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美·中 반도체 전쟁에 낀 韓..삼성·SK '새우 등 터질라' 우려

울트라맨8

Lv 116

22.08.03

view_cnt

902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최고조로 치달으면서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긴장하고 있다.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개편 계획이 사실상 중국을 노골적으로 견제하는 구상이라 미국과 중국 양 시장의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는 꼴이 될 수밖에 없어서다. 펠로시 의장은 3일 마크 리우 TSMC 회장을 만나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전날 서명한 반도체 지원법과 미국 투자 확대에 대해 논의했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 면담 자리에 류 회장이 동석한 형태로 알려졌다. 펠로시 의장과 류 회장은 최근 미국 의회를 통과한 반도체 칩과 과학법(반도체법)은 물론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확대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 의회는 최근 반도체 생산·연구개발(R&D)에 총 520억달러를 투입하는 반도체법을 통과시켰다. 미국에 반도체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업에 총 390억달러 지원, 25% 세액공제 등 혜택을 제공하는 한편, 이들의 대 중국 생산·증산 관련 투자를 차단하는 게 핵심이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를 비롯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 법안이다. 표면적으로는 미국 중심의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망을 만들겠다는 취지이지만 세부 내용을 보면 중국 견제 관련 내용이 노골적으로 담겨 있다. 대표적인 게 미 정부 지원을 받는 기업은 향후 10년간 중국 투자가 제한된다는 조항이다. 법안에 따르면 삼성전자, TSMC 등은 앞으로 중국시장에서 28나노(㎚·10억분의1m) 이하 반도체칩 생산시설을 신설하거나 증설하지 못한다. 제한규정을 위반한 기업은 계약 위반에 해당돼 연방지원금을 전액 반환해야 한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두고 있고, 쑤저우에도 테스트·패키징 후공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역시 장쑤성 우시 지역에서 D램공장을, 랴오닝성 다롄에서 미 인텔에서 인수한 낸드플래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달리 SK하이닉스는 10나노대 D램 생산을 하고 있다. 미국에 공장을 신설하면서 인센티브를 받게 될 경우 중국에서 최첨단 메모리 생산을 위한 추가 투자를 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SK하이닉스는 이미 반도체 초미세공정을 위한 EUV 노광장비를 중국 공장에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경기 이천 공장에서 EUV장비를 통한 최첨단 D램 생산이 가능하지만, 중국 시장 확장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이 중국 반도체 굴기를 막기 위한 여러 수출 장벽을 높이는 점도 부담이다.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은 자국산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장비를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수출 제한 검토 대상은 128단 이상의 고성능 낸드 생산에 쓰이는 반도체 장비다. 미국 램리서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의 장비 등이 대상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시장에서 모두 낸드플래시를 양산하고 있는데 이들 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아직 검토 초기 단계로 초안조차 마련돼 있지 않지만, 미국의 움직임에 반도체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은 이외 중국의 시스템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수출 통제 기준을 기존 10나노에서 14나노로 끌어올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미 상무부는 2020년 12월 중국의 반도체 기업 중신궈지(SMIC)에 10나노 이하의 장비를 도입하지 못하게 막았지만 이를 비웃듯 중국 SMIC가 7나노 공정개발에 성공하자 제재 수준을 더 높인 셈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중국에 파운드리 공장이 없어서 이 조치에는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빗겨나 있지만, 반도체 규제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된다는 점이 부담되고 있다. 이창한 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아직 미국의 제재 조치가 확정된 것은 없지만, 중국 투자를 계속해야 하는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향후 반도체 생산 일정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적지 않다”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외교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美·中 반도체 전쟁에 낀 韓..삼성·SK '새우 등 터질라' 우려

美·中 반도체 전쟁에 낀 韓..삼성·SK '새우 등 터질라' 우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코인 업계와 첫만남 가지나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오는 11일 가상자산업계와 첫 대면할 예정이다. 김주현 위원장과 가상자산 업계는 지난 5월 테라-루나 급락 사태로 지난 5월 처음으로 열린 가상자산 긴급 당정 간담회 후속 자리에서 만날 예정이다. 3일 가상자산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오는 11일 제3차 가상자산 당정 간담회를 개최한다. 다음 주 당정 간담회는 지난 5월24일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5
22.08.03
자유주제

미 예비역중령 "시진핑, 펠로시 대만방문 빌미 전쟁하면 바보짓"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빌미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대만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킨다면 이는 바보 같은 짓이 될 것이라고 미국의 한 예비역 공군 중령이 지적했다. 게르망트 라이라리 미 예비역 공군 중령은 3일 대만의 영자지 타이완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동아시아에 전방 배치된 미국의 압도적인 군사력을 거론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아시아 및 중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4
22.08.03
자유주제

미 예비역중령 "시진핑, 펠로시 대만방문 빌미 전쟁하면 바보짓"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빌미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대만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킨다면 이는 바보 같은 짓이 될 것이라고 미국의 한 예비역 공군 중령이 지적했다. 게르망트 라이라리 미 예비역 공군 중령은 3일 대만의 영자지 타이완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동아시아에 전방 배치된 미국의 압도적인 군사력을 거론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아시아 및 중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03
22.08.03
자유주제

돌발성 난청은 응급질환..3개월내 치료 안되면 보청기 고려를

한쪽 귀가 평소와 다르게 갑자기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바로 '돌발성 난청'증상이다. 돌발성 난청은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한쪽 귀에 난청이 발생하는 것이다. 개인에 따라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느리게 진행될 수도 있다. 전문의들은 돌발성 난청이 의심된다면 당장 이비인후과를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난청중점 클리닉 김성근이비인후과 김성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61
22.08.03
자유주제

구체화된 20조 K방산 수출계약..추가 수출 기대감 고조

폴란드로 K2 전차 1000대, K9 자주포 648문, FA-50 경공격기 48대 등 20조원 안팎의 방위산업 무기 수출 계약 로드맵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단일무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규모인 K2 전차 1000대 수출을 위한 본계약이 이르면 18일 체결되는 등 구체적인 수출 일정이 가시화되는 양상이다. 아울러 한화디펜스는 연내 K9 자주포 본계약 체결을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8.03
자유주제

우울은 '수용성'.. 샤워하면 씻겨나간다?

SNS 등 온라인에서 '우울은 수용성'이라는 말이 떠돈다. 우울함은 수용성이라 샤워를 하면 우울이 씻겨나가 기분이 좋아지는 게 증거라고 한다. 정말로 우울은 물로 해결할 수 있는 걸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사실을 확인해봤다. ◇우울, 물과 전혀 관계없어… 근거 없는 '거짓' 전문가들은 우울은 수용성이란 말이 어디서 나왔는지 궁금해했다. 그 어떤 연구도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23
22.08.03
자유주제

서울 일렉트릭_2022 서울 이프리 & 서울 페스타 개최 한다고 하네요! 여기 가시는분들 많겠죠?

그나저나 뉴스에서는 잠실종합경기장 좌석 어디에 앉아도 안 보일거라고 하는 얘기가 있던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ㅋㅋ 세계적인 전기차 경주 대회인 포뮬러E 챔피언십 '2022 하나은행 서울 E-프 (2022 HANA BANK SEOUL E-PRIX, 이하 서울 e-프리)'가 본격 개최 준비에 여념이 없다.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 단지에 조성되는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8.03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800
22.08.03
자유주제

옵션에서 4륜을 넣으면 보통 외제차 기준으로 얼마나 추가될까요?

4륜을 꼭넣고싶다고해서ㅜ

겐쥬로|22.08.03
like-count3
commnet-count8
view-count1,029
22.08.03
자유주제

"급경사도 거뜬"..350W 넘는 '힘센' 전기자전거 나온다

전기자전거 모터의 정격출력 제한이 완화되면서 전기자전거 제품군이 다양해질 전망이다. 중소기업옴부즈만 관계자는 3일 "지난해 7월 옴부즈만 건의로 올해 5월 관련 규정이 개정되면서 오는 12월 1일부터 전기자전거 모터 출력 제한이 350W 이하에서 500W 이하로 완화된다"고 밝혔다. 기존엔 전기자전거의 최대 모터 출력이 제한되면서 험지 라이딩에 적합한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9
22.08.03
자유주제

美반도체법, '中 추가 투자' 금지..TSMC도, 삼성도 '타격'

미국 내 반도체 제조시설 등에 520억 달러(약 68조 원)를 지원하는 미국 '반도체지원법'의 수혜를 받는 기업들은 향후 10년 동안 중국에 대한 시설 투자 등에 제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법이 시행되면 중국에 메모리 반도체 공장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해 미국의 인텔과 대만의 TSMC 등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들 모두 영향권에 들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