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코로나 진정되니 금리인상 발목..올들어 법인파산 접수 되레 증가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680

올해 상반기 전국 법원의 법인 파산 사건 접수 건수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금리 인상 국면이 이어져 하반기에도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대법원의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 1~ 6월 서울회생법원을 비롯한 전국 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 사건 수는 45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접수된 428건보다 5% 이상 증가했다. 회생이 불가능해진 법인의 잔여 재산을 현금화 해 채권자들에게 분배하고 법인을 최종 정리하는 절차라는 점에서, 파산 사건의 증가는 경영의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법인 파산 접수 건수는 2018년 806건, 2019년 931건, 2020년 1069건으로 늘다가 지난해 955건으로 줄었다. 일선의 한 판사는 “코로나19라는 감염병 자체의 위험성이 점차 관리되면서 경제적 상황이 연동돼 작년 법인파산 신청이 감소했던 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올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점은 주목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실물경기 여파에다 지속적 금리 인상으로 법원의 법인 파산 사건이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한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은행 금리도 올라 기본적으로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기존 1.00%에서 1월 1.25%로 오른 뒤 4월 1.50%, 5월 1.75%, 7월엔 2.25%로 껑충 뛰었다. 회생·파산 사건 전문가인 판사 출신 변호사는 “코로나 국면에서 금리를 쭉 동결하다가 올리고 있으니 법인파산 사건 증가는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며 “금리를 올리면 곧바로 영향이 나타나는 게 아니라 결국 버티지 못한 기업들의 파산도 2~3개월 후에 실제 접수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앞으로 더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분위기는 법원 내 판사들도 감지하고 있다. 파산으로 가는 기업보다 여건이 나은 회사를 살리기 위한 법인 회생 신청도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또 다른 판사는 “코로나 국면이 지속되는 동안 정책적으로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고 이자 상환을 유예하는 조치가 계속됐다”며 “사회적 조치가 종료되고 나면 더 이상 변제를 미룰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회생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법인회생 사건을 다루는 회생합의사건 법원 접수 통계를 보면 2019년 1003건, 2020년 892건, 지난해 717건으로 줄었다. 이는 기업들의 경영 여건이 나아져서가 아니라 금융기관의 변제기 연장으로 회생 신청이 보류된 기업이 많았다는 게 판사들의 분석이다. 파산 및 회생 사건 증가에 법원이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원행정처에 설치된 자문기구인 회생·파산위원회는 지난 6월 정기회의를 열고 수도권 이외 지역에 회생법원을 추가 설치하고 전문 법관 등 인적 자원을 적극 확충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코로나 진정되니 금리인상 발목..올들어 법인파산 접수 되레 증가

코로나 진정되니 금리인상 발목..올들어 법인파산 접수 되레 증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I4 eDrive 35가 나오나 보네요

한국에는 언제 나올지 모르겠습니다만 E40 기본이 6400대이니 6000만원대로 나올지 아니면 5500맞춰서 보조금 받게 나올지 모르겠네요

GoFoward|22.08.02
like-count3
commnet-count8
view-count993
22.08.02
자유주제

광주·전남 급식비 단가 '최하위'.. 물가상승에 '비상등'

광주·전남 학생들이 먹는 학교 급식비(식품비) 단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와중에 최근 식재료값마저 치솟고 있어 2학기 학교 급식에 비상이 걸렸다. 2일 광주교사노동조합에 따르면 올 1학기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 학교 급식비 1식 단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광주가 2029원으로 전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7
22.08.02
자유주제

野 강민정, 학제개편 "학교 강제로 욱여넣어 문제 해결 시도"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5세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은 윤석열 정부의 학제 개편안에 대해 “교육을 교육으로 보지 않고 경제적 수단으로 보는 것이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중등교사 출신이기도 한 강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라디오 인터뷰에서 “사회경제적 필요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5
22.08.02
자유주제

교원도 등 돌렸다..'7세 입학' 절차·목적·대안까지 총체적 난국

교육부의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에 대다수 교사들도 등을 돌리고 있다. 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유·초·중·고등학교 교원 10만662명을 대상으로 학제개편 논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94.7%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중 89,1%는 ‘매우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만 5세 자녀를 입학시킬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합 교원이 91.1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5
22.08.02
자유주제

세계 첫 '비알콜성지방간염 신약' 올해 나오나..국내도 '주목'

국내외 제약회사들이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미국 제약사 마드리갈(Madrigal Pharmaceuticals)의 NASH 신약 후보물질 '레스메티롬'의 임상3상 결과가 나올 예정으로 첫번째 상용화 제품 출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간 섬유화를 통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악화되는 병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8
22.08.02
자유주제

바이든·시진핑 충돌 불가피..中 대만해협 무력강화 빌미되나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 임박하면서 대만 해협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전례없이 고조되고 있다.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중국은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 암시하고 나섰으며, 미국은 펠로시 의장에 대한 보호 조치를 다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이번 방문을 빌미 삼아 대만 해협 부근에서 무력을 강화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8.02
자유주제

"요양병원 등 집단감염 증가..중증도 높아질 수도"

“7월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의 집단발생 건수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2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숙영 단장은 “최근 상황평가회의에서 이같은 사실을 파악했고 지난 6월에 구성된 지자체별 전담대응팀이 감염취약시설과 협력해 적극적으로 현장대응 중임을 확인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0
22.08.02
자유주제

석유 이어 농산물·외식마저..물가상승률 2달째 6%대

6.3%.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23년 8개월 만이다. 6월(6.0%)에 이어 2달 연속으로 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물가가 6%대 오른 것 자체가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면서 고물가 기조가 이어졌던 MB 때도 최대 5%대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8.02
자유주제

올해 시설투자에만 15조 '통큰 행보'

배터리 3사가 올해 시설투자에만 15조원을 쏟아붓는다. 테슬라를 비롯해 완성차 기업들이 가세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복합위기 변수에도 일부 공장을 제외한 해외, 합작법인 투자 속도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1
22.08.02
자유주제

주간 감염재생산지수 1.54→1.29 '진정'..위중증·사망 증가세

중앙방역대책본는 2일 7월4주(7월24일~30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55만6433명으로 하루 평균 7만9490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주간 확진자는 7월1주 11.1만명 → 7월2주 22.9만명 → 7월3주 42.4만명 →7월4주 55.6만명 등으로 3주만에 5배로 증가했다. '더블링' 기세로 증가하던 확진자는 지난주의 경우 전주 대비 31% 증가에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