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잘한걸까요?

딸기맛이다
22.08.08

1,165
댓글
7



개고기
서른에 일억이면 제법 모으셨네요 자 이제 오천부터 다시 시작!

2

0
1%행운
K8하브 좋은 차입니다! 오래 탄다고 가정하면 탁월한 선택하신 것 같네요

2

0

안녕하십니까~
k8하브연비도 잘나오고 딱좋은데요 가성비 최고 아닐까요 k8 ,그랜저 하브

1

0
겟차173624
잘 하셨어요 그리고 정말 열심히 사신분 같네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본인을 위해서도 쓰세요 차를 좋아하고 차를 바꿔서 힐링이 되실거같으시면 주저하지 마시고 그렇게 하세요 나이 좀 들고보니 너무 아끼고만 산게 후회되네요

1

0


장세진
저는 개인적으로 K8이 더 이쁘더라고요... 물론 gv70도 무척 좋아하는 차입니다 ^^ 혹시나 가능하면 gv70전기차는 한 번 타보고 싶어요 ^^

1

0

딸기맛이다
선배님들 조언 감사합니다!!^^

0

0



동탄 현마허
K8 좋죠 ㅋㅋㅋ 잘 선택 하셨네요

1

0
요런거 수리하면 얼마나 나올까요?
쉐보레 트랙스이고 출차하다가 벽에 긁혔네요 요런거 수리견적 얼마나 나오나요? 쉐보레 서비스센터랑 그냥 카센터랑 차이 많이 날까요?




나만의 페라리 로마 만들어 보기
Ferrari Configurator 를 이용해서 아래 미디어의 편집팀이 각자의 개성대로 만든 페라리 외관 내관 칼러 조합입니다. 출처: autoblog.com 1) Roma Verde British 그린과 옐로우로 조합하는게 페라리 엠블럼과 잘 어울리네요 내부는 Cuoio는 색깔은 오렌지 같기도 ㅎㅎㅎ 2) Grigio Alloy 는 실버색에






차량구입할려고 견적서를 받았는데 ㅠㅠ
차량구입할려고 견적서를 몇군데 받았는데 같은 모델 차량인데 왜 부대비용 부분이 100만원 넘게 차이가 날까요? 그리고 공채비용도 120만원 차이가 나는데 왜일까요? 경남이 부산보다 100만원넘게 공채비용이 싸네요ㅠㅠ



BMW 옵션표 총정리.
BMW 차종별 옵션 변경 사항을 공유드립니다. 아래 이미지는 카카오토(신차 구매 전문)에서 올려 놓은 것 다운로드한 것 입니다. 옵션의 원뜻이 선택할 수 있다는 건데요 그럴 수 없는 현실이 언제쯤 개선될지… 자동차 반도체 수급이 하루 빨리 원상복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아래 이미지 다운 후 확대해서 보시면 모델별 트림별 변동 상황을 확인할 수






폭스바겐 ID.4 주행거리가 공개됐습니다!
주행거리는 405km입니다!! Q4 e-트론은 368km라길래 기대 안 했는데 꽤 잘 나왔습니다..? (아우디는 대체 왜 나오는 차들마다 이상하게 공인 주행거리가 짧을까요)





[공지] 겟차의 새로운 차량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안녕하세요. 공지알리미입니다. 겟차에 새로운 차량 서비스가 추가되어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추가되는 서비스는 두 가지입니다.^^ ▶️ 첫 번째, 특장차 브랜드 추가! ◀️ 특장차란? 특수한 장비를 갖추어 특수한 용도에 쓰는 자동차를 일컫는 말입니다. 그중에서도 퍼스트 클래스 급 VIP를 위한 최적의 맞춤형 카니발 리무진이 대표적으로 꼽히는데요.




딜러사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6GT에 빠져서 이곳 저곳 알아보고 있는 18개월 아들둔 3인 가족 가장입니다 딜러사들 알아보던중 사내 게시판 MOU글을 보고 ㅎㄷ이 제휴 3%할인이 된다는 사내 게시판 글을 보고 딜러사에 직접 문의 했더니 1%라고 하는데 전시장마다 제휴할인 %가 다를수 있는지 고수분들께 문의 드립니다 현재 말리부 2.0터보 운행중인데 요즘들어 휴대용유모차로





2022년 겟차 상반기 트렌드 리포트
2022년 상반기를 마무리 하며 많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준 유저분들께 무한 감사드립니다 🫡!!!!!





교환결정됐습니다ㅜㅜ
문짝2곳휀다.라이트보조석 전부 전부교환이네요. 라이트.사이드미러 휠앞뒤.타이어ㅜㅜ견적이얼마나될까요?




급물살 타는 '안전진단 완화'..노원·목동 아파트값 '불씨' 당길까
지난 4년간 요지부동이던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 계획이 9일 발표되는 윤석열 정부의 첫 주택공급 대책에 담길 전망이다. 구조안전성 비중을 낮추고 주거환경 비중을 높이는 등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준 고시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고 관련 비용도 지자체에서 부담하는 개정안도 잇따라 추진된다. ━ 구조안전성 낮추고 주거환경 높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