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전기차 배터리 기술 동향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auto2063Lv 91
조회 수1,284

배터리 산업·기술 동향 최근 신형 배터리(4680배터리), 구조기술(Cell To Pack), 제조기술(건식 전극), 비즈니스 모델(배터리 교체) 등에서 변화 중 1__4680 배터리__46mm(지름)×80mm(길이)의 원통형 배터리 셀의 명칭으로 2170 배터리와 비교하여 에너지 출력 5~6배 증대, 항속거리는 16% 연장,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지만 양산 방법 등의 개발이 필요(파나소닉, LG) 2__ Cell To Pack__CATL이 개발한 중간 공정인 모듈을 폐지하고 셀을 직접 팩에 주입하는 방식의 기술로 모듈 단위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부품 수를 줄여 동일한 공간에 많은 셀을 설치 가능(LFP배터리의 낮은 에너지 밀도 보완, 테슬라 채택 예정) 3__건식 전극__전극 제조 과정에서 급속백에 슬러리(액체)를 코팅·가열·건조하여 용매를 사용 하지 않고 장치 내에서 기계적 에너지만으로 피복하는 기술 * 생산설비의 축소, 공업 폐수 발생 절감 등이 가능하여 생산성 제고 및 환경 오염 절감 가능 4__배터리 교체__전기자동차 배터리 교환 충전소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로 제안되었지만 표준화의 어려움으로 실제 구현까지는 도달하지 못함 * 중국 정부는 ‘신형 인프라 건설’ 대상으로 배터리 교체 충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며 CATL(중), Enerjazz(인도) 등은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출시 * Battery as a Service 실현을 위한 배터리 표준화, API 조기 개발 등이 필요한 상황 출처—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글로벌 배터리 산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2022.7.25자 리포트

댓글 1

BMW 로고 이미지VOLKSWAGEN 로고 이미지
auto2063Lv 91작성자

폭바 GM BMW 제조사들도 테슬라 따라잡기 혹은 자구책 일환으로 소재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