 힐링 관광지 1순위로 꼽았다. 낙동강 수계에 속한 우포늪은 국내 최대 내륙습지다. 문화재청, 창녕군이 우리나라에서 멸종한 따오기를 복원해 방사할 정도로 자연환경이 좋다. 우포늪을 거닐며 바라보는 광활한 습지와 경관은 자연의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7.20
자유주제

6.5만명 전세대출 이자 32만원 경감..공공주택 100만+α 공급

서민·중산층 주거 안정을 위한 윤석열 정부의 청사진이 20일 공개됐다. 임대 주택 공급을 늘리고 청년 등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비 지원을 확충하는 게 핵심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8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업무 보고 당시 “민생 안정의 핵심인 주거 안정과 주거 복지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특히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상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7.20
자유주제

모처럼 기지개 켠 축제, 코로나 재확산에 발목 잡히나

<앵커> 본격적인 코로나19 재확산세에 각종 축제와 행사를 재개하려던 도내 시군들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줄줄이 예정된 축제와 행사 준비에 분주하던 지자체들은 또다시 취소 사태를 맞게 되는 건 아닌지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이윤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다음 주 충주 중앙탑 일원에서 개막하는 '충주호수축제' 충주를 대표하는 축제 가운데 하나지만

울트라맨8|22.07.2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9
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