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광주·전남 급식비 단가 '최하위'.. 물가상승에 '비상등'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706

광주·전남 학생들이 먹는 학교 급식비(식품비) 단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와중에 최근 식재료값마저 치솟고 있어 2학기 학교 급식에 비상이 걸렸다. 2일 광주교사노동조합에 따르면 올 1학기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 학교 급식비 1식 단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광주가 2029원으로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낮았다. 전남은 2095원으로 16위였다. 전국 초등학교 평균 급식비는 2538원이고 단가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서울로 3361원으로 조사됐다. 중·고등학교 급식비는 전남이 2445원과 2595원으로 가장 적었다. 광주는 각각 2525원과 2603원으로 16위였다. 중·고등학교 급식비가 가장 많은 지역은 울산으로 각각 3600원과 4100원이었다. 전남과는 무려 1100∼1500원가량 차이가 났다. 서울은 중학교 3531원, 고등학교 3749원으로 각각 3위와 2위였다. 전국 평균 급식단가는 중학교 3096원, 고등학교는 326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 식재료값이 치솟고 있어 학교 급식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광주교사노조에 따르면 감자의 경우 전년 대비 ㎏당 1500원에서 3000원으로 두 배로 뛰었다. 배추는 망당 8000원에서 1만1000원으로 37.5% 상승했다. 물가상승으로 인해 이미 1학기 급식부터 소고기가 돼지고기와 닭고기로 대체되거나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개별 급식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교사노조 관계자는 “서울, 부산, 제주 등이 급식 관련 예산을 확보해 2학기를 대비하고 있는 것처럼 광주시와 교육당국도 신속하게 추경예산을 편성해 타 시·도 수준으로 급식비를 인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 급식비 단가 '최하위'.. 물가상승에 '비상등'

광주·전남 급식비 단가 '최하위'.. 물가상승에 '비상등'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野 강민정, 학제개편 "학교 강제로 욱여넣어 문제 해결 시도"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5세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은 윤석열 정부의 학제 개편안에 대해 “교육을 교육으로 보지 않고 경제적 수단으로 보는 것이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중등교사 출신이기도 한 강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라디오 인터뷰에서 “사회경제적 필요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3
22.08.02
자유주제

교원도 등 돌렸다..'7세 입학' 절차·목적·대안까지 총체적 난국

교육부의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에 대다수 교사들도 등을 돌리고 있다. 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유·초·중·고등학교 교원 10만662명을 대상으로 학제개편 논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94.7%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중 89,1%는 ‘매우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만 5세 자녀를 입학시킬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합 교원이 91.1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5
22.08.02
자유주제

세계 첫 '비알콜성지방간염 신약' 올해 나오나..국내도 '주목'

국내외 제약회사들이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미국 제약사 마드리갈(Madrigal Pharmaceuticals)의 NASH 신약 후보물질 '레스메티롬'의 임상3상 결과가 나올 예정으로 첫번째 상용화 제품 출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간 섬유화를 통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악화되는 병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8
22.08.02
자유주제

바이든·시진핑 충돌 불가피..中 대만해협 무력강화 빌미되나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 임박하면서 대만 해협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전례없이 고조되고 있다.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중국은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 암시하고 나섰으며, 미국은 펠로시 의장에 대한 보호 조치를 다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이번 방문을 빌미 삼아 대만 해협 부근에서 무력을 강화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8.02
자유주제

"요양병원 등 집단감염 증가..중증도 높아질 수도"

“7월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의 집단발생 건수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2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숙영 단장은 “최근 상황평가회의에서 이같은 사실을 파악했고 지난 6월에 구성된 지자체별 전담대응팀이 감염취약시설과 협력해 적극적으로 현장대응 중임을 확인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0
22.08.02
자유주제

석유 이어 농산물·외식마저..물가상승률 2달째 6%대

6.3%.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23년 8개월 만이다. 6월(6.0%)에 이어 2달 연속으로 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물가가 6%대 오른 것 자체가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면서 고물가 기조가 이어졌던 MB 때도 최대 5%대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8.02
자유주제

올해 시설투자에만 15조 '통큰 행보'

배터리 3사가 올해 시설투자에만 15조원을 쏟아붓는다. 테슬라를 비롯해 완성차 기업들이 가세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복합위기 변수에도 일부 공장을 제외한 해외, 합작법인 투자 속도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1
22.08.02
자유주제

주간 감염재생산지수 1.54→1.29 '진정'..위중증·사망 증가세

중앙방역대책본는 2일 7월4주(7월24일~30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55만6433명으로 하루 평균 7만9490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주간 확진자는 7월1주 11.1만명 → 7월2주 22.9만명 → 7월3주 42.4만명 →7월4주 55.6만명 등으로 3주만에 5배로 증가했다. '더블링' 기세로 증가하던 확진자는 지난주의 경우 전주 대비 31% 증가에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8.02
자유주제

8월 전력도매가 급등..한전, 전기료 인상에도 적자 폭 커진다

한국전력이 발전사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기준인 전력도매가격(SMP)이 세 달 만에 다시 급등하며 올 3분기 적자 폭 확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한전에 따르면 전날 기준 SMP는 ㎾h당 199.7원으로 전년 동월(94.1원) 대비 112.2% 폭등했다. 전월(151.9원)과 비교해도 한 달 사이 31.5% 상승한 가격이다. 이는 육지 SMP(1일 200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73
22.08.02
자유주제

진정한 숙성 고기집은 여기입니다! 핵강추 강추

동탄에서 고기집 몇군데를 찾다찾다 평이 좋아보여 방문을 해서 먹어보았는데, 근래 먹어본 삼겹중에 보스급은 됩니다!ㅋㅋㅋ 같은 동탄이랄지도 저희집에서는 조금 거리가 되지만서도 갈만한 가치가 있고 낮술 먹을뻔 했네요ㅋㅋㅋ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8.02
like-count3
commnet-count12
view-count700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