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바라카, 원전보다 중요한 건 '무형자산'..성공 공식 만들어야"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51

탈원전 정책의 여파는 단순히 국내 전기요금 상승 압력을 키우고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의존도는 높이는 ‘표면적 영향’에 그치지 않았다. 원전 기자재·부품 생산 기업의 매출, 원전 설계부터 운전까지 전 과정의 능력을 갖춘 인력 등이 모두 쪼그라들며 산업 생태계에 속 깊은 ‘내면적 영향’을 남겼다. 원전업계는 정부가 원전의 수출 산업화를 국가적 과제로 삼은 만큼,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에서의 ‘무형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2일 UAE 바라카 인근의 도시 루와이스에서 만난 박상철 한국수력원자력 바라카 2발전소 시운전 운영부장은 “우리가 최초로 중동 지역에 한국형 원전 APR1400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모습을 전 세계 엔지니어가 함께 일하며 목격했다”며 “원전이라는 형체보다 무형의 기술력을 더 크게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박 부장은 바라카 원전에서 5년 2개월째 일하며 원전의 건설부터 운전 등 전 과정을 경험한 베테랑이다. 박 부장은 “팀 코리아는 한국 최초의 상업 원전인 고리 1호기부터의 노하우를 총망라해서 바라카에 왔다”며 “주요 공정 달성과 운전 단계에서도 팀 코리아의 역할이 크다”고 전했다. 바라카 원전의 1·2호기는 각각 지난해와 올해 상업운전을 시작해 UAE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고, 3호기는 지난달 연료를 장전하는 등 본격적인 가동 준비에 들어갔다. 4호기는 오는 2024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 바라카 원전 현장 인터뷰 현장에선 바라카에서의 경험이 단순히 한 번에 그치지 않고, 향후 원전 수출로의 ‘교두보’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겠다는 정부의 계획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현장의 시각이다. 현장 실무진이 전 세계 엔지니어와 맺은 관계 역시 한국의 큰 무형자산이다. 박 부장은 “바라카에 있어 본 직원은 새로운 해외 사업에 더 참여하고 싶은 욕심들을 갖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직원들 눈이 많이 높아졌는데, 해외 사업을 하면서 각국 엔지니어와 소통하다 보니 글로벌한 시선을 갖게 된 것”이라며 “10기를 수출하려면 대통령부터 현장 실무진까지 일종의 외교에 뛰어들어야 할 텐데, 글로벌 에티켓이 있는 이 직원들이 역군이 될 것”이라고 힘을 주었다.

'바라카, 원전보다 중요한 건 '무형자산'..성공 공식 만들어야''바라카, 원전보다 중요한 건 '무형자산'..성공 공식 만들어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