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스타벅스 증정품서 발암물질 검출' 주장..스벅 "사실 확인 중"

울트라맨8

Lv 116

22.07.22

view_cnt

952

스타벅스의 고객용 증정품 '서머 캐리백'에서 유해 화학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주장이 나와 스타벅스가 사실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스타벅스 측은 22일 연합뉴스에 "서머 캐리백에서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지적이 어제부터 들려와 제품 공급사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며 "이와 별도로 자체적으로 국가공인 시험기관에 검사를 의뢰해둔 상태"라고 밝혔다. 전날 한 직장인 익명커뮤니티에서 자신을 FITI시험연구원 직원이라고 밝힌 이용자는 "(서머 캐리백에 대한) 시험을 했고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고 주장했다. FITI시험연구원(옛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은 섬유 패션·소비재·산업·환경·바이오 분야 종합시험인증기관이다. 폼알데하이드는 자극적인 냄새와 독성을 가진 물질로, 각종 건설 자재에서 발생해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폼알데하이드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서머 캐리백 같은 가방은 의류나 침구류와는 달리 직접 착용하지 않는 기타 제품류로 분류돼 폼알데하이드 관련 안전기준 준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법적으로는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면서도 "이번 일로 고객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본사 차원에서 구체적인 사실 관계와 원인을 파악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익명 커뮤니티에서는 폼알데하이드 성분이 일부 서머 캐리백 제품에서 난 악취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서머 캐리백에서 오징어 냄새 같은 게 난다는 민원이 잇따라 제기됐다. 당시 스타벅스 측은 일부 제품을 제작할 때 원단의 인쇄 염료가 충분히 휘발되지 않아 냄새가 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염료는 인체에 무해하고 냄새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덧붙였다.
'스타벅스 증정품서 발암물질 검출' 주장..스벅 '사실 확인 중'

'스타벅스 증정품서 발암물질 검출' 주장..스벅 '사실 확인 중'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전국 비 예보에..평소 주말보다 교통량 감소

전국적인 비 예보에 이번 주말 고속도로 교통량은 평소 주말보다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2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7월 네 번째 주말 전국 교통량은 토요일(23일) 508만대, 일요일(24일) 430만대로 예상된다. 최근 4주 주말 동안 토요일 교통량은 511만대, 일요일은 438만대였다. 이에 비해 이번 주말 예상 교통량은 적은 편이다. 이번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7.22
자유주제

"확진자 규모 4주 전의 약 9.5배"..다음 주 하루 10만명 돌파 가능성↑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규모가 4주 전에 비해 약 9.5배 증가하는 등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현재 속도대로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경우 7월 마지막 주 확진자 수는 10만명을 훌쩍 뛰어넘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재원 중인 중환자 수도 연이틀 100명대를 기록하면서 의료대응 역량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다만 정부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4
22.07.22
자유주제

주금공 전세대출 늘려 이자 경감?.. "득실 잘 따져봐야"

이르면 10월부터 주택금융공사(주금공)의 전세대출보증이 확대돼 현재 2억 2200만원까지만 되는 전세대출이 4억 4400만원으로 늘어난다. 주금공, 주택도시보증공사(HUG), SGI서울보증 등 3곳의 보증으로 받는 전세대출액이 거의 비슷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4일 발표한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를 보면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3
22.07.22
자유주제

"동학개미야 우냐?" 국민연금도 운다

"국민연금이 올해 (운용수익) 흑자를 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하반기에 주식시장이 반등하겠지만 연말에 다시 상황이 좋지 않게 흘러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3년간 국민연금의 연평균 수익률은 10% 안팎이었습니다. 반면 장기 평균 수익률은 6%대죠. 향후 3년간은 수익률이 0%에 수렴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에게 올해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7.22
자유주제

위기를 기회로 여는 열쇠 '지식재산정보 활용'

최근 세계은행은 경기는 침체되고 물가는 지속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상당이 높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되면 원자재·에너지 등에 대한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을 수밖에 없다. 원자재 외의 다른 생산원가들을 낮추거나, 생산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절감 등의 투입비용을 낮추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2
22.07.22
자유주제

스리랑카 군경, 대통령실 앞 반정부 시위대 강제해산

스리랑카 군경이 22일(현지시간) 대통령실 앞에서 반정부 시위대를 강제로 해산했다고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군경은 이날 어두운 새벽 수도 콜롬보 대통령실 앞에 진을 친 시위대를 급습해 텐트를 모두 부수고 시위대를 내쫓았다. 이날 대통령실 앞에서 시위대 자진 철수가 예고됐는데도 군경은 이보다 몇시간 앞서 장비를 동원해 시위대를 덮쳤다. 군경은 수백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1
22.07.22
자유주제

트럼프 때와는 다르다..'코로나 양성' 바이든, 중증화 가능성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79세 나이로 미국 역사상 최고령 대통령인 바이든은 고위험군에 속하지만, 백신을 4차례 접종한 이력이 있어 중증화할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백악관은 21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항원검서에서 양성이 나와 유전자증폭검사(PCR)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9
22.07.22
자유주제

美압류 푸틴 측근 호화 요트서 보석 '파베르제 달걀' 발견

미국 정부가 압류했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 재벌이 소유한 호화 요트에서 과거 러시아 황실에 납품됐던 보석 '파베르제 달걀(Faberge egg)'로 추정되는 보석을 발견했다고 가디언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사 모나코 미국 법무부 차관은 전날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애스펀연구소 주최 안보포럼에서 "미국 당국이 압류한 올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9
22.07.22
자유주제

바이든 만났던 사우디 왕세자, 이번엔 푸틴과 통화

지난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면담했던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이번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접촉했다. 로이터·악시오스에 따르면 러시아 크렘린궁은 21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가 전화통화를 하고, 양국 우호관계와 석유시장, 무역·경제관계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과 빈살만 왕세자는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28
22.07.22
자유주제

흑해 항로 열린다..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될 듯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 등 4자가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의 수출을 재개하는 방안에 합의해 서명을 앞두고 있다고 튀르키예가 밝혔다. 메블레트 카부소글루 튀르키예 외교부장관은 21일(현지시각)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내일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대표단, 그리고 유엔 사무총장과 함께 현재 식량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울트라맨8|22.07.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