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 구소련국 '푸틴에 거리두기'"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021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우방인 카자흐스탄을 비롯해 이 지역 국가들이 러시아와 점점 더 거리를 두려 하고 있으며, 이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는 '예기치 않은 도전'이 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올 1월 카자흐스탄에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자 러시아는 옛 소련 국가들의 안보협의체인 집단안보조약기구(CSTO)의 틀을 빌려 현지에 공수부대 등 2천여명의 러시아군을 파견, 카자흐 정부가 시위를 진압하고 안정을 찾도록 도움을 줬다. 이로부터 6주 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전격 침공했고, 카자흐는 러시아에 보은할 기회를 얻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카자흐는 옛 소련의 일원이던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처럼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립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현재 옛 소련 국가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면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나라는 벨라루스가 유일하다. 카자흐는 러시아를 우회해 유럽으로 자국산 원유 수출을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오히려 유럽의 대러 제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방 예산을 늘리고, 미국 정부의 대표단을 자국에 불러들이는가 하면, 서방 제재로 러시아와의 교역이 축소되자 터키, 중국 등 대체 국가들로 눈을 돌리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와 분명히 선을 긋고 있는 모습이다. 소련이 해체된 이후 수십년 동안 러시아는 옛 소련 국가들과 군사적·경제적 연합을 통해 중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려 노력해왔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와 문화적,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지역이다.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 구소련국 '푸틴에 거리두기'''카자흐스탄 등 중앙아 구소련국 '푸틴에 거리두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