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피지 정부, '은혜로교회' 비호 의혹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672

2014년 12월 한겨울, 당시 21살이던 이서연 씨는 엄마를 따라 피지로 갔다. 피지는 한여름이었다. 은혜로교회 신도들이 막 피지로 집단 이주를 시작했을 때다. 서연 씨의 어머니는 은혜로교회 신도였다. 그때만 해도 서연 씨는 은혜로교회의 존재 자체를 몰랐다. 그저 어머니가 건강 문제로 피지에 정착하려는 줄 알았다. 서연 씨는 어머니의 피지 정착만 돕고 한국에 돌아올 계획으로 2주 후 귀국하는 왕복 비행기 티켓을 예매해 피지로 갔다. 피지 공항에 도착하자 낯선 사람들이 공항에 모녀를 마중나와 있었다. 어머니는 서연 씨에게 한 번도 피지 여행에 다른 누군가가, 특히 이단 교회가 관련돼 있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없었다. 어머니는 마중나온 사람들에게 자신과 서연 씨의 여권까지 건넸다. 2주가 지나 출국날이 다가왔을 때, 서연 씨가 귀국하려고 하자 어머니는 여권을 버렸고 한국행 귀국표도 취소됐다고 말했다. 서연 씨는 한국으로 도망쳐야겠다고 결심했다. 크리스마스 기부 모금 활동을 하고 있던 현지 경찰의 전동차를 얻어타고 근처 파출소를 거쳐 거기서 가장 가까운 나부아 경찰서로 갔다. 은혜로교회 사람들도 도망치는 서연 씨를 잡기 위해 경찰서까지 쫓아왔다. 서연 씨는 피지 주재 한국대사관에 연락했고, 피지 경찰의 도움을 받아 대사관까지 이동했다. 은혜로교회 사람들은 대사관까지 서연 씨를 쫓아왔다. 우여곡절 끝에 서연 씨는 다음날 귀국편 비행기에 탈 수 있었다. 한국 대사관 직원은 몸만 간신히 도망쳐 나온 서연 씨에게 한국 공항에 도착하면 택시를 타라고 10만 원을 줬다. 여름 옷을 입고 도망친 서연 씨에게 12월의 한국 날씨는 너무 추웠다. 이후 서연 씨는 친구들에게 간신히 연락해 택시를 타고 공항을 빠져나왔다. 서연 씨는 뉴스타파·OCCRP 취재팀과 인터뷰에서 이 날을 회상하며 “살면서 이렇게 비참했던 적이 없었다”라고 말했다. 정모 씨(61) 역시 힘들게 피지를 탈출했다. 2016년, 아내와 함께 피지에 간 정 씨는 얼마 되지 않아 한국에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느 날 신옥주 목사가 정 씨에게 한국에 가고 싶은지를 물었고, 정 씨는 그렇다고 했다. 그러나 귀국 허용은커녕 심한 폭행이 돌아왔다. 신 목사는 공개 예배 시간에 정 씨를 불러 세웠다. 은혜로교회 간부 나모 씨가 정 씨의 얼굴을 때리기 시작했다. 2018년 신옥주 사건 관련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나 씨는 뒷걸음치는 정 씨를 쫓아가며 20~30회 폭행했다. 이후 정 씨가 달아날 것을 우려해 은혜로교회는 그의 거주지를 옮기고 매일 밤 다른 교인들 한가운데서 잠을 자게 하면서 감시했다. 이후 정 씨는 겨우 피지 주재 한국대사관에 접촉해 한국으로 도망쳐 나올 수 있었다.
[피지에 '왕국' 세운 이단교회]② 피지 정부, '은혜로교회' 비호 의혹

[피지에 '왕국' 세운 이단교회]② 피지 정부, '은혜로교회' 비호 의혹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천자 칼럼] 머스크의 이중성

‘괴짜 천재’로 통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처럼 불확실한 꿈을 현실로 바꿔놓은 경영자도 드물다. 장난감이라고 조롱받던 전기차를 미래 모빌리티 시대의 주역으로 바꾼 ‘혁신의 아이콘’, 수십억달러를 아낌없이 쏟아부으며 로켓을 쏘아 올린 ‘우주 돈키호테’ 등 그를 수식하는 별명은 업적만큼이나 다채롭다. 전기차(테슬라), 민간 우주기업(스페이스X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7
22.07.26
자유주제

'중복'에 서울 한낮 33도 무더위..자외선 지수 '매우 높음'

'중복'인 26일 서울과 대구 낮 최고기온이 각각 33도와 34도에 이르는 등 무더위가 이어지겠다. 이날 아침 기온은 전국적으로 24도 내외로 전날과 비슷했다. 주요 도시 오전 8시 기온은 서울 26.6도, 인천 26.3도, 대전 26.5도, 광주 25.4도, 대구 24.5도, 울산 23.6도, 부산 24.9도다. 낮 최고기온은 27~34도일 것으로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7.26
자유주제

[투데이 窓]일론 머스크의 'ESG 사기론'에 대하여

기업에 여성 임원 비율이나 사회적 약자 채용이 ESG와 무슨 관계가 있나요"라고 ESG 전문가에게 물었다. ESG라는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에 있어서 기업이 여성이나 인종,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고용돼야 한다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해 물어본 것이다. 배려인지, 아니면 의무인지 알고 싶었다. 그러나 돌아온 대답은 뜻밖이었다. "ESG를 잘 수행하는 기업이 성적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7.26
자유주제

납품 기다릴 바엔… 현대차도 폴크스바겐도 ‘반도체 독립’

유럽 최대 완성차 업체 폴크스바겐은 지난 21일 유럽 반도체 업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함께 차량용 반도체를 직접 설계·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차량 내 전자장비를 제어하는 반도체(MCU)로 주로 차세대 전기차에 공급할 계획이다. 생산은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회사 TSMC가 맡는다. 폴크스바겐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TSMC와 함께 견고한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5
22.07.26
자유주제

AI도 우주항공도 방산도… 中, 한국 미래 먹거리 7개중 5개 추월

우주항공, 인공지능(AI), 바이오, 에너지, 방산 등 한국이 ‘미래 먹거리’로 꼽는 핵심 산업의 기술 경쟁력이 중국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국가의 새 성장 동력으로 삼은 미래 기술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을 추월한 것은 물론, 격차를 더 벌려 나가고 있는 것이다.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6
22.07.26
자유주제

中자율주행차, 美와 성능 맞먹는데 가격 절반… AI특허는 세계 1위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반도체 공장을 늘리고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24일(현지 시각)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를 인용, 중국이 2024년까지 반도체 공장을 31곳 건설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대만(19곳)과 미국(12곳)의 신설 계획을 크게 앞서는 규모다.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3
22.07.26
자유주제

韓, 폐전지 표준화 제정 ‘게걸음’

중국,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사용후전지 표준화를 이미 제정했거나 제정하는데 속도를 내는 반면 한국은 뒤늦게 정부가 나서면서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차 폐배터리 등의 재사용 여부나 안정성, 금속 물질 분리 등에 대한 근거가 없어 이를 처리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후전지 재활용 산업의 성장 속도도 더딜 수 밖에 없어서다. 25일 관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39
22.07.26
자유주제

[미래토크] 디지털 전환과 그린딜의 연계

해가 갈수록 기후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의 급격한 진행은 탈화석연료 경제로의 급격한 이행을 의미한다. 지나치게 낙관적인 RE100(Renewable Energy 100·재생에너지 100%), 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경제침체 등은 탈화석연료 경제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어렵게 할 것이다. 안타깝게도 탈화석연료 경제는 경착륙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7.26
자유주제

루시드 4.7% 하락하는 등 美전기차주 일제↓(종합)

25일(현지시간) 월가에서 기술주 매도세가 다시 나옴에 따라 테슬라 등 미국의 전기차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루시드가 4.78% 하락, 낙폭이 가장 컸고, 테슬라는 1.4% 하락했다. 이날 미국 증시는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와 S&P500은 각각 0.28%, 0.13% 상승한데 비해 나스닥은 0.43% 하락했다. 이에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8
22.07.26
자유주제

전기차 시대 일자리가 사라진다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전환에 맞춰 인력 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차에 비해 부품 수가 적고 공정이 단순해 생산인력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또 자동차가 거대한 전자기기로 변화되면서 연구개발(R&D) 및 소프트웨어 분야 엔지니어 수요는 폭증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생산인력 조정과 일자리 전환 배치 등으로 미래차 전환에 대비하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