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르노코리아·한국GM도 파업 조짐 완성차 업계 노사갈등 심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9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을 마무리지었지만 다른 완성차 업계는 갈등 양상이 더욱 심화되는 형국이다. 특히 르노코리아와 한국GM 노동조합은 파업을 진행하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어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두 회사는 임금 외적인 부분에서 노사가 대립하고 있어 쉽게 결론이 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부산지방노동위원회는 르노코리아 노조가 제기한 조정 신청에 대한 1차 조정회의에 나섰다. 노사의 입장차가 워낙 큰 터라 이르면 내일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점쳐진다. 르노코리아 노조는 지난 13~1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전체조합원 1852명중 1653명(80.6%)이 찬성해 가결시켰다. 중노위가 교섭 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얻게 된다. 노조는 기본급 9만7472원 인상, 일시금 500만원 지급, 정규직 채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쟁점은 임금 외적인 문제인 ‘다년 합의’다. 회사측은 임단협 주기를 매년이 아닌 다년 협상으로 바꾸자고 요구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3년간 매년 기본급 6만원 인상과 성과급 지급안을 제시한 상태다. 반면 노조는 매년 임단협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종규 르노코리아 노조 위원장은 호소문을 통해 "회사는 노동조합이 행사할 수 있는 노동3권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라며 "노동조합이 무력화 된 시점에서 우리 고용의 문제와 충분히 의심되는 다른 회사로 인수 또는 매각될 경우, 단체행동권이 없을 때 고용 승계 부분에서 노동조합과 우리는 우리의 일자리를 지켜낼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한국GM 노조는 월 기본급 14만2300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성과금(약 1694만원) 지급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GM 역시 임협의 내용 보다는 다른곳에서 노사간의 의견이 더 크게 대립 중이다. 한국GM은 올해 말 부평 2공장을 폐쇄할 예정이다. 노조는 공장 재개와 노동자 안정을 위해 전기차 관련 투자 및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사측이 경영 정상화를 위해 추가적인 투자는 없다며 강경한 모습을 보이면서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태다.

르노코리아·한국GM도 파업 조짐 완성차 업계 노사갈등 심화르노코리아·한국GM도 파업 조짐 완성차 업계 노사갈등 심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