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탈원전에 전문인력 감소.. 산업성장 따른 수요 대비해야"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90

국내 원자력산업 분야 인력이 지속해서 증가하다 신규 원전 백지화 등 탈원전 정책을 추진했던 문재인 정부 시절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흐름이 바뀌면서 원전 전문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인력 양성을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7일 경북도 주최로 포스텍(포항공대)에서 열린 ‘글로벌 원전 최강국 건설을 위한 정책포럼’에서 발표한 조항진 포스텍 기계공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의 ‘미래산업을 선도할 글로벌 원자력 인력양성 방안’과 한국원자력산업협회 원자력산업 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원전산업 분야 인력은 2015년 3만5330명에서 2016년 3만7232명,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2017년 3만7261명으로 증가하다 이듬해인 2018년 3만6502명, 2019년 3만5469명, 2020년 3만5276명 등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특히 국내 원자력 전공 대학 입학생(학·석·박사)은 2015년 840명에서 2020년 590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재학생(학·석·박사) 역시 같은 기간 2554명에서 2190명으로 줄었다. 2020년 기준 원자력 관련 학과가 있는 곳은 전국 17개 대학이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향후 원전 확대와 전 세계 에너지산업 성장으로 인한 원전 수출 등에 따른 인력 수요에 대비해 원전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실제 윤석열 정부는 문 정부 당시 중단된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을 재개하고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기 위해 조만간 ‘수출전략추진단’을 출범하기로 했다. 또 고리 원전 1호기 설비 해체 및 소형원전 개념설계·우주 원자력 추진 기본설계 착수,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 건설,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 등을 위한 원전 전문기술 인력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조 교수는 “인력 수급을 위해 기계, 전자, 화학공학 등 연관된 전공 분야와 연계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하고 센터 형식의 첨단 교육 공동시설 운영 등의 방법으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탈원전에 전문인력 감소.. 산업성장 따른 수요 대비해야''탈원전에 전문인력 감소.. 산업성장 따른 수요 대비해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