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교원도 등 돌렸다..'7세 입학' 절차·목적·대안까지 총체적 난국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04

교육부의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에 대다수 교사들도 등을 돌리고 있다. 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유·초·중·고등학교 교원 10만662명을 대상으로 학제개편 논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94.7%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중 89,1%는 ‘매우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만 5세 자녀를 입학시킬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합 교원이 91.1%에 달했다. 반대 이유는 ‘아동 정서 등 발달단계나 교육과정을 고려하지 않아서’(82.2%), ‘학령기가 중첩되는데 교사·교실 확충 등 여건 개선이 고려되지 않아서’(5.3%)라는 답변이 많았다. 교사들은 "인력 양성에 매몰돼 정책을 졸속으로 추진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거나 "조기 진학이 열려 있는데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교사 85.2%는 현행 만 6세 취학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냈고, 만 7세로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9.0%나 나왔지만 만 5세라고 답한 비율은 4.6%에 불과했다. 교육부의 미흡한 대처도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전날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업무보고 때 발표했던 2025년부터 4년간 25%씩 수용하는 방안 외에 "12개월에 걸쳐 1개월씩 늘리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25%씩 수용하면 과밀학급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했다가 부정 여론을 의식해 다른 대안을 꺼낸 것이다. 박 부총리는 "1학년에 입학하는 학생이 만 5세인 경우 교과과정도 기존과 다르게 바꾸고, 학교 공간도 달라질 수 있다"며 "어머님들이 우려하는 돌봄이 필요하다는 부분에 대해 1·2학년은 8시까지 돌봄을 (제공)한다는 제안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부모들은 "돌봄교실은 맞벌이·저소득 가정에만 제공된다. 아이들을 오후 8시까지 학교에 두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도 유아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은 ‘놀이를 통한 배움’으로 규정하고 있다.

교원도 등 돌렸다..'7세 입학' 절차·목적·대안까지 총체적 난국교원도 등 돌렸다..'7세 입학' 절차·목적·대안까지 총체적 난국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