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인구, 72년 만에 첫 감소..'늙은 한국' 미래 아닌 현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4

한국 총인구(외국인 포함)가 정부 수립 이래 처음 후퇴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사망자가 출생아를 앞지른 데다, 코로나19에 막혀 일을 구하러 한국에 오는 외국인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참 일할 나이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갈수록 줄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늘고 있어 '경제 체력'도 늙어가고만 있다. 경제 중추 생산인구, 5년 만에 68만 명 급감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총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1,000명(0.2%) 줄었다. 정부 수립 직후인 1949년 집계를 시작한 총인구가 뒷걸음질친 건 72년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이 작년 12월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예고한 총인구 감소가 실제 확인된 셈이다. 인구 감소는 내국인(-4만5,000명), 외국인(-4만6,000명) 모두 발생했다. 내국인은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은 자연 감소가 2020년부터 시작되면서 인구를 줄이고 있다. 외국인 감소는 코로나19에 따른 이동 제한, 취업 비자 만료 등으로 한국을 찾는 사람보다 고국으로 돌아간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연령별로 보면 생산연령인구가 34만4,000명 감소한 3,694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경제 중추인 이 연령대 인구는 정점을 찍었던 2016년과 비교하면 67만7,000명 줄었다. 예비 생산연령인구인 0~14세 유소년 인구 역시 608만7,000명으로 16만7,000명 감소했다. 모두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한 저출산 영향이 컸다.

인구, 72년 만에 첫 감소..'늙은 한국' 미래 아닌 현실인구, 72년 만에 첫 감소..'늙은 한국' 미래 아닌 현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