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LG엔솔, 中 폐배터리 파트너 확정...순환경제 사이클 구축

GoFoward

Lv 102

22.07.26

view_cnt

1,091

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와 한국, 미국에 이어 중국 내 폐배터리 활용을 위한 파트너를 확정했다. 글로벌 배터리 생산 기지에서 나오는 폐배터리를 모두 재처리할 수 있게 되어 순환경제 사이클을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화유코발트와 폐배터리에서 핵심 원료를 추출하는 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26일 밝혔다. 합작법인은 중국 저장성 취저우시에 설립되며 폐배터리 스크랩 등 전처리는 LG에너지솔루션, 합작법인은 재활용 금속의 후처리를 담당한다. 추출한 니켈, 코발트, 리튬 등 금속은 양극재로 생산해 난징시에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생산공장에 공급된다. 권영수 LG엔솔 최고경영자는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망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출처 : 데일리임팩트(https://www.dailyimpact.co.kr)
LG엔솔, 中 폐배터리 파트너 확정...순환경제 사이클 구축

LG엔솔, 中 폐배터리 파트너 확정...순환경제 사이클 구축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취재수첩] 반도체도 전기차도 미국으로 가는 이유

최근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 향후 20년 동안 1921억달러(약 252조원) 투입해 반도체 공장 11개를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 5월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에 2025년까지 연간 30만대 전기차를 생산할 전용 공장 및 배터리 생산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연일 국내 대기업의 미국행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이들 움직임에 소재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15
22.07.26
자유주제

르노코리아 ‘고성능 감성’으로 제품 인기 되살린다

르노코리아자동차가 제한된 가짓수의 완성차 제품으로 판매실적을 늘리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실적을 개선하기 위한 마케팅 방안의 하나로 최근 모그룹의 ‘고성능 감성’을 활용하는 중이다. 모그룹인 프랑스 르노(Renault)가 고성능 브랜드를 운영하고 모터스포츠에 참여하며 축적한 기술력과 감성으로 국내 제품의 매력도를 높이려는 취지다. 지난 상반기 르노코리아의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79
22.07.26
자유주제

BMW, 벤츠 턱밑 추격…하반기 역전 노린다

BMW가 올해 상반기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벤츠를 턱밑까지 추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부터 만년 2위에 머무른 BMW가 7년 만에 왕좌의 자리를 되찾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입차 신차등록대수 1위에 메르세데스-벤츠(3만9197대)가 올랐다. 2위는 BMW(3만7552대)로 벤츠와의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7.26
자유주제

[그래픽] 올해 상반기 제조사별 전기차 리콜대수

[그래픽] 올해 상반기 제조사별 전기차 리콜대수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78
22.07.26
자유주제

[그래픽] 최근 5년간 전기차 리콜 건수 및 대수

[그래픽] 최근 5년간 전기차 리콜 건수 및 대수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7.26
자유주제

[그래픽] 최근 5년간 전기차 신규 등록 건수

[그래픽] 최근 5년간 전기차 신규 등록 건수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901
22.07.26
자유주제

한 번 충전에 500㎞ 훌쩍, 전기차 대중화 시동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판매량은 팬데믹으로 인한 판매 감소, 차량 반도체 수급 차질 등 공급망 불안, 변이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조업 중단과 제품 출고 지연 등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한 8455만 대에 그쳤다. 하지만 친환경차 분야로 넘어오면 얘기가 달라진다.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이어지며 전년 대비 110.7%(666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7
22.07.26
자유주제

미래자동차 인재개발원, 독일 루카스 뉠레 초빙 미래차 교육 세미나 개최

이번 세미나는 인재개발원 협약 학교 및 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국내 자동차 관련학과 교수진, 자동차 전문직업학교 학교장, 대기업 연구진 및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날 관계자들은 미래자동차에 대한 독일의 교육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미래 자동차 인재 육성에 관한 사례를 공유했다. 독일 미래 자동차 분야의 전문 교육 솔루션 기업 루카스 뉠레는 기초 전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908
22.07.26
자유주제

3중 위기’ 차 부품업계…상장 중견기업도 1%대 영업익률

상장된 자동차 부품업체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이 평균 2%대 초반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으로 한정하면 1%대였고, 중소기업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비상장 업체들의 상황은 더 열악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와중에도 완성차 업체들은 좋은 실적을 내고 있지만, 부품업체들에게 ‘낙수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부품 업체들이 원자잿값 상승, 전기차 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7.26
자유주제

SK '68조 선물' 공개하나…바이든-최태원 오늘밤 화상면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화상으로 만난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방한 당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직접 만난 데 이어, 다시 한국 대기업 총수를 만나 미국 내 투자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회장은 지난해 SK그룹이 발표한 520억 달러(약 68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