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춘천시 인구 29만명 돌파.. 강남·신사우동 급증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920

춘천시 인구가 29만명을 돌파,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초 28만 8000명 선에서 꾸준히 인구가 늘어 7개월 여만에 29만명 선을 넘어선 것이다. 특히 신축 아파트가 들어선 강남동 인구가 급증하는 반면 동면과 석사동, 후평3동 등 구축 아파트촌 일대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 아파트간 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춘천지역 인구는 지난 7월말 기준 29만 65명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28만9884명) 143명 증가한 규모다. 올 1월 28만 8596명부터 △2월 28만 8888명 △3월 28만 9137명 △4월 28만 9361명 △5월 28만 9674명 △6월 28만 9884명까지 춘천 인구 증가율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올 초부터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신축 아파트가 들어온 강남동·신사우동 일대다. 강남동은 춘천 센트럴파크 푸르지오(1556세대)와 춘천파크자이(965세대) 입주에 이어 센트럴타워 푸르지오(1175세대)까지 입주를 시작하면서 올 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2642명이 증가, 춘천지역 25개 읍면동 중 증가 인구수가 가장 많았다. 우두택지개발사업으로 우두이지더원시그니처(916세대), 파크에뷰(979세대) 등 신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신사우동 일원이 강남동 다음을 차지했다. 이 지역은 같은 기간 1657명이 늘었다. 강남동 일대 신축아파트 조성으로 강남동은 퇴계동·석사동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지역이 됐다. 올 초 기준 강남동 인구는 지난 5월 2만4929명으로 신사우동(2만 4745명) 인구를 넘어서며 인구 수 기준 세번째로 큰 동네가 됐다. 이와 함께 약사명동도 지난달 롯데캐슬위너클래스 입주 영향으로 49가구, 102명이 유입되면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반면 기존 택지 지구와 원도심 일대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석사동은 지난달 기준 3만 4163명으로, 올 초 대비 430명이 동네를 빠져나갔다. 동면도 243명 감소했다. 후평1·2·3동도 각각 252명, 206명, 382명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후평3동 인구(2만447명)는 2만명 선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시 관계자는 “춘천 인구는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 속에 신축 아파트 중심의 지역 내 이동이 많다”고 인구변화 추이를 설명했다.
시 인구 29만명 돌파.. 강남·신사우동 급증 | Daum 부동산

시 인구 29만명 돌파.. 강남·신사우동 급증 | Daum 부동산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사업용차량 사고 분쟁 '80%' 해결사.."피해자 권익보호 앞장"

#. 지난 2019년 10월 버스에 오른 A씨(71)는 요금 결제를 위해 이동하던 중 내부 구조물에 걸려 어깨가 골절되는 사고를 당했다. A씨는 버스기사 과실을 주장했으나, 공제조합은 A씨의 부주의를 주장하며 양측 간 분쟁으로 이어졌다. 이듬해 초 사건을 넘겨받은 공제분쟁조정위원회는 버스가 정상 진행 중이었던 점 등을 감안해 운전자 과실 90%의 손해배상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8.02
자유주제

종부세 완화에 강남3구 다주택자 매물 사라진다.."서초구, 감소폭 1위"

정부의 종합부동산세 부담 완화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물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매매시장이 '급매' 위주로 이뤄지는 가운데 비교적 여유가 있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매물 거둬들이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다. 2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2156건이다. 이는 지난 6월13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8
22.08.02
자유주제

'지지부진' 청라시티타워 속도 낼까..LH, 8월 말 경영심의 마친다

공사비 문제로 지지부진했던 청라시티타워 건설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신속한 경영 심사 추진을 약속하며 이르면 9월 사업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2일 국회·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김현준 LH 사장은 전날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김교흥 의원과 진행한 간담회에서 "청라시티타워 사업비 타당 용역 및 경영 심의를 8월 안에 마무리하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44
22.08.02
자유주제

구글플레이, 인디게임 페스티벌 결승 진출 '톱 20' 발표

구글이 '구글플레이 인디게임 페스티벌 2022' 결승전에 진출하는 톱 20 개발사를 2일 발표했다. 톱 20에는 국내 개발사가 제작한 액션, RPG, 퍼즐, 아케이드 등 다양한 장르의 인디 게임이 포함됐다. 구글은 톱 20으로 선정된 인디 게임 개발사들에 게임 프로모션, 멘토링, 컨설팅, 마케팅 캠페인 등 풍부한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용자 심사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2.08.02
자유주제

中 3개월 연속 게임 판호 내줬지만..자취 감춘 '외산 게임'

중국 당국이 3개월 연속 게임 판호를 발급해 게임 규제 완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게임 판호도 내자 판호에 그치고 있어 '만리장성의 벽'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일 중국국가신문출판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69개 게임을 대상으로 게임 신규 서비스 허가 판호를 발급했다. 중국 당국이 이번에 발급한 판호는 모두 중국 내에서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2.08.02
자유주제

"저 그 사람 아닌데요"..예전 번호 명의 연락 막는 법 나온다

예전 번호 이용자 명의의 통화나 문자가 오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법안이 나온다. 해당 번호를 예전에 사용하던 이용자의 카드 사용 내역이나 택배 문자가 전송되는 문제를 비롯해 다양한 피해 사례가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2일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동통신사가 해지된 번호를 재사용 시 기술적 조치 의무를 져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8.02
자유주제

기업연구소 설립·운영 기준 완화..재택근무해도 연구전담인력 인정

오는 4일부터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기업연구소 연구전담인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준이 완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개발전담부서(기업연구소)의 설립·운영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으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기초연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이 개정돼 오는 4일부터 적용한다고 2일 밝혔다. 기업연구소는 일정 수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4
22.08.02
자유주제

"정의가 실현됐다"..바이든, 아프간 테러단체 수장 사망 확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대국민연설을 통해 이슬람 테러단체 알카에다의 최고지도자 아이만 알 자와히리(Zawahiri)의 사망을 공식 확인했다. 코로나19 재확진으로 지난달 30일부터 격리 조치 중인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TV로 방영된 대국민 연설에서 "정의가 실현됐다. 이 테러리스트 지도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며 미 중앙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6
22.08.02
자유주제

왜 대부분의 선진국은 '만6세 입학'일까?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교육지표 2021을 보면, 38개 회원국 중 초등학교 입학연령이 '만6세 이상'인 곳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모두 34곳이다. 회원국의 89.5%가 '만6세 이상' 입학을 고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책연구기관의 '만5세 입학' 포기 권고 이유 교육학자와 뇌 과학자들은 바로 '뇌의 비밀' 때문이라고 말한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21
22.08.02
자유주제

IMF의 악몽 재현, 연간 물가상승률 5% 돌파..'역대급' 찍을 수도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6%대를 찍으면서,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7.5%) 이후 최고 수준이다. 정부는 9~10월이 물가 정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높은 물가가 하반기까지 지속돼 고착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찮다. 물가 상승세를 잡을 확실한 유인이 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4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