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새 아파트 따라가면 부자 된다고?..부의 흐름 미리 읽는 법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4

전국 어느지역이나 '새집'을 선호한다. 특히 지방에선 새 집을 찾는 수요가 더 많다. 오래된 아파트가 많아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방 입주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 비율은 올해 기준 51.56%로 집계됐다. 600만 4946가구 가운데 309만6113가구가 입주 20년을 넘긴 것이다. 이 비율 상승폭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2018년(47.93%)부터 2019년(48.43%)까지 0.5% 상승했던 노후비율은 △2020년 0.55%(48.43% → 48.97%) △2021년 1.18%(48.97% → 50.15%) △2022년 1.41%(50.15% → 51.56%)를 기록했다. 새 집이 거주자 삶과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동산서베이 이영래 대표와 이야기를 나눠봤다. ▶이송렬 기자 실수요자들이 새집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이영래 대표 새집에 살고 싶은 욕구는 누구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삶의 질이 개선되죠. 좁은 곳보다는 넓은 곳에, 더러운 곳보다는 깨끗한 곳이,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황량한 곳보단 마트 등 편의시설이 밀집한 곳에 거주하면 행복하지 않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새 아파트를 찾는다고 생각합니다. ▶이송렬 기자 새집에 따른 지역 변화는 지방에서도 나타난다면서요? ▷이영래 대표 네 그렇습니다. 과거에는 부산 동래구가 부산을 대표하는 대장 지역이었는데요. 역사적으로나 전통적으로 ‘부산=동래’라는 인식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해운대구에 ‘해운대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센텀시티’ ‘마린시티’ 등이 조성됐고 대장 지역이 바뀌게 됐죠. ▶이송렬 기자 창원 부동산 시장도 관심을 받는 것 같아요. ▷이영래 대표 창원 부동산 시장. 최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는 등 요즘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의창구는 최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됐습니다. 의창구가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된 이유는 미분양 때문이라는 얘기가 많습니다. 북면 무동리에 들어선 모 단지 500가구 중에 80% 이상이 미분양이 나왔고, 아직 해소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정부나 창원시는 이 부분을 주목한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미분양이 계속되니까 의창구 집값도 크게 뛰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논리가 작용한 것 같아요.

새 아파트 따라가면 부자 된다고?..부의 흐름 미리 읽는 법[집앤톡]새 아파트 따라가면 부자 된다고?..부의 흐름 미리 읽는 법[집앤톡]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