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대우조선 하청 '파업 트라우마'..원청 직원이 "하퀴벌레"라 부르고 '린치'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22

지난 22일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의 51일 파업과 31일 점거농성이 끝났다. 원·하청 사쪽의 고압적인 협상 태도에 정부의 ‘공권력 투입’ 압박까지 더해져 긴장감이 한껏 고조된 파업 현장이었지만, 정작 민주노총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조선하청지회) 조합원들은 그보다 원청 노동자들의 ‘폭력’에 더 큰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24일 ‘대우조선해양을 지키는 모임’이라는 ‘오픈 채팅방’에 파업 기간에 올라왔던 글들을 보면, 일부 원청 정규직 노동자들은 하청노동자들을 ‘하퀴벌레’(하청+바퀴벌레)라 부르며 맹비난했다. 조선하청지회의 파업으로 일부 공정의 생산이 중단되고, 그만큼 연장·휴일근로를 할 수 없게 돼 임금 손실 등이 발생하자 이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이다. 대우조선 생산직으로는 4800여명의 원청 정규직 노동자와 1만1천여명의 하청노동자가 일한다. 지난달 2일부터 조선하청지회는 조합원들이 근무하는 공정을 중심으로 일손을 놓기 시작했다. 조선소 내부에 거점 8곳을 정해, 하청노동자들에게 함께 일손을 놓자고 호소했다. 하청업체들은 이를 “작업방해”라고 주장하지만, 조선하청지회는 목적·수단·절차가 적법한 쟁의행위라고 맞받는다. 일부 공정이 멈추고, 지난달 22일부터 제 1도크(배 만드는 작업장)에서 ‘끝장 농성’이 시작되자, 정규직 직·반장 등 중간관리자로 구성된 ‘현장 직반장 책임자 연합회’나 ‘민주노동자협의회’ 등을 중심으로 ‘린치’가 시작됐다. 이들은 지난 8일 조선하청지회가 농성 중인 천막을 찾아와 커터칼로 찢고 부수거나, 농성 물품 등을 내다 버렸다. 얼린 생수병을 하청노동자에게 던지거나, 농성 중인 도크로 자전거를 집어 던지려 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하청노동자들이 다쳤다. 28년 차 하청업체 도장공 이아무개(51)씨는 “일부 직영(정규직 노동자) 100여명이 농성 천막에 찾아와 욕설하고 물리적으로 위협했다. 도장공 중엔 연세가 많은 여성노동자도 있는데 예외가 없었다”며 “거점에서 계속 밀리다 보니 건조 중인 배를 잡자(점거하자)는 방안을 생각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27년 차 하청업체 곡직(선체 부재를 치수대로 구부리는 작업)공인 김기성(52)씨는 “특히 현장책임자연대가 침탈을 너무 많이 해서 농성 천막을 두 번 세 번 또 짓고 그랬다”며 “사람을 질질 끌어내고 그래서 허리 쪽 뼈 두 군데가 골절된 여성 동지도 있다”고 말했다. 일부 대우조선 정규직 노동자들은 앞장서서 농성 현장에 ‘공권력을 투입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0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옥포조선소의 도크 점거 현장을 방문했을 때, 정규직 노동자들은 ‘(경찰)청장 방문이 아니라 경찰을 투입하라’ ‘불법파업, 우리 자녀들에게 부끄러운 행동입니다’ 등 피켓 시위를 하기도 했다. 원청 노조가 지난 21일 끝내 금속노조 탈퇴안(산별노조 탈퇴, 기업별 노조 전환)을 총회 찬반 투표에 부치고 양쪽의 갈등으로 다음 달 8일 법원 결정 때까지 개표가 중단된 것도 이런 현장의 갈등이 응축된 결과다.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원청지회) 관계자는 “하청 노동자 파업에 부정적인 일부 원청 노동자들이 익명 카카오톡방을 열어 원색적인 비난을 하거나 현수막을 찢는 등의 행위가 있었다”며 “주로 생산 책임이 있는 현장관리자들이 맞불집회 등에 동원돼 그런 분위기를 조성했던 것으로 알고 있고 원청지회는 처음부터 노노 갈등은 안 된다는 입장을 조합원들에게 설명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 하청 '파업 트라우마'..원청 직원이 '하퀴벌레'라 부르고 '린치'대우조선 하청 '파업 트라우마'..원청 직원이 '하퀴벌레'라 부르고 '린치'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