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투룸 늘리고 발코니 설치..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규제 푼다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883

정부가 1인가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아파트 수준의 주거 쾌적성을 누릴 수 있도록 투룸 세대 비중을 늘리고 발코니 설치를 허용하는 등 거주공간을 확대하는 안이 유력하다. 이같은 내용은 내달 발표하는 '250만호+α 주택공급대책'에 포함될 예정이다. 25일 국토교통부·주택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증가하는 1인가구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이 제공되도록 도시형생활주택에 적용되는 규제를 완화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09년 5월 도입된 주거형태다. 현재 국내 거주하는 1인가구수는 664만3354가구(2020년 기준)에 달한다. 2016년부터 4년 간 539만8000가구→561만9000가구→584만9000가구→614만8000가구→664만3000가구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다.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도 2016년 27.9%에서 2020년 31.7%로 늘었다. 열 집 중 세 집은 1인가구인 셈이다. 그간 주거시장에서는 '1인가구=원룸'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1인 가구 증가세와 함께 코로나19 사태로 주거공간 내 활동 시간이 크게 늘고 주거 쾌적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원룸보다는 투룸, 소형보다는 중소형 등 보다 양질의 주거시설을 원하는 1인가구도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도 이런 수요를 감안해 지난해 9월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의 허용면적을 종전 전용 50㎡ 이하에서 전용 60㎡ 이하로 확대하고 전체 가구수의 3분의 1은 기존의 원룸(침실1+거실1) 구조가 아닌 투룸 이상(최대 침실3+거실1 등)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완화했다. 정부가 이번에 검토하는 완화안은 여기에 추가로, 투룸 이상 가구의 비중을 종전 3분의 1에서 더 늘리는 내용이다. 도시형생활주택은 건축규제 등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부지 확보가 어려운 도심에 공급이 가능한 만큼, 2~3인 가구 등 도심 중소형 주택 수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심 물량 확보를 위해 기존 300세대 미만으로 제한된 세대수 규제 완화도 고려하고 있다. 도시형생활주택과 함께 1인가구 주거 대안으로 꼽히는 주거용 오피스텔에 대한 규제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오피스텔에도 발코니 설치를 허용해주는 게 대표적이다. 오피스텔은 발코니 설치가 불가능한 탓에 발코니 설치·확장이 가능한 동일면적의 아파트와 비교하면 실사용면적이 훨씬 좁다는 게 한계로 지적돼왔다. 통상 오피스텔 전용 84㎡의 실사용면적은 아파트 전용 59㎡와 유사하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9월에도 바닥난방 설치가 가능한 면적 기준을 전용 85㎡에서 전용 120㎡로 확대하는 등 오피스텔 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같은 규제 완화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도 있다. 오피스텔과 도시형생활주택은 아파트와 달리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고 전매제한도 없어 분양가가 급등하고 투기수요가 몰릴 여지가 있다. 우병탁 신한은행 WM컨설팅센터 부동산팀장은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지만 사업시행자가 이를 분양홍보에 사용하는 등 투기 수요가 몰리고 난개발의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단독]투룸 늘리고 발코니 설치..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규제 푼다 | Daum 부동산

[단독]투룸 늘리고 발코니 설치..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규제 푼다 | Daum 부동산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깡통전세 정부가 '특별관리'.. 전세가율 80% 초과 위험지역 19곳

최근 들어 '깡통전세'가 속출하면서 정부가 이를 막기 위해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 90%를 넘는 위험지역을 특별관리한다고 밝혔다. 2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 등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평균 68.9%로 집계됐고 현재까지 90% 초과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선 총 19개 지역의 동향을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2.07.26
자유주제

안갯속 둔촌주공 10월 공사재개?..조합 임원들 한발 물러섰다

둔촌주공 조합 임원들이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공사중단 사태가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빠른 시간 안에 새 집행부가 꾸려져 시공사업단과 협상에 돌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이르면 10월에는 공사재개에 들어갈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2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조합 임원들은 최근 조합원들에게 공사재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26
자유주제

"김민재, 나폴리서 대성공 거둘 것" 전 스위스 주장의 예언

전 스위스 대표팀 주장이 김민재(26)가 나폴리에서 큰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예언해 관심을 모았다. 전 스위스 대표팀 주장이자 괴칸 인러(38, 아다나 데미르스포르)는 26일(한국시간) 나폴리 라디오 방송인 '키스키스 나폴리'에 출연, "나폴리에게는 좋은 영입이 될 것"이라면서 "그는 더 성장할 수 있고 더 배울 수 있다"고 김민재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7.26
자유주제

그리스 "프랑스 1부리그 로리앙도 황인범 원했다"

황인범(26·FC서울)이 아우크스부르크(독일)·로리앙(프랑스) 관심을 뒤로 하고 올림피아코스(그리스)에 입단한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다. 지난달 나온 아우크스부르크 이적설이 전부가 아니었다는 얘기다. 25일 그리스 스포츠매체 ‘에이디세이스’는 “황인범이 FC서울과 임대를 연장했다는 소식에도 올림피아코스는 이적 가능성이 남아있음을 알았다. 덕분에 아우크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8
22.07.26
자유주제

터키 "김민재, 나폴리와 5년·167억원 계약 동의"

‘괴물 수비수’ 김민재(26·페네르바체)가 이탈리아 세리에A(1부리그) 나폴리와 큰 틀에서 합의한 계약 조건이 외신에 의해 공개됐다. 이탈리아는 유럽축구연맹(UEFA) 리그랭킹 4위로 평가되는 메이저 무대다. 25일(이하 현지시간) ‘엔손하베르’는 “김민재는 나폴리와 연봉 250만 유로(약 33억원) 및 5년 계약을 맺는 것에 동의했다. 페네르바체는 이적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2.07.26
자유주제

'1무 1패' 벨호, 대만 상대로 유종의 미 거둔다

이제는 승리가 필요하다. 경기를 지배하는 것만으로 만족할 수 없다. 콜린 벨 감독이 이끄는 여자축구대표팀은 26일 오후 4시 일본 이바라키현 가시마 스타디움에서 2022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만과 최종전을 치른다. 한국은 1차전 일본에 1-2 패, 2차전 중국에 1-1 무승부로 일본(2승, 승점6), 중국(1승1무,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2
22.07.26
자유주제

민주노총 강원본부 "쌍용C&E본사·책임자 처벌해야"

쌍용C&E 하청 노동자가 작업 중 사망한 사건(본지 7월 22일자 6면 등)과 관련해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본부장 김원대)가 25일 고용노동부 강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쌍용 C&E 본사 및 경영책임자의 처벌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 20일 쌍용C&E 소유 선박 내 적재장에서 석탄회 제거 작업을 하던 60대 남성이 석탄회 더미에 깔려 사망하는 사고가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17
22.07.26
자유주제

좋은 기억 vs 나쁜 기억..기억에 감정 입혀지는 원리는?

어떤 기억은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지만 떠올리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기억도 있습니다. 해외 과학자들이 기억이 형성될 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이 입혀지도록 만드는 뇌 속 물질을 찾아냈습니다. 최소라 기자입니다 [기자]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 긍정적인 감정이 들지만, 사고나 전쟁과 같은 충격적인 기억은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부정적인 감정을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7.26
자유주제

'15초 동영상' 중국의 틱톡, 유튜브마저 제쳤다

중국 숏폼(짧은 동영상) 앱 틱톡이 1인당 사용 시간에서 유튜브를 처음으로 제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앱 시장 조사 기관 데이터에이아이는 25일 올해 1분기 틱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안드로이드폰 조사, 중국 제외)이 23.6시간으로, 23.2시간을 기록한 유튜브를 앞섰다고 발표했다. 2년 전보다 140% 늘어난 수치다. 페이스북은 이보다 한참 떨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02
22.07.26
자유주제

임기 끝난 지 3달..나랏돈으로 떠난 11일 유럽출장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관장 한 명이 '임기 3년'이 지난 상황에서 학술대회 참여 명목으로 10박11일 유럽 출장을 떠나고 아파트 전세 계약기간까지 2년 연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연연은 지난해 3월 기관장의 임기가 만료돼도 후임자 임명 때까지 업무를 수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그러나 연구계에선 업무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를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