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울트라맨8

Lv 116

22.07.25

view_cnt

886

■ ‘달리2 ’ 상업적 활용 가능 < 엠아이티 (MIT) 테크놀로지리뷰 > 가 지난 20 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 지난 4 월 이후 초청사용자 약 10 만명이 쓰고 있는 달리 2 는 곧 유료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인데 대기자만 100 만명이 넘는다 . 오픈에이아이는 “ 이용자들의 달리 2 에 대한 관심이 거대언어모델 (GPT-3) 때보다 훨씬 높다 ” 고 밝혔다 . 유료 서비스를 선택하면 달리 2 를 활용해 만든 이미지를 어린이 책의 삽화 , 게임과 영화를 위한 컨셉 아트 , 마케팅 홍보물 제작 등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현재 베타서비스 단계에서 제시된 달리 2 의 월 이용료는 15 달러로 , 115 회 사용권을 준다 . 사용권 하나를 써서 문자나 이미지를 입력하면 달리2는 한 번에 4 개의 이미지를 창작해 제공한다. 4 개 이미지를 모두 쓸 수 있지만 가장 만족스러운 이미지 하나를 선택하고 버리는 게 일반적이다 . 달리 2 같은 인공지능 도구는 예술창작 영역에서도 인간을 위협할 것인가 ? ■ 예술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픈에이아이는 지난 4 월 달리 2 서비스를 발표할 때 위험도 안내했다 . “ 달리 2 서비스가 사진 편집 ,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같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디자이너 · 사진작가 · 모델 · 편집자 ·예술가의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 ” 는 ‘ 경고 ’ 였다 . 인공지능이 문장과 이미지를 사람처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변환하는 기술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 웜보 (Wombo), 미드저니 (Midjourney), 크레용 (Craiyon) 등도 문장을 이미지로 변환시켜주는 인공지능 기반 창작 도구다 . 구글은 2019 년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에 자동으로 자막을 달아주는 ‘ 라이브캡션 ’ 기능을 선보였으며 , 마이크로소프트는 2021 년 사진설명 자동입력 서비스의 정확도를 사람 수준으로 높여 시각장애인용 앱과 워드 · 파워포인트 등 오피스 도구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지 < 와이어드 > 는 지난 13 일 이러한 인공지능 도구들이 인간의 예술 활동을 저해하거나 쓸모없게 하기보다 오히려 개선하고 있다는 이용자들의 사례를 보도했다 . 조각과 설치예술을 하는 벤자민 본 웡은 “ 달리 2 는 나처럼 그림을 그릴 수 없는 사람이 개념을 스케치할 필요 없이 빠르게 문장으로 이미지를 만들어볼 수 있게 해준다 ” 고 < 와이어드 > 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 지난 4 월 테드 컨퍼런스에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디자이너 아자 라스킨은 “ 이제 머릿속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상상하면 바로 그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됐다 ” 며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이 창의성을 폭발시키고 인류의 시각적 환경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탄소제로] 현대차그룹, 전기차 시대 ‘퍼스트 무버’ 등극

전기차 시대의 ‘퍼스트 무버(First Mover)’를 앞세운 현대자동차가 승용은 물론 고성능 모델과 상용차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한다. 단순한 파생모델로서 전기차가 아닌, 전체 라인업을 전동화하고 체제 전환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난 14일 부산모터쇼를 통해 아이오닉 6을 공개했다. 아이오닉 5에 이어 현대차 전기차 전용 브랜드 아이오닉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7.25
자유주제

기후위기 속 대안적 삶이 있다

오늘의 기후위기는 머잖은 미래에 인류가 대면하게 될 극심한 환경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자연과 공존하는 미래를 위해 우리 삶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화석 에너지로부터 벗어난 문명과 삶의 양식은 어떤 모습일까? 한겨레통일문화재단과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은 6월24일부터 3주 동안 매주 이틀씩 구례에 있는 국립공원 지리산생태탐방원에서 한겨레느린삶학교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25
자유주제

페북 개인정보 동의 갑질 논란, 발단은 韓정부 '깨알 지침'

요즘 한국에서 가장 욕을 많이 먹는 외국계 기업을 꼽으라면 단연 '메타'일 것입니다. 이 회사는 최근 한국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이용자들에게 "업데이트에 동의해야 계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엄포성 개인정보 동의 문구로 지탄을 받고 있습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한국 이용자를 우롱하는 개인정보 갑질'이라고 맹비난을 하는 가운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시 메타의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9
22.07.25
자유주제

제네시스, 유럽 시장서 먹힐까

현대자동차의 고급화 전략 선봉장 제네시스가 프리미엄 완성차 브랜드 본고장인 유럽 시장 공략에 성공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3% 줄어든 97만6350대의 차를 판매했다. 그럼에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7% 늘고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58% 급증한 실적을 거뒀다. 이는 고부가 차종인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25
자유주제

1500원 인상’ 전기료 둘러싼 논쟁에서 빠진 것

‘1500원 인상’ 전기료 둘러싼 논쟁에서 빠진 것 오른 전기요금을 두고 탈원전 정책·한전 직원 연봉·민영화 등으로 논의가 불붙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논쟁에서 빠진 단어가 ‘공공성’이다. 전기의 공공성이란 무엇인가를 토론해야 한다. 7월부터 전기요금이 올랐다. 전기요금은 전력량요금, 기후환경요금 등 여러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오른 것은 연료비조정요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25
자유주제

깻잎 AI기술 개발..아마존과 손잡고 농업혁신

[앵커] 깻잎으로 유명한 충남 금산에서는 깻잎을 인공지능으로 재배하는 기술 개발이 한창입니다. 여기에는 세계적인 유통 기업, 아마존이 참여하고 있는데요. 어떤 기술인지, 서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깻잎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하우스 위쪽의 카메라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며 깻잎을 촬영합니다. 깻잎마다 고유 ID를 부여해 성장 속도를 2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7.25
자유주제

인류의 조상이 온혈동물 된 시기, 알고보니..

척추동물 중 외부 기온 변화에 체온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혈(정온)동물은 조류와 포유류뿐이다. 고생물학 분야에서 ‘포유류가 언제 온혈동물로 진화했는가’는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포르투갈, 프랑스, 영국, 독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아르헨티나 7개국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화석 분석과 시뮬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25
22.07.25
자유주제

분기 실적 신기록 쓴 기아, 하반기 EV6·스포티지 판매 늘린다

기아가 올해 2분기 실적 신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기아는 남은 하반기 차량용 반도체로 대표되는 부품난 속에서도 높은 대기 수요를 빠르게 해소하고, 스포티지·EV6 등 핵심 모델의 글로벌 판매를 본격화해 호실적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25일 기아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21조8760억원, 영업이익 2조2341억원을 기록했다.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17
22.07.25
자유주제

환경 파괴 논란 '태양광' 이제는 도심 빌딩에 설치한다

태양광 발전의 가장 큰 논란은 야산이나 농지 등을 훼손해 설치하기 때문에 빚어지는 환경 파괴입니다. 물론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과 사용하는 지역이 멀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도 문제입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국내 연구진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소재를 개발해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 태양전지연구센터와 뉴욕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7
22.07.25
자유주제

'칩4' 거세지는 美中고래싸움.. 韓반도체 한파 재촉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위기감이 반도체 산업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사이의 패권 경쟁까지 거세지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메모리반도체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한국 기업들은 미국 투자 속도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 사업 비중이 높아 셈법이 더욱 복잡하다. 24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은 최근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