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韓 우주 기술의 시작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카이스트, 기념식 개최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48

한국 최초의 달 궤도선(달 인공위성) '다누리'의 화려한 발사는 1992년 '우리별 1호' 이후 이어져 온 한국 인공위성 연구·산업이 있어서 가능했다.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을 기념하고 한국 인공위성 기술을 되돌아보는 자리가 개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적 위성인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문을 연 우리별 1호는 1992년 8월 11일 발사됐다. 카이스트는 앞선 1989년 한국연구재단의 선도 공학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돼 인공위성연구소(당시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영국 서리(Surrey) 대학과 국제공동연구 협약이 체결되어 본격적인 인력 양성이 시작됐다. 인공위성 연구소는 우리별 1호의 발사 이후, 우리별위성 시리즈 3회, 과학기술위성 시리즈 5회, 차세대소형위성 1호 등 소형 위성 10기를 개발·발사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지구관측, 우주관측, 지구과학, 발사체검증, 핵심기술검증 등의 역량을 축적할 수 있었다. 인공위성연구소의 기술 개발은 국내 민간기업이 위성사업에 진출하는 교두보로 작용해 위성기술 사업화와 수출로 이어지기도 했다. 11일 오전에 열린 우리별 발사 30주년 기념식은 우리나라 최초 위성 발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주역들의 노고를 기리고 지우주개발 역사를 반추해 더 넓은 미래 우주를 준비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의 설립과 발전을 도운 공로자들과 우리별 개발에 참여해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이바지한 연구원들에게 감사패가 수여됐다. 아울러 미래의 우주개발 산업을 이끌어갈 뉴스페이스 리더 1기 수료식이 진행됐다. 뉴스페이스 리더 양성 사업은 우주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관련 분야 학위소지자들을 1대1로 실무를 교육해 위성시스템 엔지니어링이 가능한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우리별 1호를 통해 개척한 우리나라 우주개발, KAIST의 혁신적 우주탐사기술로 앞으로의 30년 K-우주시대를 선도한다"라는 문구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의 비전으로 확정돼 발표됐다.

韓 우주 기술의 시작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카이스트, 기념식 개최韓 우주 기술의 시작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카이스트, 기념식 개최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