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노동 경직성·과도한 법인세..투자 순유출 규모 403조 달해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882

한국의 투자 유출 수준이 경쟁국보다 높은 데 대해 경영계는 협소한 내수시장, 지정학적 리스크 등 요인과 함께 과도한 시장규제, 경직적 노동시장, 취약한 조세 경쟁력을 꼽는다. 2000~2021년 투자 순유출액(해외직접투자-외국인직접투자)이 403조원(3015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불균형이 심한 데는 구조적인 한계도 있지만 스스로 경영환경을 옥죈 탓도 크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게 법인세다.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25%로 경제협력개발기구 38개국 중 아홉 번째로 높다. 이 순위는 2000년 28위에서 2009년 22위, 2018년 10위, 올해 9위로 지속 상승했다. 경쟁국들이 투자 유치를 위해 법인세율을 낮춘 반면 우리는 오히려 올렸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 빠진 영국이 최고 법인세율을 당시 30%에서 현재 19%로 내린 게 대표적이다. 이후 영국에는 아마존 도요타 등 기업들이 진출하거나 투자를 확대했다. 특히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주 52시간 노동규제, 법인세율 인상, 중대재해처벌법 도입 등을 강행한 문재인 정부(2017~2021년) 시기 한국의 투자 순유출액은 10조3777억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했다.경총 관계자는 “경영진의 형사처벌 리스크를 높이는 중대재해법 등 국내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는 셀 수도 없이 많다”며 “이는 국내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줄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부도 일자리 순유출을 우려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0일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과도한 규제와 높은 법인세율 등 때문에 해외에 양질의 일자리를 매년 6만 개씩 만들어 주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규제 혁신 및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등을 추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1일 발표한 세제개편안을 통해 법인세 최고세율을 25%에서 22%로 낮추고, 과세표준 구간을 현행 4단계에서 2단계(대기업)~3단계(중소·중견기업)로 단순화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노동 경직성·과도한 법인세..투자 순유출 규모 403조 달해

노동 경직성·과도한 법인세..투자 순유출 규모 403조 달해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테슬라, 기본 커넥티비티 서비스 유료화..'구매 후 8년 무료'

테슬라가 무료로 제공하던 기본 커텍티비티 서비스를 유료 서비스로 변경했다. 오토블로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20일은 테슬라 무료 커넥티비티 서비스 등록 마감일이었으며 이제부터 차량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최초 8년간만 무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후에는 매월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해야 한다. 해당 서비스는 테슬라가 제공하는 두 가지 커넥티비티 서비스 중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95
22.07.26
자유주제

[현장] 18시간 째 충전중?..환경부, 전기차 충전기 관리 부실 여전

한국전력,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에 이어 환경부 공공 급속 충전기 관리 상태가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충전기가 차량과의 통신 문제를 일으키는 한편, 제대로 된 충전현황을 보여주지 못하는 충전기도 있었다. 또 쓰레기 분리수거장 바로 앞에 신설된 환경부 급속 충전기도 보였다. 26일 메르세데스-벤츠 EQB 전기차를 이끌고 서울 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902
22.07.26
자유주제

韓·美·中 격전지 된 일본 전기차 시장.."역전 노릴 호기"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자동차 시장이 각국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격전지가 됐다. 한국 현대자동차부터, 미국 테슬라, 일본 자국 브랜드를 비롯해 중국 비야디(BYD)까지 일본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26일 외신 등에 따르면 BYD는 지난 21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중국 완성차업체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 건 BY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71
22.07.26
자유주제

S60·CT5 대신 엠블라·리릭.. 전기차는 이름도 다르네

SM5′나 ‘K5′처럼 브랜드명에 차급을 나타내는 숫자를 조합한 알파뉴메릭(alphanumeric) 방식은 신차 이름을 작명하는 공식으로 통한다. 수입차는 예전부터 애용했고, 국산차는 1998년 삼성자동차의 ‘SM5′를 시작으로 현대차(005380) ‘i30′, 제네시스 ‘G90′, 기아(000270) ‘K5′ 등이 연달아 알파뉴메릭을 도입했다. 전기차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71
22.07.26
자유주제

[마켓프로] 초고수들, '팔백슬라' 회복한 테슬라 담았다

투자수익률 상위 1%의 주식 초고수들은 두 달 만에 주당 800달러선을 회복한 테슬라(805.30 -1.40%)를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미래에셋 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주식을 거래하는 수익률 상위 1% 고수들은 간밤 해외 주식시장에서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와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39
22.07.26
자유주제

전기차 장밋빛 전망과 제조사의 주름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배터리값이 오르면서 완성차 업체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가격은 2018년 ㎾h당 24만9000원에서 지난해 20만6000원으로 내려갔다가 올해 22만2000원으로 반등했다. 2024년에는 23만5000원에 달할 전망이다. 내연기관차와 경쟁할 수 있는 가격인 ㎾h당 100달러(약 13만원) 아래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11
22.07.26
자유주제

현대차 '아이오닉6' 28일 사전예약 시작...구매 전쟁 예고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아이오닉6'가 오는 28일부터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아이오닉의 2번째 모델 '아이오닉6'를 최초 공개했다. 아이오닉6의 1회 충전 최대 주행 거리는 524㎞로 이전 모델인 아이오닉5가 1회 충전으로 갈 수 있는 최대 거리가 429㎞였던 것에 비해 아이오닉6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93
22.07.26
자유주제

삼성SDI, 헝가리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지원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현지시각으로 25일 헝가리 외교부 청사에서 페테르 씨야르토 외교부 장관을 만나 삼성SDI의 혁신기술 사례와 삼성의 헝가리 경제성장 기여도 등을 설명하고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다. 삼성SDI는 유럽 전기자동차 배터리 수요 대응을 위해 9400억 원을 투자해 지난해 헝가리 괴드 지역에 제2공장을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19
22.07.26
자유주제

수입차 운전자 10명 중 3명 "향후 신차 구입 때 온라인으로 사겠다

수입차 차주 10명 중 3명은 향후 신차를 구매할 때 온라인으로 살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해소로 예전처럼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 대면 구매가 자유로워졌지만,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구매하고 싶다는 응답이 예상보다 높았다. 이는 한국경제신문이 리서치기업 엠브레인과 함께 수입차 운전자 1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22년 상반기 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934
22.07.26
자유주제

포르쉐·렉서스·벤츠, 수입차 서비스 만족도 평가 1~3위

포르쉐, 렉서스, 메르세데스벤츠가 서비스 질이 높은 수입차 브랜드 1~3위에 꼽혔다. 다른 브랜드보다 탄탄한 수리 인프라와 신뢰감 있는 수리 서비스로 차주들의 호평을 받았다. 한국경제신문이 국민대 자동차서비스연구소, 리서치기업 엠브레인, 보험개발원,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조사해 지난 22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한경 수입차서비스지수(KICSI)’ 평가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30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