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물가·임금 1년 시차두고 영향.."기대인플레 못잡으면 90년대 악몽 재현할 수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4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6%대로 높아진 가운데 임금과 물가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화되면서 최악의 경우 1990년대 못지 않은 높은 물가 상황이 고착화될 수 있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 1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지난달 3.9%로 10년 2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만큼 적극적인 통화정책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제언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이 25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우리나라의 물가·임금 관계 점검’에 따르면물가와 임금 상승은 1년 정도 가량 시간 차이를 두고 상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도의 물가상승률이 바로 다음 해의 임금상승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임금 상승은 인건비 비중이 높은 개인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튼 폭 반영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00~2021년 동안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임금(5인 이상 상용직 정액급여)에 미치는 영향을 시차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1년 뒤의 상관계수가 0.62를 기록하며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임금과 물가의 상관관계 역시 1년 간의 시차를 두고 가장 큰 관계성을 보였는데, 임금 인상이 있은 이후 1년이 지난 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와의 상관계수는 0.75로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총지수로 보면 0.5에 가까운 모습이다. 김정성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개인서비스의 임금과 물가간 상관관계가 더 높은 이유는 인건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 비해 개인서비스업의 임금과 물가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제조업은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10%대인 반면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업, 여가서비스업 등 개인서비스업종의 인건비 비중은 20~30%대로 높기 때문이다. 한은의 자체 시산 결과 업종별 임금상승률이 관련 물가 품목 상승률의 시차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음식숙박업과 교육서비스업은 임금 인상이 거의 시차 없이 반영되 해당 분기에 각각 0.41, 0.61로 나타났고, 여가서비스업은 5분기 이후 상관계수가 0.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의 경우 임금 인상 이후 8분기가 지나도 0.19에 그치며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제로 시차상관분석에서 임금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던 개인서비스물가를 이용하여 분석해보면, 임금상승률이 1%포인트 높아지면 개인서비스 물가는 4~6분기 이후 0.2%포인트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업제품 가격은 임금 충격에 대해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제조업의 낮은 인건비 비중, 글로벌화에 따른 경쟁심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물가·임금 1년 시차두고 영향..'기대인플레 못잡으면 90년대 악몽 재현할 수도'물가·임금 1년 시차두고 영향..'기대인플레 못잡으면 90년대 악몽 재현할 수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