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소양강댐 빼고 다 열었다..역대급 폭우인데 수문 여는 이유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42

9일 오후 1시 서울 동작대교 남단의 한강홍수통제소. 한강 본류와 약 200m 떨어진 이 건물 3층 상황실에 설치된 10여개 모니터는 강원 홍천부터 서울 행주대교까지 한강 주요 지점의 실시간 영상과 수위를 보여주고 있었다.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한강은 산책로까지 황토색 강물이 넘쳐 흘렀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곳 상황실에서 홍수피해 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열었다. 전날부터 한강홍수통제소는 한강 오금교, 중랑교 지점 등 14개 지점에 홍수주의보를 발령했다. 8일 서울의 하루 강수량이 380㎜로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중부지방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기 때문이다. ━ '최후 보루' 소양강댐 빼고 다 열렸다 1974년에 설립된 한강홍수통제소의 가장 큰 역할은 수도권을 관통하는 한강의 수위를 지켜서 홍수를 막는 것이다. 한강 유역을 따라 설치된 모든 댐과 보의 방류량을 승인하고, 홍수 예·경보를 발령한다. 이날 오전 한덕수 국무총리가 방문하고, 한 장관이 이곳을 홍수 대응의 지휘실로 삼는 이유다. 한강의 수위는 소양강, 충주, 횡성 등 다목적댐의 수문을 얼마나 개방하는지에 달려있다. 한강 하류 수위가 높을 땐 수문을 닫고, 수위가 낮아지면 여는 식이다. 홍수통제소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전체 494㎞에 달하는 강 수위를 최대한 평평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9일까지 한강 유역의 댐 수문은 대부분 열린 상태다. 일찌감치 홍수기 제한수위에 도달한 횡성댐과 충주댐은 각각 지난 3일, 8일부터 수문을 개방했다. 남한강 상류에서 모인 빗물을 각각 초당 300t, 1500t씩 흘려보내고 있다. 경기도 하남에서 한강 본류 수위를 조절하는 팔당댐은 9일 낮 12시 기준 초당 1만2600t의 물을 방류하는 중이다. 팔당댐에서 쏟아진 물은 통상 6시간이면 잠수교까지 밀려와 한강 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폭우로 수위가 높아지는데 댐 수문을 열어야 하는 이유는 앞으로 더 많은 비가 내릴 수 있어서다. 댐에 물이 가득 찬 상황에서 폭우가 온다면, 하천에 내리는 비와 댐에서 흘러넘치는 물이 합쳐져 방류량이 급증하게 된다. 이럴 경우 강 상하류 모두에 물난리가 난다. 남기한 한강홍수통제소 전기통신과장은 "홍수기엔 향후 강수에 대비해 댐의 용량을 어느 정도 비워두도록 돼있다. 지금 수문이 열린 건 폭우로 인해 댐 용량이 사실상 가득 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강 홍수 조절 '최후의 보루'로 불리는 강원도 춘천 소양강댐의 방류는 하루 연기됐다.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당초 이날 낮 12시로 예정됐던 소양강댐 수문 개방 시간은 10일 오후 3시로 변경됐다. 한강과 달리 소양강 수위는 수문을 열 만큼 높아지지 않았다고 판단해서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전체 한강 유역의 주민 안전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려진 결정이다. 홍수 피해가 잦은 소양강엔 2개월 전부터 홍수 대비 조처를 해뒀다"고 설명했다.

소양강댐 빼고 다 열었다..역대급 폭우인데 수문 여는 이유소양강댐 빼고 다 열었다..역대급 폭우인데 수문 여는 이유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