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스타코리아, 부산서 ‘투 온 투어’ 진행…전기차 ‘폴스타 2’ 시승도 가능



폴스타코리아는 지난 14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약 한 달 동안 부산과 대구, 대전에서 ‘투 온 투어’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투 온 투어는 지난 3월 ‘EV 어워즈 2022 시상식’에서 ‘2022 대한민국 올해의 전기세단’을 수상한 ‘폴스타 2’의 매력과 가치를 더 많은 고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이벤트로, 복합단지와 쇼핑몰, 아웃렛, 전시회 등 잠재 고객이 있는 곳으로 찾아가는 형태로 운영된다. 지난 4월에는 서울과 경기도, 제주에서 약 100만 명의 고객들이 찾아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투 온 투어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대구 신세계백화점에서 진행했고, 부산은 23일부터 31일까지 수영구 민락동 복합문화공간 밀락더마켓에서 열린다. 밀락더마켓은 지난 15일 오픈한 곳으로 맛집, 카페, 쇼핑, 공연관람까지 한 공간에서 할 수 있어 광안리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 자유주제
JP모건 "전기차를 믿나요? 충전인프라에 투자해 보세요"
‘전기차산업에 투자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 투자해 보세요.’ 월가를 대표하는 투자은행인 JP모건이 전기차를 직접 생산하는 완성차나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만드는 2차전
GoFoward1
0
970
- 자유주제
전기차 끌고, 수소차 밀고' 신한카드, 미래차 특화카드 선점
신한카드는 ESG 경영 일환으로 친환경 미래차 시대에 맞춰 충전요금을 10% 할인 받을 수 있는 ‘수소차 충전할인 신한카드(이하 수소차 신한카드)’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먼저 수소차 충
GoFoward1
0
743
- 자유주제
전기차 시장 진출하는 IT 기업 샤오미..연간 30만대 생산한다!
지난해 3월 전기차 진출 선언과 함께 10년간 100억달러(한화 약 13조원)에 달하는 투자계획을 밝힌 샤오미가 전기차 법인인 샤오미 오토 컴퍼니(Xiaomi Auto Co. Ltd Company)
GoFoward1
0
738
- 자유주제
알아서 전기차 충전해주는 로봇 활성화되나..포드도 연구 가세!
포드는 20일(현지시간) 유튜브 등을 통해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전기차 충전 로봇을 공개했다. 스마트폰과 충전 로봇이 연동되면, 로봇이 직접 DC콤보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방식이다. 출처 :
GoFoward1
0
888
- 자유주제
테슬라, 2분기 호실적…비트코인 보유분 75% 팔아 현금화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올해 2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갔다. 하지만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비트코인(가상화폐)의 75%를 팔면서 현금화에 나서는 등 위기에 대응하는 분위기다. 테슬라는 올 2분
GoFoward1
0
1,176
- 자유주제
포드, 8천명 감원해 전기차 투자 늘릴 듯"
미국 포드 자동차가 향후 몇 주 안에 최대 8천 개의 일자리를 줄일 준비를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규모 감원은 내연기관차 사업 부문인 `포드 블루`를 비롯한
GoFoward1
0
739
- 자유주제
오늘의 운세, 7월 21일
오늘의 운세, 7월 21일 [음력 6월 23일] 일진: 을해(乙亥) 〈쥐띠〉 96, 84년생 백년해로할 부부의 인연을 맺을 수 있는 날이다. 72년생 그동안 저평가 되었던 것에 대한 새로운 인
vi1
1
743
- 자유주제
"패밀리SUV인데.." 현대차 팰리세이드, 시동꺼짐 결함 속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예정'
현대차 대형 SUV 신형 팰리세이드가 최근 시동 꺼짐 결함이 속출하면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M 투데이 최태인 기자] 현대자동차 플래그십 대형 SUV 신형 팰리세이드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
울트라맨80
1
985
- 자유주제
여수 어린이집 교사가 생후 20개월 원생 폭행…경찰 수사
전남 여수의 한 어린이집에서 보육 교사가 생후 20개월된 원생을 때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20일 전남 여수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여수시 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생후 20개
vi1
2
755
- 자유주제
'극적 타결' 7천억 손실 합의에 달렸다
대우조선해양 파업은 시간이 길어질수록 노사 간 접점을 찾기가 더욱 어려운 구조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손실 규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협상은 어디까지 왔는지 파업의 쟁점은 얼마나 좁혀졌는지 정
vi1
2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